아래 '예그린'님의 Locus에 대한 소개와 링크 정보에 고무되어
저도 갤스2에 Locus Pro를 설치하고, MOBAC(Mobile Atlas Creator (formerly known as TrekBuddy Atlas Creator)) 를 이용,
구글맵을 다운로드하여 SD카드에 복사하여 실제 폰 화면에 어떻게 나타나는지 살펴보았습니다.
결론은... 참 좋다! 입니다^^
상세한 사용법 및 설명은 => http://dopus.tistory.com/133 을 참조하시고,
제 경우 Windows 7 64bit를 사용하는지라, Java 를 32bit와 64 bit 둘 다 설치해두고 사용 중이었는데,
MOBAC 으로 다운로드 중에 heap 사이즈 문제로 계속 충돌, 에러를 발생시켰습니다.
heap 사이즈를 늘이는 옵션도 줘보고, 여러시도를 해봤지만, 결국 64bit Java를 제거하고 32bit Java만 남겨 놓았더니 해결되었습니다.
=> http://java.com/ko/download/manual.jsp
MOBAC(Mobile Atlas Creator) 1.8 설명 및 다운로드 => http://nipa0711.tistory.com/1300
- 1.8, 1.9 최신버젼 모두 테스트해봤는데, 1.8 버젼이 100만 타일까지 다운이 가능하고 다운 속도도 무척 좋았습니다.
- 1.9 버젼이 level 19까지 다운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는데, 실제 level 19가 필요한 지는 의문입니다.
- Terrain의 경우 level 15까지 뿐이기도 하고요.
* Locus Pro에서는 2G 넘는 맵 화일은 동작하지 않더군요.
몇 개의 스샷을 첨부합니다^^

이 정도 범위를 level 18 까지 다운받으니, 용량 1.4G, 15분 정도 소요되었습니다.
Korea 서버라 속도가 잘 나오더군요.
아래는 위의 다운받은 OffLine 맵을 갤스2, Locus Pro에 올린 스샷입니다.

* 우측이 최대로 확대한 'level 18' 인데, 더 확대된 이미지가 필요치는 않을 거 같습니다.
저도 이번에 알았는데, Wifi 나 3G 연결이 된 상황에서 해당 건물을 클릭하면 주소를 불러서 보여주네요.
다음은 저희 회원님들이 궁금해 하시는 Terrain, 지형도를 내려받아봤습니다.

우선, Terrain의 경우는 lever 15까지 제공합니다.
위와 같은 정도의 coverage로 다운 받아보니, 470M, 90분 정도 소요되었습니다.
level 16 정도까지라도 제공되면 좋겠다는 생각이 들지만, 이 지형도가 DEM 데이터를 기준으로 만들어졌다는 생각을 하면 더 자세해도 크게 도움이 되지는 않을 것 같습니다.

갤스2에서 청계산 트랙 하나 올려 최대 확대해봤습니다.
아쉬운대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 제가 짧은 시간 시행착오를 하며 알게된 부분이라 오류가 있을 수 있으니 널리 양해 바라오며,
실제 안드로이드폰을 가진 회원님들께서도 짬나는대로 한번씩 시도해보시기 바랍니다^^
덧1> 가능하면 MOBAC 1.9 로 작업하시는 것이 좋겠군요.
구글Korea 맵 서버의 주소가 1.8과 1.9가 다르고, 1.9가 접속하는 서버가 최신의 맵이라고 합니다.
덧2> MOBAC 1.8의 구글Korea 서버주소를 변경하는 방법이 있군요.
1.8 버젼에 포함되어 있는 mobile atlas creator .jar 라는 압축화일 안의 mapsources.properties 파일의 GoogleMapsKorea.url내용을 수정하면 된다고 합니다.
알집 등 압축프로그램으로 mobile atlas creator .jar 압축화일을 더블클릭하여 보시면, mapsources.properties 화일이 보일 것입니다.
이 화일을 찾아서 다시 더블클릭하면 notepad로 열 것인지 물어보는데, 그냥 클릭하셔서 보시면 구글Korea 맵 부분이 아래와 같을 겁니다.
GoogleMapsKorea.url=http://mt{$servernum}.gmaptiles.co.kr/mt/v=kr1p.12&hl={$lang}&x={$x}&y={$y}&z={$z}
빨간 부분을 kr1.13 으로 바꾸면 된다고 합니다 (저도 다른 게시판에서 본 내용이라 자신이 없습니다만 실제 수정해 사용해보니 다운은 잘되네요^^)
첫댓글 좋은 어플 소개와 사용기...감사합니다...
저도 갤탭에서 사용중인데 지도는 자체로 다운받을 수 있어서 무지 좋았습니다 그리고 한번씩 위성이 잘 안잡히는 경우가 있는 데 tweak를 한번 실행해 주도 나면 잘 잡혔습니다 ourx도 사용해 보았는 데 로커스가 더 직관적인 것 같았습니다
설명이 상세하게 잘 해주셨네요
아직까지 입문자라 잘모르지만 저도orux 보다는 locus 를 추천합니다 ...
orux 는 종이 지도 처럼 만드는 기능 (칼라)도 잇네요 아직 설명도 엄고 사용을 안해봤서리
이게 등산매니아 처럼의 타입이라면 ? 죽이는 건데 ㅋㅋ
누구 좀 알려주세요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
유용한 정보 고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