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서씨세보(大丘徐氏世譜)에 의하면 대구서씨(大丘徐氏)는 7관(貫)중의 한 성씨로 관(貫)은 같지 않으며, 종보(宗譜) 등 보첩을 인용, 서씨(徐氏)의 선조는 기자(箕子)로부터 나왔다고 하나 세대가 멀고, 문헌도 없어 확신할 수 없다는 뜻을 적고 있다. 대구서씨(大丘徐氏)의 시조는 서한(徐閈), 고려때 조봉대부(朝奉大夫) 군기소윤(軍器少尹)을 지냈으며 그 뒤의 소목(昭穆)을 잃었으나 서거정(徐居正) 등 큰 인물이 배출, 대구(大丘)에 세거(世居)하면서 대(代)를 이어왔다. 달성서씨(達城徐氏)의 시조는 서진(徐晋), 고려때 봉익대부(奉翊大夫) · 판도판서(版圖判書)등을 지냈고 나라에 공(功)을 세워 달성(대구(大邱)의 옛이름)군(達城君)에 봉해지면서 달성(達城)을 식읍으로 하사받아 세거(世居)하게 되었다. 소윤공파(少尹公派)는 원조 서한(徐閈) 이후 5세가 실전(失傳)되어 전하지 않고 판전객시사(判典客寺事)를 지낸 7세 서익진(徐益進)부터 계대(系代)가 내려오고 있다. 15세조 서경우(徐景雨)의 후손이 만사공파(晩沙公派), 서경수(徐景需)의 후손이 전첨공파(典籤公派), 서경빈(徐景霦)의 후손이 첨추공파(僉樞公派), 서경주(徐景霌)의 후손이 도위공파(都尉公派), 11세조 서팽려(徐彭呂)의 후손이 봉사공파(奉事公派), 13세조 서영(徐嶸)의 후손이 서흥(瑞興)에 살아 서흥파(瑞興派)로 나누어졌고, 10세조 사가정(四佳亭)서거정(徐居正) 의 후손이 사가공파(四佳公派), 13세조 서엄(徐崦)의 후손이 춘헌공파(春軒公派), 12세조 서구(徐久)의 후손이 승사랑공파(承仕郞公派), 13세조 서금(徐嶔)의 후손이 장원공파(掌苑公派), 11세조 서팽주(徐彭周)의 후손이 훈련봉사공파(訓鍊奉事公派)이다.
본관지 연혁 |
|
대구(大丘)는 본래 신라의 달구화현(達句火縣)인데, 경덕왕 때 지금 이름으로 고쳐 수창군(壽昌郡)의 속현(屬縣)으로 만들었다. 고려조 현종 때 경산부(京山府)에 소속시켰고 인종 때 현령(縣令)을 두었으며, 조선조 세종 때는 군(郡)으로 승격시켰다. 세조 때 진(鎭)이 되고 도호부사(都護府使)를 두었으며, 1895년 부(府)로 되었다. 1914년 대구부(大丘府)를 만들고 나머지는 달성군(達城郡)으로 하였으며, 1949년 대구시(大丘市)로 승격할 때 달성군(達城郡)의 가창(嘉昌), 성서(城西), 월배(月背) 등의 면(面)이 대구시(大丘市)에 병합되었다. 주요 성씨로는 서(徐) · 하(夏) · 알(謁) · 배(裵) · 호(好)씨 등이 있었다.
파명록 |
|
경파(京派): 소윤공파(少尹公派)-대구서씨(大丘徐氏) 향파(鄕派): 판도공파(版圖公派)-달성서씨(達城徐氏)
소윤공파(少尹公派) 만사공파(晩沙公派) 전첨공파(典籤公派) 첨추공파(僉樞公派) 도위공파(都尉公派) 봉사공파(奉事公派) 서흥파(瑞興派) 사가공파(四佳公派) 춘헌공파(春軒公派) 승사랑공파(承仕郞公派) 장원공파(掌苑公派) 훈련봉사공파(訓鍊奉事公派)
판도공파(版圖公派) 현감공파(縣監公派) · 학유공파(學諭公派) · 판서공파(判書公派) · 감찰공파(監察公派) · 진사공파(進士公派) · 생원공파(生員公派) · 진사공파(進士公派) · 참판공파(參判公派) · 종사랑공파(從仕郞公派)
주요 세거지 |
|
대구서씨세보(大丘徐氏世譜) 등재(登載) 내용(內容)에 따르면 대구서씨(大丘徐氏)의 상계(上系)가살았던 곳은 알기 어려우며, 7세 서익진(徐益進), 8세 서의(徐義)는 대구(大丘), 경산(慶山)에, 9세 서미성(徐彌性) 10세 서거광(徐居廣)의 대 이래로 장단(長湍), 파주(坡州 ) 등지를 세천지(世阡地)로 삼고 있으므로 일찍이 경기지역에 정착했다고 믿어진다. 만사공파(晩沙公派)는 경기도 포천(抱川)의 영평(永平) 등지에 살다가 19세 서명완(徐命完)의 대부터 4대에 걸쳐 충남 공주(公州)를 위시하여 청양(靑陽)·서산(瑞山), 전북 정읍(井邑)의 태인(泰仁) 등지로 산거해 갔으며, 전첨공파(典籤公派)는 19세 서명국(徐命國)의 대를 전후하여 경기도 포천(抱川)·양주(楊州)·이천(利川) 등으로, 첨추공파(僉樞公派)는 포천(抱川)과 충주(忠州), 금산(錦山), 순창(淳昌), 해남(海南)과 안동(安東)의 일직(一直) 등지에 정착, 세거하였고, 도위공파(都尉公派)는 18세 서종현(徐宗鉉)의 대 이후에 경기도 장단(長湍)·강화(江華)·양평(楊平)의 양근(楊根), 충남 옥천(沃川)·당진(唐津)·아산(牙山) 등지와 전북 남원(南原)·김제(金堤), 전남 장성(長城)·순천(順天), 경북 상주(尙州)에 살았다. 봉사공파(奉事公派)는 11세 서팽려(徐彭呂)의 대 이래로 경북 영천(永川)에서 세거하다가 그 중 일부가 19세 서막래(徐邈來)의 대에 경남 창령(昌寧)으로 옮겨 갔으므로 이들 지역에 나뉘어 살았고, 서흥파(瑞興派)는 13세 서영(徐嶸)의 자손들이 황해도 서흥(瑞興)땅에서 살았던 사실이 있다. 사가공파(四佳公派)는 12세 서득정(徐得禎)의 후계(後系)가 경남 합천(陜川)의 초계(草溪)와 전남 함평(咸平)·무안(務安) 등지에 살았으며, 13세 서죽수(徐竹壽)의 후계(後系)가 수원(水原)에, 14세 서현립(徐玄立) 서국립(徐國立) 이래로 함양(咸陽)·순천(順天)에 살았던 것 같다. 일부는 19세 서명해(徐命海)의 대 이후에 충남 서산(瑞山), 경남 산청(山淸) 강원도 홍천(洪川)에 자리 잡았던 것으로 보인다. 소윤공(少尹公)의 9세손인 서미정(徐彌情)의 자손들은 관향(貫鄕)인 대구(大邱)에서 살다가 14세 서우(徐祐)의 대 이래로 전북 고창(高敞)의 흥덕(興德)에, 일부는 17세 서문룡(徐文龍)의 대 이후에 전남 영광(靈光)에 살았다고 믿어진다. 춘헌공파(春軒公派)는 15세 서경림(徐景霖) 이래로 청양(靑陽)에 살다가 일부가 17세 서홍리(徐洪履)· 서문진(徐文진)의 대를 전후하여 경기도 여주(驪州), 충남 부여(扶餘)·서천(舒川), 전북 담양(潭陽) 등지로 옮겨가 정착했고, 일부는 16세 서홍리(徐鴻履) 이래로 평남 중화(中和)·대동(大同) 등지에 터를 잡았던 것 같다. 승사랑공파(承仕郞公派)는 14세 서홍(徐泓)의 후계(後系)가 16세 서원리(徐遠履)이래로 충남 논산(論山)의 은진(恩津)·공주(公州)·서천(舒川), 충북 음성(陰城)·청주(淸州), 전북 익산(益山)에, 14세 서영(徐泳)의 후계(後系)는 서영(徐泳)의 아들 대부터 전북 옥구(沃溝)·전주(全州)·정읍(井邑)의 태인(泰仁), 충남 공주(公州) 등지에 나뉘어 정착하였던 것 같다. 14세 서흡(徐潝)의 후계(後系)는 충북 음성(陰城)에 많이 살았으며, 14세 서소(徐沼)의 후계(後系)는 전북 익산(益山)에, 서용(徐湧)의 후계(後系)는 17세 서문회(徐文會) 이래로 충남 청양(靑陽)·경기도 평택(平澤)에 세거하였다. 장원공파(掌苑公派)는 경기도 파주(坡州)에서 세거 했던 것 같고, 훈련봉사공파(訓鍊奉事公派)는 11세 서팽주(徐彭周)의 손자 서인서(徐仁瑞) 이래로 일부가 공주(公州)로 가 그 곳을 세거의 터로 삼았다.
그리하여 1930년경, 대구서씨(大丘徐氏)는 전북 익산군(益山郡) 망성면(望城面), 무주군(茂朱郡) 일원, 전남 승주군(昇州郡) 일원, 경북 달성군(達城郡) · 영천군(永川郡) · 경산군(慶山郡) · 상주군(尙州郡) · 안동군(安東郡), 경남 의령군(宜寧郡) · 창녕군(昌寧郡) · 양산(梁山) 등지와 충북 충주(忠州) · 음성(陰城) · 단양(丹陽) · 보은(報恩), 충남 서산(瑞山) · 서천(舒川) · 당진(唐津)의 면천(沔川), 전북 순창(淳昌) · 전주(全州) · 진안(鎭安), 전남 보성(寶城), 강원도 강릉(江陵) · 철원(鐵原) 등지에 나뉘어 살았다고 믿어진다.
군(郡), 통영군(統營郡), 함양군(咸陽郡) 일원, 함남 홍원군(洪原郡) 용원면(龍源面) 등지에 집성촌을 이루었고, 달성서씨(達城徐氏)는 경북 달성군(達城郡) 가창면(嘉昌面), 영일군(迎日郡) · 고령군(高靈郡) 일원, 안동군(安東郡) 남후면(南後面), 상주군(尙州郡) 사벌면(沙伐面) · 공성면(功城面), 경남 고성군(固城郡) 삼산면(三山面) · 영오면(永吾面), 함양군(咸陽郡) 서상면(西上面), 양산군(梁山郡) 상북면(上北面), 밀양군(密陽郡) 밀양읍(密陽邑), 창녕군(昌寧郡) 창녕읍(昌寧邑) 등지에 집성촌을 이루었다.
씨족史 |
|
대구서씨(大丘徐氏)는 고려조에 조봉대부(朝奉大夫)로 군기소윤(軍器少尹)을 지낸 서한(徐閈)을 시조로 하는 소윤공파(少尹公派)와 판도판서(版圖判書)를 지낸 서진(徐晋)을 시조로 하는 판도공파(版圖公派)의 두 계통이 있다. 이 두 파(派)는 모두 대구(大丘)·달성(達城)에서 세거하였으므로 같은 성씨일 것이나 문헌이 없어 소목(昭穆)관계는 밝힐 수 없다 한다. 대구서씨(大丘徐氏)는 고려조에서는 크게 드러나지 못하였다. 조선조에 들어서 사가정(四佳亭) 서거정(徐居正)이 크게 현달하여 가문의 세력을 잠시 떨쳤으나 그 후 다시 단한해졌다. 그러다가 선조 · 인조 때의 약봉(藥峯) 서성(徐성)이 5도(道) 관찰사, 3조(曹) 판서(判書)를 지내면서 가문의 기반을 구축하고, 그의 네 아들을 비롯한 자손 중에서 3대 정승, 3대 대제학(大提學), 3대 대학자가 계속 배출되기에 이르러 백여년에 걸쳐 가장 현달한 가문 중의 하나로 자리잡게 되었다. 그 이후의 사화(士禍)나 당장에서 서씨(徐氏) 중에 크게 해를 입은 사람이 없이 가문과 후손이 번성하여 지금은 종인수(宗人數)가 40여만에 이른다. 소윤공파(少尹公派)와 판도공파(版圖公派)는 소목(昭穆)계통을 알 수 없기 때문에 분파도 따로 되어 있다. 소윤공파(少尹公派)는 원조 서한(徐閈) 이후 5세가 실전(失傳)되어 전하지 않고 판전객시사(判典客寺事)를 지낸 7세 서익진(徐益進)부터 계대(系代)가 내려오고 있다. 15세조 서경우(徐景雨)의 후손이 만사공파(晩沙公派), 서경수(徐景需)의 후손이 전첨공파(典籤公派), 서경빈(徐景霦)의 후손이 첨추공파(僉樞公派), 서경주(徐景霌)의 후손이 도위공파(都尉公派), 11세조 서팽려(徐彭呂)의 후손이 봉사공파(奉事公派), 13세조 서영(徐嶸)의 후손이 서흥(瑞興)에 살아 서흥파(瑞興派)로 나누어졌고, 10세조 사가정(四佳亭)서거정(徐居正) 의 후손이 사가공파(四佳公派), 13세조 서엄(徐崦)의 후손이 춘헌공파(春軒公派), 12세조 서구(徐久)의 후손이 승사랑공파(承仕郞公派), 13세조 서금(徐嶔)의 후손이 장원공파(掌苑公派), 11세조 서팽주(徐彭周)의 후손이 훈련봉사공파(訓鍊奉事公派)이다.
판도공파(版圖公派)는 7세조를 파조(派祖)로 하여 분파가 나누어지고 있다. 서제(徐濟)의 후손이 현감공파(縣監公派)이고, 서도(徐渡)의 후손이 학유공파(學諭公派), 서섭(徐涉)의 후손이 판서공파(判書公派), 서근중(徐近中)의 후손이 감찰공파(監察公派), 서석련(徐錫蓮)의 후손이 진사공(進士公)(석련(錫蓮))파(派), 서석명(徐錫蓂)의 후손이 생원공파(生員公派), 서석령(徐錫苓)의 후손이 진사공(進士公)(석령(錫苓))파(派), 서종일(徐宗一)의 후손이 참판공파(參判公派)이다. 그리고 2세조 서원(徐遠)의 후손은 7세조 서진(徐震)까지 단계(單系)로 이어져 그 후손이 종사랑공파(從仕郞公派)로 나뉘어진다. 소윤공파(少尹公派)는 7세조 서익진(徐益進)부터 계대(系代)가 이어지고 있는데, 고려말에 호조전서(戶曹典書)를 지낸 그의 아들 서의(徐義)와 더불어 고려말에 벼슬하고 조선개국까지 이어졌다. 대구서씨(大丘徐氏) 가문의 기반을 처음으로 닦은 인물은 조선 초기의 사가정(四佳亭) 서거정(徐居正)이다. 세종 26년 문과에 급제한 그는 성종 때까지 6대 왕조 45년에 걸쳐 6조(曹) 판서(判書)와 대제학(大提學)을 지냈다. 세조 2년 문과중시(文科重試)에 급제했으며, 다음해 문신정시(文臣庭試)에 장원했다. 세조 6년 사은사(謝恩使)가 되어 명(明)나라에 가서 그곳 학자(學者)들과 문장(文章), 시(詩)를 논하여 ‘해동(海東)의 기재(奇才)’라는 찬탄을 받았다. 귀국 후 대사헌(大司憲)이 되고, 세조 10년 조선시대 최초로 양관대제학(兩館大提學)이 되었다. 이후 6조(曹)의 판서(判書)를 두루 지내고, 성종 1년 좌찬성(左贊成)에 올라 다음해 좌리공신(佐理功臣)3등(等)으로 달성군(達城君)에 봉해졌다. 여러번 전형(銓衡)을 담당하여 많은 인재를 뽑았고, 세조 때 ‘경국대전(經國大典)’, ‘동국통감(東國通鑑)’의 편찬에 참여, 성종때 ‘동국여지승람(東國與地勝覽)’을 편찬했으며, 또한 ‘향약집성방(鄕藥集成方)’을 국역(國譯)했다. 성리학(性理學)을 비롯하여 천문(天文) · 지리(地理) · 의약(醫藥) 등에까지 정통했다. 그러나 무엇보다도 큰 업적은 성종 때 왕명에 의해 최초로 시문을 집대성한 ‘동문선(東文選)’을 편찬, 오늘에 전하고 있는 점이다. 신라 때부터 조선 초기까지 시문을 골라 실은 ‘동문선(東文選)’은 한문학을 연구하는 데 있어 없어서는 안 될 자료이다. 사가정(四佳亭)의 형 서거광(徐居廣)은 무과(武科)를 거쳐 의금부도사(義禁府都事)를 지내고 언양현감(彦陽縣監)에 이르렀다. 사가정(四佳亭) 이후 가세(家勢)가 크게 위축되었던 대구서씨(大丘徐氏)는 서거광(徐居廣)의 증손 서후(徐厚)가 중종조에 직제학(直提學)을 거쳐 대사간(大司諫)에 이르긴 했으나 현손(玄孫) 서성(徐성) 대에 이르러서야 현달할 수 있었다. 약봉(藥峰) 서성(徐성)은 이황(李滉)의 문인이었던 서해(徐嶰)의 아들이다. 선조 19년 별시문과(別時文科)에 급제하고, 병조좌랑(兵曹佐郞)이 되었다. 임진왜란 후 암행어사(暗行御史)로서 삼남(三南)을 순찰하고 돌아와 제용감정(濟用監正)에 특진되었으며, 이어 경상도(慶尙道) · 강원도(江原道) · 함경도(咸鏡道) · 평안도(平安道) · 경기도(京畿道)의 관찰사(觀察使)를 역임하고, 뒤에 호조(戶曹) · 형조(刑曹) · 공조(工曹)의 판서(判書)와 판중추부사(判中樞府事)를 지냈다. 계유옥사(癸酉獄事)에 연루되어 유배되었다가 1623년 인조반정(仁祖反正)으로 풀려나 형조(刑曹) · 병조(兵曹)의 판서(判書)를 지냈다. 학문(學問)에 능했고, 서화(書畵)에도 뛰어났다. 서성(徐성)은 다섯 아들을 두었는데 큰아들 서경우(徐景雨)는 우의정(右議政)에 오르고 네째 아들 서경주(徐景霌)는 선조의 딸 정신옹주(貞愼翁主)와 결혼하였다. 그리고 둘째 아들 서경수(徐景需)의 증손 서종제(徐宗悌)의 딸이 영조비(英祖妃)가 되었다. 이 아들들 중에서 넷째 아들 서경주(徐景霌)의 자손이 가장 번성하였다. 만사(晩沙) 서경우(徐景雨)는 선조 36년 정시문과(庭試文科)에 병과(丙科)로 급제하고, 승문원(承文院)에 등용되고 여러 벼슬을 거쳐 정주목사(定州牧使)가 되었으나, 광해군(光海君) 5년 아버지가 유배당하자 벼슬을 버리고 은거했다. 1623년 인조반정(仁祖反正)으로 다시 등용되어 대사헌(大司憲), 형조(刑曹) · 이조참판(吏曹參判), 경기도관찰사(京畿道觀察使) · 형조판서(刑曹判書) 등을 역임하고, 인조 21년 성절겸진하사(聖節兼進賀使)가 되어 청(淸)나라에 다녀왔다. 다음해 우의정(右議政)에 승진하고 기로소(耆老所)에 들어갔다. 서경주(徐景霌)는 선조 25년 정신옹주(貞愼翁主)와 결혼하고 달성위(達城尉)에 봉해졌다. 이 해 임진왜란(壬辰倭亂)이 일어나자 환도(還都)할 때까지 왕(王)을 호종(扈從)했고, 그 후에도 항시 선조의 곁을 떠나지 않았다. 총관(摠管)과 상의원제조(尙衣院提調)를 겸했고, 인조 때 상의원(尙衣院) · 관상감제조(觀象監提調)와 총관(摠管)을 겸했다. 만사공(晩沙公)의 아들인 서원리(徐元履)는 인조 5년 생원(生員)이 되어, 세마(洗馬)를 거쳐 왕자사부봉림대군(王子師傅鳳林大君)을 심양(瀋陽)에서 시종하여 두터운 신임을 받았다. 뒤에 호조(戶曹) · 공조정랑(工曹正郞)을 거치고 천안군수(天安郡守)로 나가 새로 실시되는 대동법(大同法)을 잘 시행하여 치적을 올렸다. 그 후 장령(掌令), 승지(承旨), 강화부유수(江華府留守) 등을 거쳐 1659년 현종이 즉위하자 동지중추부사겸총관(同知中樞府事兼摠管)이 되고, 이어 한성부우윤(漢城府右尹), 호조참판(戶曹參判) 등을 역임하고 함경도관찰사(咸鏡道觀察使)에 이르렀다. 몽어정(夢漁亭) 서문중(徐文重)은 서원리(徐元履)의 아들이다. 효종 8년 진사시(進士試)에 합격하고, 현종 14년 학행(學行)으로 추천을 받아 동몽교관(童蒙敎官)을 지냈다. 이어 승지(承旨) · 경상도관찰사(慶尙道觀察使) · 어영대장(御營大將) 등을 거쳐 숙종 13년 형조판서(刑曹判書)를 지내고, 다음해 우참찬(右參贊)이 되었다. 숙종 15년 기사환국(己巳換局) 때 노론(老論)의 중신(重臣)으로서 인현왕후(仁顯王后)의 폐위(廢位)를 반대한 뒤 금천(衿川)에 은퇴하였다가 다음해 동지부사(冬至副使)로 청(淸)나라에 다녀와 안변부사(安邊府使) 등을 지냈다. 숙종 20년 갑술옥사(甲戌獄事)로 병조판서겸지의금부사(兵曹判書兼知義禁府事)에 등용되고, 선혜청당상(宣惠廳堂上)에 올랐으나, 이때 탄핵을 받아 다시 금천(衿川)으로 은퇴했다. 뒤에 다시 기용되어 숙종 24년에는 사은사(謝恩使)로 청(淸)나라에 다녀왔으며, 그 후 좌의정(左議政)을 거쳐 영의정(領議政)에 올라 기로소(耆老所)에 들어갔다. 평생 독서(讀書)에 힘써 역대(歷代)의 사적(事蹟)에 정통했으며, 저서(著書)도 많이 남겼다. 서종제(徐宗悌)는 서경수(徐景需)의 증손으로 숙종 13년 사마시(司馬試)에 합격하고, 숙종 30년 딸이 연잉군(延잉君)이 영조로 즉위하여 딸이 정성왕후(貞聖王后)가 되자 영의정(領議政)에 추증(追贈), 달성부원군(達城府院君)에 추봉(追封)되었다. 서종태(徐宗泰)는 숙종 6년 별시문과(別試文科)에 을과(乙科)로 급제하고, 다음해 검열(檢閱)이 되었다. 숙종 8년 사가독서(賜暇讀書)를 했고, 숙종 28년 공조판서(工曹判書) · 대사헌(大司憲)을 지내고, 숙종 29년 정조사(正朝使)로 청(淸)나라에 다녀와서 이조판서(吏曹判書)가 되었다. 그 후 우의정(右議政)을 거쳐 좌의정(左議政)을 지냈고, 숙종 37년 영의정(領議政)에 승진했다. 문익공(文翼公) 서명균(徐命均)은 서종태(徐宗泰)의 둘째 아들로 숙종 36년 증광문과(增廣文科)에 병과(丙科)로 급제하고, 사관(史官)에 뽑혔다. 경종 4년 경기도관찰사(京畿道觀察使)를 거쳐 영조 1년에 동지중추부사(同知中樞府事)가 되었다. 동지사(冬至使)로 청(淸)나라에 다녀와서 호조판서(戶曹判書)가 되었고, 이어 우참찬(右參贊) · 판돈녕부사(判敦寧府事)를 거쳐 우의정(右議政)을 지낸 후 영조 8년 좌의정(左議政)에 올랐다. 그 후에 진주사(陳奏使) · 주청사(奏請使)로 두 차례나 청(淸)나라에 다녀와서 판중추부사(判中樞府事)를 지냈다. 그의 아들 서지수(徐志修)는 영조 16년 증광문과(增廣文科)에 급제하고, 사서(司書), 대사간(大司諫) 등 여러 청환직(淸宦職)을 역임하고, 대사헌(大司憲)이 되어 장헌세자(莊獻世子)의 비행을 조작한 김상로(金尙魯) 등을 탄핵했다. 시강원빈객(侍講院賓客)으로서 세자(世子)의 면학(勉學)을 도와 크게 존경을 받았다. 뒤에 이조판서(吏曹判書) · 우의정(右議政) · 좌의정(左議政) · 예조판서(禮曹判書) · 행판중추부사(行判中樞府事)등을 거쳐 영조 42년 영의정(領議政)에 이르렀으며, 글씨에도 뛰어났다. 죽은 뒤 문청(文淸)의 시호가 내렸다. 이상과 같이 서경주(徐景霌)의 집안에서 서종태(徐宗泰)(영의정(領議政))-서명균(徐命均)(좌의정(左議政))-서지수(徐志修)(영의정(領議政))의 3대(代)에 이르는 재상이 배출되었는데, 그 자손에서 다시 서유신(徐有臣)(대제학(大提學))-서영보(徐榮輔)(동(同))-서기순(徐箕淳)(동(同))에 이르는 3대(代) 대제학(大提學)이 배출되었으니, 즉 6대(代)에 걸쳐 3대(代) 정승 · 3대(代) 대제학을 배출, 서문(徐門)의 골격을 이루었다. 순오(舜五) 서유신(徐有臣)은 영조 48년 문과에 급제하고 대제학(大提學)에 이르렀고, 순조 초에 봉조하(奉朝賀)가 되었다. 그의 아들 서영보(徐榮輔)는 정조 13년 식년문과(式年文科)에 장원하고, 정조 14년 진하사은사(進賀謝恩使)의 서장관(書狀官)으로 청(淸)나라에 다녀왔다. 순조 초에 평안도관찰사(平安道觀察使)를 지내고 대제학(大提學) · 호조판서(戶曹判書) 등을 거쳐 지중추부사(知中樞府事)에 이르렀다. 문장(文章)과 글씨에 뛰어났는데, 수원(水原)의 지지묘비문(遲遲墓碑文)을 지었고, ‘어사고풍첩(御射古風帖)’, ‘사례사전문(射禮謝箋文)’을 편찬하고 썼다. 서기순(徐箕淳)은 순조 26년 증광문과(增廣文科)에 급제, 대사성(大司成)을 거쳐 이(吏) · 형(刑) · 예조판서(禮曹判書), 대사헌(大司憲)을 역임하였다. 판의금부사(判義禁府事), 대제학(大提學)을 여러 번 역임했으며 청렴한 관리로 명성이 있었다. 서종태(徐宗泰)와 사촌형제간인 이조판서(吏曹判書) 서종옥(徐宗玉)의 집안에서는 자손 3대(代)에 걸쳐 학자가 배출되었으니, 곧 서명응(徐命膺)(대제학(大提學))-서호수(徐浩修)(직제학(直提學))-서유구(徐有榘))(대제학(大提學))가 그들이며, 그 중에서도 서유구(徐有榘))는 조선 후기의 대표적인 농정가로 이름이 높은 인물이다. 보만재(保晩齋) 서명응(徐命膺)은 영조 30년 증광문과(增廣文科)에 급제하고, 정언(正言) · 수찬(修撰) 등을 거쳐 이듬해 서장관(書狀官)으로 청(淸)나라에 다녀왔다. 대사간(大司諫), 대사헌(大司憲), 예조참판(禮曹參判), 홍문관제학(弘文館提學), 동지춘추관사(同知春秋館事), 한성판윤(漢城判尹), 지경연사(知經筵事), 각 조(曹)의 판서(判書) 등을 지내고, 정조 1년 규장각제학(奎章閣提學) · 홍문관대제학(弘文館大提學)을 역임했다. 역학(易學)을 두루 섭렵하고 실학(實學) 연구에 전념한 북학파(北學派)의 한 사람으로 일컬어지며, 학자(學者)로서 명망(名望)이 높았다. 서호수(徐浩修)는 영조 41년 식년문과(式年文科)에 장원하고 영조 46년 홍봉한(洪鳳漢) 등과 ‘문헌비고(文獻備考)’를 편찬했다. 영조 52년 사은부사(謝恩副使)로 청(淸)나라에 다녀와서 규장각직제학(奎章閣直提學)이 되었다. 정조 15년 관상감제조(觀象監提調)가 되었고, 정조 23년 ‘홍재전서(弘齋全書)’ 속편을 편찬했다. 이조판서(吏曹判書)와 세자부빈궁(世子副賓宮)을 지냈다. 풍석(楓石) 서유구(徐有榘))는 정조 14년 증광문과(增廣文科)에 병과(丙科)로 급제하고, 여러 관직을 거쳐 헌종 때 좌(左) · 우참찬(右參贊), 대제학(大提學)에 이르렀다. 정조 21년 ‘향례합편(鄕禮合編)’을 편집했다. 실학(實學)에 조예(造詣)가 깊었으며 백가서(百家書)에도 통달하여 문명(文名)이 높았다. 순조 34년 호남순찰사(湖南巡察使)로 노령남북(蘆嶺南北)을 돌아보던 중 기근(飢饉)을 겪고 있는 백성들의 궁핍을 목격하고 나서, 일본에 가는 통신사(通信使) 편에 부탁하여 고구마 종자를 구입, 각 고을에 나눠 주어 재배를 장려하고, ‘종저보(種藷譜)’를 저술하여 그 재배법을 널리 알렸다. 농정(農政)에 대한 경론과 상소문을 써서 영농법(營農法)의 개혁(改革)을 누차 역설했고, 만년에는 친히 농사(農事)를 지으며 농업(農業)에 대한 백과사전(百科事典)인 ‘임원경제(林園經濟)16지(志))’라는 저술(著述)을 남겼다. ‘임원경제(林園經濟)16지(志))’는 서목(書目)이 8백여 종에 달하는 방대한 것으로 다른 문집류에 비해 실생활과 직결되는 문집이란 점에서 높은 평가를 받고 있다. 서명선(徐命善)은 보만재(保晩齋)의 동생으로 영조 39년 증광문과(增廣文科)에 급제하였다. 영조 50년 이조참판(吏曹參判)으로 세손(世孫)(정조)의 대리청정(代理聽政)을 주장하여 시행케 했다. 2년 뒤 이조판서(吏曹判書)가 되고, 영조가 승하하자 빈전도감제조(殯殿都監提調)를 지냈으며, 총융사(摠戎使)가 되었다. 정조 1년 우의정(右議政)을 거쳐 다음해 좌의정(左議政)이 되고, 영의정(領議政)에 올랐으며 영중추부사(領中樞府事)에 이르렀다. 서매수(徐邁修)는 서경주(徐景霌)의 셋째 아들 진리(晋履)의 4세손이다. 음보(蔭補)로 기용되어 신녕현감(新寧縣監) 등을 지낸 뒤, 정조 11년 정시문과(庭試文科)에 을과(乙科)로 급제하였다. 여러 청환직(淸宦職)을 거쳐 정조 23년 형조(刑曹) · 예조(禮曹)의 판서(判書)에 이어 우참찬(右參贊)으로 동지사(冬至使)가 되어 청(淸)나라에 다녀온 후 좌참찬(左參贊)이 되었다. 순조 3년 예조판서(禮曹判書)를 거쳐 좌의정(左議政)에 승진했으며, 2년 뒤 영의정(領議政)에 올랐다. 이 때가 대구서씨(大丘徐氏)가 조정의 고관에 가장 많이 포열했던 때로 이조판서(吏曹判書)를 지낸 서유방(徐有防), 서유린(徐有隣), 서능보(徐能輔), 서경보(徐耕輔), 서공보(徐恭輔), 서유보(徐裕輔), 서희순(徐喜淳), 서형순(徐衡淳), 서헌순(徐憲淳), 총융사(摠戎使)를 거쳐 도총관(都摠管)을 지낸 서유대(徐有大), 형조판서(刑曹判書)를 지낸 서좌보(徐左輔), 서재보(徐在輔), 서영순(徐英淳), 이(吏) · 공조판서(工曹判書)를 지내고 판중추부사(判中樞府事)에 이른 서준보(徐俊輔)를 들 수 있다. 시기는 이보다 조금 뒤떨어지지만 개항 후 고종조에 형(刑) · 공(工) · 예조판서(禮曹判書)를 지낸 서상우(徐相雨)가 있다. 달성부원군(達城府院君) 서종제(徐宗悌)의 현손인 심재(心齋) 서용보(徐龍輔)도 순조조에 영상(領相)에 올랐다. 영조 50년 증광문과(增廣文科)에 급제하고 여러 관직을 거쳐 정조 7년 규장각직각(奎章閣直閣)으로 등용되었고, 경기도관찰사(京畿道觀察使)를 거쳐 규장각직제학(奎章閣直提學)에 승진했다. 순조 3년 좌의정(左議政)에 오르고 판중추부사(判中樞府事)가 되었다가 순조 19년 영의정(領議政)에 승진했다. 서당보(徐堂輔)는 좌상(左相) 서명균(徐命均)의 증손이다. 현종 10년 증광문과(增廣文科)에 급제한 후, 고종 17년 이조판서(吏曹判書)를 거쳐 다음해 우의정(右議政)이 되었다. 고종 19년 영의정(領議政)에 오른 뒤 영돈녕부사(領敦寧府事)가 되어 기로소(耆老所)에 들어갔다. 달성서씨(達城徐氏)로 고려조에 인물로 가장 이름있는 이는 정평공(貞平公) 서균형(徐均衡)이다. 그는 대구도호부(大丘都護府)의 인물로 ‘신증동국여지승람’에 실렸다. 서진(徐晋)의 증손이며 공민왕 9년 문과에 급제, 간관(諫官)으로 있으면서 공민왕 15년 신돈(辛旽)이 왕과 나란히 자리에 앉는 등 권세를 떨치자 “신(辛)을 죽여야 한다”고 직언(直言)하였다. 그는 왜구의 잦은 침입에 대비, “주함(舟艦)을 구축하고 기구를 갖춰 적의 침입로를 막아야 한다”는 등 국방에 힘쓸 것을 주장하였다. 이부상서(吏部尙書)와 정당문학(政堂文學)을 지내고 공양왕 1년에는 상의문하(商議門下)로서 사부(師傅)에 임명되었다. 그의 증손인 서섭(徐涉)은 조선 초에 이조판서(吏曹判書)를 지냈다. 서응시(徐應時)는 조헌(趙憲)의 제자로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스승을 따라 분전했으나 7백의사(義士)와 함께 금산싸움에서 순절했다. 서변(徐忭)은 인조 11년 식년문과(式年文科)에 갑과(甲科)로 급제, 서학교수(西學敎授)가 되었다. 인조 14년 병자호란(丙子胡亂)이 일어나자 김상헌(金尙憲) 등과 함께 주전파(主戰派)로서 청(淸)나라와의 화의(和議)를 극력 반대했다. 뒤에 한성부판관(漢城府判官)을 지내고 효종 7년 천안군수(天安郡守)가 되었다. 판도공파(版圖公派)의 시조 서진(徐晋)은 판도판서(版圖判書)를 지내고 달성군(達城君)에 봉해졌다. 손자인 서이(徐이)가 찬성사(贊成事)에 이르러 달성군(達城君)에 봉해졌다. 세종조의 인물 둔암(遯菴) 서한정(徐翰廷) (진사(進士))도 판도판서(版圖判書) 서진(徐晋)의 후예이다. 단종 손위(遜位) 때에 가족을 이끌고 남하(南下), 순흥(順興)땅에 들어가 두문불출하였다. 대구서씨(大丘徐氏)의 근대(近代) 인물로는 서광범(徐光範), 의병장 서상렬(徐相烈)과 서재필(徐載弼)이 있다. 서광범(徐光範)은 김옥균(金玉均) 등과 함께 개화파의 소장정치인이었다. 조선이 개화하기 위한 힘을 일본에서 구하여 일본의 지원하에 우정국사건(갑신정변)을 일으켜 3일 동안 정권을 잡기도 했다. 갑신정변이 3일천하로 끝나자 일본에 망명했고, 뒤에 일본의 압력하에 이루어진 갑오경장 뒤 2차 김홍집내각에서 법부대신(法部大臣)에 임명되기도 하였다. 제국주의국가로 조선을 병탄하려는 일본의 세력을 끌어들여 비판받고 있으며, 그 당시에는 문중인들이 그가 대구서씨(大丘徐氏)의 항렬자를 쓰는 것을 부끄러워하여 이름을 고치기도 하였다. 서상렬(徐相烈)은 1895년 일본인들에 의해 민비(閔妃)가 시해되자 제천(堤川)에서 의병장 이춘영(李春永)의 휘하에 들어가 선봉장으로 싸웠다. 다음해 예천에서 회맹소(會盟所)를 조직, 대장이 되어 낭천(浪川)에서 싸우다 전사했다. 서재필(徐載弼)은 김옥균(金玉均), 서광범(徐光範) 등 개화파와 사귀고 일본에 건너가 동경육군유년학교(東京陸軍幼年學校)를 마쳤다. 조련국(調練局) 사관장이 되었다. 이해 갑신정변을 일으켰으나 실패하자 미국으로 망명하였다. 미국에서 미국인으로 귀화,필립 제이슨이 되어 의학공부를 하고 1896년 귀국, 중추원(中樞院) 고문이 되고 독립협회를 조직, 독립신문을 발간했다. 국내의 압력으로 다시 출국하여 미국에서 활동하였다. 상해임시정부의 외교위원장 자격으로, 1922년 워싱턴 군축회의에 독립을 청원하는 연판장을 돌렸다. 광복 후 미국정청 하지의 초청으로 입국, 과도정부 최고정무관이 되기도 했다. 구한말 이후의 인물에는 대구서씨(大丘徐氏)로 서화가 서병오(徐丙五)와 달성서씨(達城徐氏) 서상일(徐相日)을 들 수 있다. 서병오(徐丙五)는 서화 뿐 아니라 가야금, 의약에도 통달했으며 군수(郡守)를 지냈다. 대구에서 서화연구회를 창설하여 후진을 양성하였고, 조선미술전람회 심사위원을 지냈다. 동암(東菴) 서상일(徐相日)은 1909년 안희제(安熙濟), 김동삼(金東三), 윤병호(尹炳浩) 등과 대동청년당(大同靑年黨)을 조직, 독립운동을 전개했다. 그 후 만주(滿洲)로 망명하여 독립운동을 계속했다. 광복 후 한국민주당(韓國民主黨) 창당(創黨)에 참여하여 총무에 선임되었다. 1948년 제헌국회의원(制憲國會議員)에 당선, 헌법기초위원(憲法起草委員)으로 활약했으며, 1960년 제(第)5대(代) 민의원(民議員)에 당선되었다.
 |
 |
|
|
역대 주요 인물 |
|
(소윤공파(少尹公派))
▲고려조
서한(徐閈) (자(字) : 인리(仁里) · 군기소윤(軍器少尹)) 서익진(徐益進) (판전용사사(判典容寺事)) 서의(徐義) (호조전서(戶曹典書))
▲조선조
서미성(徐彌性) (자(字) : 자상(子常) · 목사(牧使)) 서거광(徐居廣) (의금부도사(義禁府都事)) 서팽소(徐彭召) (자(字) : 맹당(孟棠) · 사헌부장령(司憲府掌令)) 서후(徐厚) (자(字) : 덕재(德載) · 대사간(大司諫)) 서호(徐浩) (자(字) : 덕기(德基) · 의금부사(義禁府事)) 서고(徐固) (예조참의(禮曹參議)) 서성(徐성) (자(字) : 현기(玄紀) · 호(號) : 약봉(藥峰) · 판중추부사(判中樞府事)) 서거정(徐居正) (자(字) : 강중(剛中) · 호(號) : 사가정(四佳亭) · 달성군(達城君) · 의정부좌찬성(議政府左贊成)) 서경우(徐景雨) (자(字) : 시백(施伯) · 호(號) : 만사(晩沙) · 의정부우의정(議政府右議政)) 서원리(徐元履) (자(字) : 덕기(德基) · 호(號) : 화곡(華谷) · 관찰사(觀察使)) 서문중(徐文重) (자(字) : 도윤(道潤) · 호(號) : 몽어(夢漁) · 의정부(議政府) · 영의정(領議政)) 서광보(徐匡輔) (자(字) : 백원(百源) · 부사(府使)) 서병순(徐秉淳) (자(字) : 사집(士執) · 부사(府使)) 서상후(徐相後) (자(字) : 유여(裕汝) · 첨지중추부사(僉知中樞府事)) 서형리(徐亨履) (자(字) : 여창(汝暢) · 사재감첨정(司宰監僉正)) 서유봉(徐有鳳) (자(字) : 성래(聖來) · 동지중추부사(同知中樞府事)) 서유복(徐有福) (자(字) : 광삼(光三) · 첨지중추부사(僉知中樞府事)) 서헌수(徐獻修) (자(字) : 언례(言禮) · 동지중추부사(同知中樞府事)) 서유련(徐有鍊) (자(字) : 여강(汝剛) · 승정원동부승지(承政院同副承旨)) 서신수(徐愼修) (자(字) : 덕수(德叟) · 부사(府使)) 서경보(徐敬輔) (자(字) : 중직(仲直) · 전주(全州) · 영장(營將)) 서병준(徐丙俊) (자(字) : 여은(汝恩) · 의금부도사(義禁府都事)) 서기순(徐耆淳) (자(字) : 영백(英伯) · 이조참의(吏曹參議)) 서상조(徐相祖) (자(字) : 경념(敬念) · 판돈녕부사(判敦寧府事)) 서경순(徐經淳) (자(字) : 성언(聖言) · 좌부승지(左副承旨)) 서상준(徐相駿) (승정원부정(承政院副正)) 서상범(徐相範) (자(字) : 덕화(德化) · 동지중추부사(同知中樞府事)) 서상하(徐相夏) (자(字) : 성장(聖章) · 의금부도사(義禁府都事)) 서련순(徐璉淳) (자(字) : 내진(乃鎭) · 첨지중추부사(僉知中樞府事)) 서병길(徐丙吉) (자(字) : 명숙(明淑) · 의금부도사(義禁府都事)) 서상욱(徐相旭) (자(字) : 성삼(聖三) · 동지중추부사(同知中樞府事)) 서상진(徐相臻) (자(字) : 재순(在順) · 도사(都事)) 서상익(徐相翼) (자(字) : 사문(四文) · 첨지중추부사(僉知中樞府事)) 서무순(徐戊淳) (자(字) : 흥칠(興七) · 동지중추부사(同知中樞府事)) 서정악(徐廷岳) (자(字) : 순사(舜四) · 비서원승지(秘書院承旨)) 서명순(徐明淳) (자(字) : 덕여(德汝) · 돈녕부사(敦寧府事)) 서병일(徐丙逸) (자(字) : 인수(仁秀) · 도사(都事)) 서상건(徐相健) (자(字) : 치선(致善) · 오위장(五衛將)) 서화순(徐華淳) (자(字) : 희숙(羲叔) · 동지중추부사(同知中樞府事)) 서홍순(徐泓淳) (자(字) : 성심(聖深) · 부호군(副護軍)) 서정순(徐貞淳) (자(字) : 경문(敬文) · 동지중추부사(同知中樞府事)) 서유건(徐有健) (자(字) : 기중(基中) · 부사(府使)) 서춘보(徐春輔) (동지중추부사(同知中樞府事)) 서명무(徐命茂) (자(字) : 미경(美卿) · 부사(府使)) 서유룡(徐有龍) (자(字) : 천우(天雨) · 어사(禦使)) 서치보(徐致輔) (자(字) : 수량(秀良) · 부사(府使)) 서유영(徐有榮) (자(字) : 원여(元汝) · 동지중추부사(同知中樞府事)) 서진보(徐振輔) (자(字) : 화서(和書) · 동지중추부사(同知中樞府事)) 서종립(徐宗立) (첨지중추부사(僉知中樞府事)) 서명전(徐命典) (첨지중추부사(僉知中樞府事)) 서유상(徐有常) (자(字) : 길재(吉哉) · 목사(牧使)) 서일보(徐日輔) (자(字) : 군찬(君贊) · 공조참의(工曹參議)) 서인수(徐仁修) (자(字) : 사강(士綱) · 부사(府使)) 서유경(徐有慶) (자(字) : 군선(君善) · 예조판서(禮曹判書)) 서홍보(徐弘輔) (자(字) : 대재(大哉) · 목사(牧使)) 서능보(徐能輔) (자(字) : 치량(穉良) · 이조판서(吏曹判書)) 서유녕(徐有寧) (자(字) : 치오(致五) · 예조판서(禮曹判書)) 서노수(徐魯修) (자(字) : 예보(禮甫) · 목사(牧師)) 서봉보(徐鳳輔) (자(字) : 익서(翼瑞) · 부사(府使)) 서유승(徐有升) (자(字) : 일여(日汝) · 돈녕부도정(敦寧府都正)) 서호수(徐好修) (자(字) : 낙부(樂夫) · 돈녕부판관(敦寧府判官)) 서장보(徐長輔) (자(字) : 공서(公瑞) · 예조참의(禮曹參議)) 서유승(徐有升) (동지중추부사(同知中樞府事)) 서명오(徐命五) (자(字) : 사함(士咸) · 목사(牧使)) 서명구(徐命九) (자(字) : 우경(虞卿) · 대사헌(大司憲)) 서유린(徐有隣) (자(字) : 원덕(元德) · 호(號) : 영호(穎湖) · 이조판서(吏曹判書)) 서준보(徐俊輔) (자(字) : 치수(穉秀) · 호(號) : 죽산(竹山)&판중추부사(判中樞府事)) 서유방(徐有防) (자(字) : 원례(元禮) · 호(號) : 봉헌(奉軒) · 이조판서(吏曹判書)) 서택리(徐擇履) (자(字) : 여정(汝精) · 부사(府使)) 서명준(徐命遵) (동지중추부사(同知中樞府事)) 서중보(徐重輔) (자(字) : 사직(士直) · 부호군(副護軍)) 서명의(徐命宜) (자(字) : 윤집(允執) · 첨지중추부사(僉知中樞府事)) 서실보(徐實輔) (자(字) : 내삼(乃三) · 첨지중추부사(僉知中樞府事)) 서상리(徐祥履) (자(字) : 여길(汝吉) · 승정원좌승지(承政院左承旨)) 서종일(徐宗一) (자(字) : 귀경(貴卿) · 판결사(判決事)) 사간수(徐侃修) (자(字) : 여행(汝行) · 부사(府使)) 서양보(徐良輔) (자(字) : 사필(士弼) · 부사(府使)) 서명학(徐命鶴) (자(字) : 순현(順鉉) · 동지중추부사(同知中樞府事)) 서용보(徐用輔) (자(字) : 득용(得用) · 동지중추부사(同知中樞府事)) 서계수(徐繼修) (오위장(五衛將)) 서명위(徐命緯) (지중추부사(知中樞府事)) 서광수(徐光修) (자(字) : 백숙(伯叔) · 동지중추부사(同知中樞府事)) 서유완(徐有完) (자(字) : 벽화(壁和) · 동지중추부사(同知中樞府事)) 서긍순(徐肯淳) (자(字) : 항순(恒純) · 부사(府使)) 서경주(徐景霌) (자(字) : 자순(子順) · 도총관(都摠管)) 서정리(徐貞履) (자(字) : 면중(勉中) · 부사(府使)) 서문상(徐文尙) (자(字) : 국익(國益) · 병조참의(兵曹參議)) 서종태(徐宗泰) (자(字) : 노망(魯望) · 호(號) : 만정당(晩靜堂) · 영의정(領議政)) 서일수(徐日修) (자(字) : 신지(新之) · 목사(牧使)) 서용보(徐容輔) (자(字) : 희진(希眞) · 돈녕부도정(敦寧府都正)) 서명균(徐命均) (자(字) : 평보(平輔) · 좌의정(左議政)) 서유신(徐有臣) (자(字) : 순오(舜五) · 대제학(大提學)) 서영보(徐榮輔) (자(字) : 경세(慶世) · 호(號) : 죽석(竹石) · 이조판서(吏曹判書)) 서경보(徐耕輔) (자(字) : 임세(任世) · 호(號) : 묘옹(卯翁) · 이조판서(吏曹判書)) 서무수(徐懋修) (자(字) : 욱지(욱之) · 목사(牧使)) 서당보(徐堂輔) (자(字) : 계긍(季肯) · 호(號) : 다사(茶史) · 영의정(領議政)) 서회수(徐晦修) (자(字) : 근지(根之) · 공조판서(工曹判書)) 서필수(徐必修) (자(字) : 덕윤(德潤) · 부사(府使)) 서혁수(徐赫修) (자(字) : 중회(仲晦) · 판중추부사(判中樞府事)) 서유화(徐有和) (자(字) : 군협(君協) · 동지중추부사(同知中樞府事)) 서우보(徐遇輔) (오위장(五衛將)) 서협수(徐浹修) (동지중추부사(同知中樞府事)) 서명우(徐命遇) (자(字) : 응회(膺會) · 병조참의(兵曹參議)) 서유안(徐有安) (자(字) : 사명(思明) · 부호군(副護軍)) 서천보(徐天輔) (자(字) : 시언(時彦) · 첨지중추부사(僉知中樞府事)) 서복수(徐復修) (좌승지(左承旨)) 서문진(徐文縉) (자(字) : 운숙(雲叔) · 부사(府使)) 서명동(徐命東) (동지중추부사(同知中樞府事)) 서종적(徐宗積) (자(字) : 중거(仲車) · 한성부판윤(漢城府判尹)) 서유대(徐有大) (자(字) : 자겸(子謙) · 한성부판윤(漢城府判尹)) 서영보(徐英輔) (자(字) : 여방(汝芳) · 형조참판(刑曹參判)) 서명연(徐命衍) (자(字) : 행옥(行玉) · 도승지(都承旨)) 서학수(徐學修) (자(字) : 천민(天民) · 목사(牧使)) 서유원(徐有元) (자(字) : 춘보(春輔) · 대사간(大司諫)) 서기보(徐冀輔) (첨지중추부사(僉知中樞府事)) 서종장(徐宗長) (자(字) : 진경(振卿) · 부사(府使)) 서종관(徐宗觀) (동지중추부사(同知中樞府事)) 서유원(徐有源) (오위장(五衛將)) 서명량(徐命亮) (동지중추부사(同知中樞府事)) 서문익(徐文益) (자(字) : 문익(文益) · 병조참의(兵曹參議)) 서종기(徐宗基) (자(字) : 청교(淸巧) · 부총관(副摠管)) 서근수(徐謹修) (동지중추부사(同知中樞府事)) 서유도(徐有濤) (동지중추부사(同知中樞府事)) 서종철(徐宗哲) (자(字) : 원백(元伯) · 부호군(副護軍)) 서영수(徐英修) (자(字) : 영위(英謂) · 부호군(副護軍)) 서서수(徐瑞修) (자(字) : 치삼(致三) · 부호군(副護軍)) 서인보(徐仁輔) (자(字) : 정덕(正德) · 오위장(五衛將)) 서익수(徐益修) (자(字) : 집일(執一) · 병마수군절도사(兵馬水軍節度使)) 서철보(徐哲輔) (자(字) : 보현(甫玄) · 첨지중추부사(僉知中樞府事)) 서노수(徐魯修) (자(字) : 성약(聖若) · 오위장(五衛將)) 서유선(徐有善) (자(字) : 익현(益賢) · 사복시정(司僕侍正)) 서배수(徐配修) (자(字) : 양여(養汝) · 대사헌(大司憲)) 서종급(徐宗級) (자(字) : 사술(士述) · 이조참판(吏曹參判)) 서유원(徐有源) (자(字) : 대래(大來) · 첨지중추부사(僉知中樞府事)) 서유성(徐有成) (자(字) : 군집(君集) · 대사헌(大司憲)) 서형수(徐迥修) (자(字) : 사의(士毅) · 관찰사(觀察使)) 서실보(徐室輔) (오위장(五衛將)) 서유망(徐有望) (자(字) : 표민(表民) · 대사성(大司成)) 서도수(徐都修) (자(字) : 사빈(士彬) · 대사간(大司諫)) 서중보(徐中輔) (자(字) : 치화(穉和) · 돈녕부도정(敦寧府都正)) 서종구(徐宗九) (첨지중추부사(僉知中樞府事)) 서종집(徐宗集) (자(字) : 사성(士成) · 목사(牧使)) 서유필(徐有弼) (자(字) : 문도(文道) · 이조참판(吏曹參判)) 서유칭(徐有칭) (자(字) : 계원(季元) · 부사(府使)) 서정보(徐鼎輔) (자(字) : 자안(子安) · 이조참판(吏曹參判)) 서장보(徐壯輔) (자(字) : 치대(穉大) · 부호군(副護軍)) 서명선(徐命宣) (동지중추부사(同知中樞府事)) 서명채(徐命寀) (첨지중추부사(僉知中樞府事)) 서명웅(徐命雄) (자(字) : 홍화(洪和) · 좌승지(左承旨)) 서영수(徐英修) (자(字) : 광연(廣淵) · 부사(府使)) 서종섭(徐宗燮) (자(字) : 숙화(叔和) · 이조참의(吏曹參議)) 서매수(徐邁修) (자(字) : 덕이(德而) · 의정부영의정(議政府領議政)) 서옥수(徐沃修) (자(字) : 계여(啓汝) · 의금부도사(義禁府都事)) 서유영(徐有英) (자(字) : 자직(子直) · 돈녕부도정(敦寧府都正)) 서유철(徐有哲) (자(字) : 사윤(士允) · 동지중추부사(同知中樞府事)) 서행보(徐行輔) (자(字) : 군옥(君玉) · 첨지중추부사(僉知中樞府事)) 서문술(徐文術) (자(字) : 오운(五雲) · 도총관(都摠管)) 서우순(徐瑀淳) (자(字) : 우옥(禹玉) · 동지중추부사(同知中樞府事)) 서상칠(徐相七) (자(字) : 광산(光山) · 호(號) : 경산(敬山) · 부호군(副護軍)) 서일석(徐日錫) (자(字) : 영백(永白) · 호(號) : 추금(秋金) · 의금부도사(義禁府都事)) 서철순(徐喆淳) (자(字) : 자명(子明) · 부사(府事)) 서상옥(徐相鈺) (자(字) : 성기(聖基) · 돈녕부도정(敦寧府都正)) 서상술(徐相述) (자(字) : 대운(大暈) · 의금부도사(義禁府都事)) 서응순(徐膺淳) (자(字) : 군수(君受) · 형조참판(刑曹參判)) 서상봉(徐相鳳) (의금부사(義禁府事)) 서영순(徐永淳) (자(字) : 경원(敬元) · 부사(府使)) 서상설(徐相說) (부호군(副護軍)) 서상록(徐相祿) (자(字) : 백완(伯緩) · 우부승지(右副承旨)) 서광두(徐光斗) (자(字) : 성건(聖建) · 호조참판(戶曹參判)) 서재후(徐載厚) (자(字) : 치부(穉부) · 우부승지(右副承旨)) 서재필(徐載弼) (병조참판(兵曹參判)) 서찬석(徐讚錫) (자(字) : 기영(箕榮) · 이조참판(吏曹參判)) 서호순(徐灝淳) (자(字) : 명원(明遠) · 목사(牧使)) 서상정(徐相鼎) (자(字) : 이응(而凝) · 공조판서(工曹判書)) 서대순(徐戴淳) (자(字) : 원형(元亨) · 호(號) : 향파(鄕坡) · 예조판서(禮曹判書)) 서상익(徐相翊) (자(字) : 경부(敬夫) · 호(號) : 예계(藝溪) · 이조참판(吏曹參判)) 서희순(徐熹淳) (자(字) : 치회(穉晦) · 호(號) : 우란(友蘭) · 이조판서(吏曹判書)) 서상수(徐相洙) (자(字) : 두옥(斗玉) · 동지중추부사(同知中樞府事)) 서영순(徐英淳) (자(字) : 기백(耆伯) · 판서(判書)) 서옥순(徐玉淳) (도호부사(都護府使)) 서형순(徐衡淳) (자(字) : 치평(穉平) · 호(號) : 한산(漢山) · 판돈녕부사(判敦寧府事)) 서용순(徐容淳) (자(字) : 경구(敬九) · 이조참의(吏曹參議)) 서공순(徐公淳) (병조참판(兵曹參判)) 서상경(徐相慶) (자(字) : 춘부(春夫) · 오위장(五衛將)) 서득순(徐得淳) (자(字) : 숙흥(叔興) · 부사(府使)) 서병복(徐丙福) (자(字) : 공백(公百) · 군부협판(軍府協判)) 서인순(徐仁淳) (동지중추부사(同知中樞府事)) 서상문(徐相文) (부호군(副護軍)) 서상익(徐相翊) (동지중추부사(同知中樞府事)) 서상옥(徐相玉) (자(字) : 사각(士珏) · 오위장(五衛將)) 서청순(徐靑淳) (자(字) : 사심(士心) · 오위장(五衛將)) 서상규(徐相圭) (자(字) : 진오(鎭五) · 돈녕부도정(敦寧府都正)) 서돈순(徐敦淳) (자(字) : 백후(伯厚) · 동지중추부사(同知中樞府事)) 서상천(徐相天) (자(字) : 부경(溥卿) · 호(號) : 화정(華庭) · 좌승지(左承旨)) 서상근(徐相根) (자(字) : 덕흥(德興) · 참판(參判)) 서병균(徐丙均) (자(字) : 서인(瑞仁) · 중추부사(中樞府事)) 서학순(徐學淳) (자(字) : 성삼(聖三) · 도정(都正)) 서준순(徐俊淳) (자(字) : 치련(致連) · 돈녕부도정(敦寧府都正)) 서증순(徐曾淳) (자(字) : 군여(君汝) · 호(號) : 벽곡(碧哭) · 참판(參判)) 서상수(徐相守) (자(字) : 명심(明心) · 첨지중추부사(僉知中樞府事)) 서원순(徐元淳) (자(字) : 태시(太始) · 예조판서(禮曹判書)) 서상복(徐相福) (자(字) : 정원(庭元) · 첨지중추부사(僉知中樞府事)) 서상규(徐相奎) (자(字) : 윤화(允華) · 첨지중추부사(僉知中樞府事)) 서인순(徐璘淳) (자(字) : 덕화(德化) · 부호군(副護軍)) 서희순(徐禧淳) (옥성판윤(沃城判尹)) 서학순(徐학淳) (자(字) : 우고(羽高) · 수군첨절제사(水軍僉節制使)) 서상익(徐相益) (자(字) : 우경(虞卿) · 동지중추부사(同知中樞府事)) 서병정(徐丙鼎) (자(字) : 치구(致九) · 병조참판(兵曹參判)) 서정규(徐廷圭) (자(字) : 세유(歲有) · 한성부판윤(漢城府判尹)) 서병태(徐丙泰) (자(字) : 경문(景文) · 도호부사(都護府使)) 서상악(徐相岳) (자(字) : 보경(甫卿) · 우승지(右承旨)) 서봉순(徐鳳淳) (자(字) : 경승(敬承) · 좌승지(左承旨)) 서병무(徐丙懋) (자(字) : 치삼(致三) · 한성부판윤(漢城府判尹)) 서정두(徐廷斗) (자(字) : 공칠(公七) · 훈련첨정(訓練僉正)) 서상오(徐相五) (자(字) : 성서(聖瑞) · 병조참판(兵曹參判)) 서병훈(徐丙勳) (자(字) : 원필(元弼) · 병조참판(兵曹參判)) 서정철(徐廷喆) (자(字) : 중길(重吉) · 비서원승지(秘書院承旨)) 서상직(徐相稷) (자(字) : 하경(夏卿) · 동지중추부사(同知中樞府事)) 서상옥(徐相玉) (자(字) : 선필(善弼) · 부호군(副護軍)) 서경순(徐敬淳) (자(字) : 윤오(允五) · 부호군(副護軍)) 서상헌(徐相憲) (자(字) : 사필(士弼) · 첨지중추부사(僉知中樞府事)) 서병국(徐丙國) (자(字) : 이행(爾行) · 부호군(副護軍)) 서병희(徐丙熙) (금부도사(禁府都事)) 서상일(徐相逸) (자(字) : 여간(汝艮) · 동지중추사(同知中樞事)) 서학순(徐學淳) (자(字) : 승우(勝友) · 부호군(副護軍)) 서상훈(徐相焄) (자(字) : 복여(馥如) · 첨지중추부사(僉知中樞府事)) 서완순(徐完淳) (자(字) : 완득(完得) · 부호군(副護軍)) 서상운(徐相運) (자(字) : 광운(廣云) · 부호군(副護軍)) 서상규(徐相圭) (자(字) : 학천(學天) · 오위장(五衛將)) 서종민(徐宗敏) (자(字) : 사행(士行) · 첨지중추부사(僉知中樞府事)) 서종은(徐宗殷) (부호군(副護軍)) 서명의(徐命誼) (지중추부사(知中樞府事)) 서종규(徐宗奎) (자(字) : 희경(喜敬) · 돈녕부도정(敦寧府都正)) 서명건(徐命健) (자(字) : 자영(子榮) · 동지중추부사(同知中樞府事)) 서명상(徐命祥) (자(字) : 복영(復榮) · 공조참판(工曹參判)) 서항순(徐恒淳) (자(字) : 경모(敬模) · 돈녕부도정(敦寧府都正)) 서상엽(徐相燁) (자(字) : 순일(順日) · 오위장(五衛將)) 서민순(徐民淳) (자(字) : 원강(元康) · 동지중추부사(同知中樞府事)) 서상학(徐相學) (자(字) : 준필(俊弼) · 부사(府使)) 서관리(徐觀履) (자(字) : 사인(士寅) · 동지중추부사(同知中樞府事)) 서유일(徐有壹) (자(字) : 도관(道貫) · 사복시정(司僕侍正)) 서종성(徐宗成) (자(字) : 후성(後成) · 부호군(副護軍)) 서유권(徐有權) (자(字) : 명권(命權) · 동지중추부사(同知中樞府事)) 서인보(徐麟輔) (자(字) : 인봉(麟鳳) · 동지중추부사(同知中樞府事)) 서인보(徐仁輔) (자(字) : 덕팔(德八) · 동지중추부사(同知中樞府事)) 서명빈(徐命彬) (자(字) : 질보(質甫) · 이조판서(吏曹判書)) 서내수(徐來修) (자(字) : 민지(敏之) · 의금부도사(義禁府都事)) 서종헌(徐宗憲) (자(字) : 치도(致度) · 관찰사(觀察使)) 서명연(徐命淵) (자(字) : 정오(靜五) · 관찰사(觀察使)) 서민수(徐敏修) (자(字) : 사행(士行) · 돈녕부사(敦寧府使)) 서유량(徐有良) (자(字) : 자미(子美) · 우승지(右承旨)) 서유엽(徐有燁) (동지중추부사(同知中樞府事)) 서유언(徐有言) (자(字) : 신실(信實) · 호조판서(戶曹判書)) 서문징(徐文徵) (자(字) : 숙관(叔觀) · 부사(府使)) 서탁(徐琢) (자(字) : 옥여(玉汝) · 목사(牧使)) 서명서(徐命瑞) (자(字) : 백오(伯五) · 지중추부사(知中樞府事)) 서공수(徐恭修) (동지중추부사(同知中樞府事)) 서화보(徐화輔) (동지중추부사(同知中樞府事)) 서명규(徐命珪) (자(字) : 중오(仲五) · 첨지중추부사(僉知中樞府事)) 서명수(徐明修) (자(字) : 의일(義一) · 첨지중추부사(僉知中樞府事)) 서문유(徐文裕) (자(字) : 수용(秀容) · 예조판서(禮曹判書)) 서종옥(徐宗玉) (자(字) : 온숙(溫叔) · 이조판서(吏曹判書)) 서호수(徐浩修) (자(字) : 양직(養直) · 이조판서(吏曹判書)) 서명응(徐命膺) (자(字) : 군수(君受) · 판중추부사(判中樞府事)) 서유구(徐有榘) (자(字) : 준평(準平) · 지중추부사(知中樞府事)) 서칠보(徐七輔) (자(字) : 여성(汝星) · 돈녕부도정(敦寧府都正)) 서명선(徐命善) (자(字) : 계중(繼中) · 의정부영의정(議政府領議政)) 서형수(徐瀅修) (자(字) : 여림(汝琳) · 관찰사(觀察使)) 서종벽(徐宗璧) (자(字) : 국보(國寶) · 목사(牧使)) 서낙수(徐洛修) (자(字) : 여원(汝源) · 부사(府使)) 서원보(徐元輔) (자(字) : 윤선(允善) · 형조참판(刑曹參判)) 서명민(徐命敏) (자(字) : 덕중(德中) · 목사(牧使)) 서유우(徐有佑) (자(字) : 한우(漢佑) · 부호군(副護軍)) 서해수(徐海修) (자(字) : 간숙(干叔) · 부호군(副護軍)) 서위보(徐瑋輔) (자(字) : 경집(敬集) · 오위장(五衛將)) 서명원(徐命遠) (자(字) : 응삼(應三) · 첨지중추부사(僉知中樞府事)) 서재수(徐在修) (자(字) : 원범(元範) · 동지중추부사(同知中樞府事)) 서문길(徐文吉) (자(字) : 무향(茂鄕) · 동지중추부사(同知中樞府事)) 서종중(徐宗重) (자(字) : 중생(仲生) · 동지중추부사(同知中樞俯事)) 서성보(徐聖輔) (자(字) : 성일(聖逸) · 오위장(五衛將)) 서계순(徐啓淳) (자(字) : 명장(命長) · 동지중추부사(同知中樞俯事)) 서상무(徐相務) (자(字) : 만록(萬祿) · 돈녕부도정(敦寧府都正)) 서수순(徐壽淳) (자(字) : 수관(壽寬) · 동지중추부사(同知中樞俯事)) 서병협(徐丙挾) (자(字) : 재협(在挾) · 동지중추부사(同知中樞俯事)) 서승순(徐昇淳) (자(字) : 승환(昇煥) · 동지중추부사(同知中樞俯事)) 서상진(徐相珍) (자(字) : 내흥돈녕부도정(乃興敦寧府都正)) 서병하(徐丙厦) (자(字) : 병규(丙奎) · 동지중추부사(同知中樞俯事)) 서상현(徐相鉉) (자(字) : 정현(正賢) · 동지중추부사(同知中樞俯事)) 서궤보(徐궤輔) (자(字) : 익훈(益訓) · 호(號) : 만취(晩翠) · 이조참의(吏曹參議)) 서격수(徐格修) (자(字) : 치여(致汝) · 동지중추부사(同知中樞俯事)) 서종업(徐宗業) (자(字) : 대숙(大叔) · 의금부도사(義禁府都事)) 서미수(徐美修) (자(字) : 오여(五汝) · 도승지(都承旨)) 서유?(徐有?) (자(字) : 악삼(樂三) · 공조판서(工曹判書)) 서승보(徐承輔) (자(字) : 원예(元藝) · 호(號) : 규정(圭庭) · 형조판서(刑曹判書)) 서운보(徐雲輔) (자(字) : 치영(穉英) · 공조참의(工曹參議)) 서명인(徐命仁) (자(字) : 선장(善長) · 부사(府使)) 서유수(徐有修) (자(字) : 경지(敬之) · 돈녕부도정(敦寧府都正)) 서유문(徐有聞) (자(字) : 학수(鶴叟) · 이조참판(吏曹參判)) 서좌보(徐左輔) (자(字) : 공필(公弼) · 예조판서(禮曹判書)) 서유성(徐有聲) (자(字) : 준수(駿叟) · 부사(府使)) 서명전(徐命全) (자(字) : 요부(堯夫) · 돈녕부사(敦寧府事)) 서기보(徐기輔) (자(字) : 치교(穉敎) · 장악원정(掌樂院正)) 서정수(徐鼎修) (자(字) : 여성(汝盛) · 호(號) : 이헌(彛軒) · 이조판서(吏曹判書)) 서증보(徐曾輔) (자(字) : 성웅(聖雄) · 호(號) : 곤파(困坡) · 형조참의(刑曹參議)) 서기보(徐綺輔) (자(字) : 봉세(鳳世) · 목사(牧使)) 서필보(徐必輔) (자(字) : 덕부(德夫) · 첨지중추부사(僉知中樞俯事)) 서종급(徐宗伋) (자(字) : 여사(汝思) · 이조판서(吏曹判書)) 서간수(徐簡修) (자(字) : 성가(聖可) · 목사(牧使)) 서종협(徐宗浹) (자(字) : 여화(汝和) · 목사(牧使)) 서덕수(徐德修) (자(字) : 성문(聖文) · 중추부사(中樞府事)) 서승순(徐承淳) (자(字) : 의규(義揆) · 공조참판(工曹參判)) 서경순(徐競淳) (자(字) : 미기(美幾) · 공조참판(工曹參判)) 서상지(徐相至) (자(字) : 윤미(綸美) · 좌부승지(左副承旨)) 서기순(徐箕淳) (자(字) : 중표(仲表) · 예조판서(禮曹判書)) 서만순(徐萬淳) (자(字) : 한석(漢石) · 형조참판(刑曹參判)) 서념순(徐念淳) (자(字) : 경조(敬祖) · 이조판서(吏曹判書)) 서헌순(徐憲淳) (자(字) : 치장(穉章) · 이조판서(吏曹判書)) 서인순(徐仁淳) (자(字) : 인백(仁伯) · 동지중추부사(同知中樞俯事)) 서상기(徐相綺) (자(字) : 함실(咸實) · 동지중추부사(同知中樞俯事)) 서상현(徐相鉉) (자(字) : 은화(殷化) · 첨지중추부사(僉知中樞俯事)) 서한순(徐漢淳) (자(字) : 동근(東根) · 의금부도사(義禁府都事)) 서극리(徐克履) (자(字) : 덕중(德中) · 지중추부사(知中樞俯事)) 서문천(徐文天) (자(字) : 욱재(욱哉) · 첨지중추부사(僉知中樞俯事)) 서종영(徐宗榮) (자(字) : 선장(善章) · 첨지중추부사(僉知中樞俯事)) 서명철(徐命喆) (부호군(副護軍)) 서흥순(徐興淳) (대사간(大司諫)) 서미신(徐彌信) (자(字) : 자칠(子七) · 목사(牧使)) 서거대(徐居大) (자(字) : 대중(大中) · 호조참의(戶曹參議)) 서응춘(徐應春) (자(字) : 화숙(和叔) · 호조참판(戶曹參判)) 서우(徐祐) (자(字) : 덕기(德基) · 호(號) : 죽림정(竹林亭) · 의금부사(義禁府事)) 서경춘(徐景春) ( · 호(號) : 붕래(朋來) · 공조참판(工曹參判)) 서주순(徐주淳) (자(字) : 성원(聖元) · 형조참판(刑曹參判)) 서희순(徐喜淳) (자(字) : 기재(起哉) · 의금부도사(義禁府都事)) 서경순(徐敬淳) (자(字) : 공화(公華) · 부사(府使)) 서상기(徐相耆) (자(字) : 여로(汝潞) · 우부승지(右副承旨)) 서면순(徐勉淳) (동부승지(同副承旨)) 서상로(徐相魯) (자(字) : 준백(俊伯) · 중추부사(中樞府事)) 서상홍(徐相弘) (자(字) : 홍석(弘石) · 첨지중추부사(僉知中樞俯事)) 서함순(徐咸淳) (자(字) : 중언(仲彦) · 지중추부사(知中樞俯事)) 서상학(徐相學) (자(字) : 경옥(敬玉) · 오위장(五衛將)) 서도립(徐道立) (자(字) : 중언(仲彦) · 지중추부사(知中樞俯事)) 서경운(徐景雲) (호(號) : 송당(松塘) · 이조참의(吏曹參議)) 서봉수(徐鳳修) (자(字) : 익서(翼瑞) · 동지중추부사(同知中樞俯事)) 서병석(徐丙奭) (자(字) : 국원(國元) · 동지중추부사(同知中樞俯事)) 서병록(徐丙祿) (자(字) : 사표(四表) · 동지중추부사(同知中樞俯事)) 서휘보(徐徽輔) (자(字) : 성손(聖遜) · 동지중추부사(同知中樞俯事)) 서문익(徐文翼) ( · 동지중추부사(同知中樞俯事)) 서련금(徐璉金) (자(字) : 기지(器之) · 동지중추부사(同知中樞俯事)) 서상욱(徐尙昱) (자(字) : 천용(天用) · 중추부사(中樞府事)) 서기보(徐騏輔) (자(字) : 성원(聖源) · 첨지중추부사(僉知中樞俯事)) 서명귀(徐命龜) (자(字) : 자건(子建) · 동지중추부사(同知中樞俯事)) 서대웅(徐大雄) (자(字) : 호연(豪然) · 동지중추부사(同知中樞俯事)) 서종영(徐宗永) (자(字) : 후영(後永) · 호(號) : 해산(海山) · 사복시정(司僕侍正)) 서재수(徐再修) (자(字) : 재신(再新) · 좌승지(左承旨)) 서문익(徐文翼) (자(字) : 익룡(翼龍) · 호(號) : 운전(雲田) · 동지중추부사(同知中樞俯事)) 서유학(徐有學) (자(字) : 학현(學賢) · 동지중추부사(同知中樞俯事)) 서응리(徐應履) (자(字) : 백여(伯輿) · 부사(府使)) 서문만(徐文輓) (자(字) : 자정(子定) · 동부승지(同副承旨)) 서규수(徐奎修) (자(字) : 자근(子根) · 부사(府使)) 서명도(徐命道) (자(字) : 순경(舜卿) · 동지중추부사(同知中樞俯事)) 서치보(徐致輔) (자(字) : 치득(致得) · 부호군(副護軍)) 서상언(徐相彦) (자(字) : 성언(成彦) · 돈녕부도정(敦寧府都正)) 서병렬(徐丙烈) (자(字) : 도숙(道淑) · 승지(承旨))
(판도공파(版圖公派))
▲고려조
서진(徐晋) (판도판서(版圖判書)) 서조형(徐釣衡) ( · 시호(諡號) : 정평(貞平) · 정당문학(政堂文學))
▲조선조
서문한(徐文翰) (부승지(副承旨))
[등과인명(登科人名) (양파(兩派)통합)]
▲고려조
문과(文科) 서조형(徐釣衡) (공민왕조)서준(徐浚) (우왕조) 서좌(徐坐) (우왕조)
▲조선조
문과(文科) 서거정(徐居正) (찬성형(贊成衡)) 서도(徐渡) (학유(學諭)) 서팽소(徐彭召) (이랑(吏郞)) 서후(徐厚) (부학(副學)) 서명형(徐命珩) (병참(兵參)) 서종옥(徐宗玉) (이판(吏判)) 서명신(徐命臣) (이판(吏判)) 서지수(徐志修) (영상(領相)) 서만수(徐萬修) (부사(府使)) 서유훈(徐有薰) (이판(吏判)) 서유찬(徐有贊) (응교(應敎)) 서경보(徐畊輔) (판서(判書)) 서상돈(徐相敦) (승지(承旨)) 서상익(徐相翊) (승선(承宣)) 서상봉(徐相鳳) (참판(參判)) 서상보(徐相甫) (판서(判書)) 서고(徐固) (예의(禮議)) 서구연(徐九淵) (부사(府使)) 서엄(徐崦) (사예(司藝)) 서성(徐성) (병판(兵判)) 서경우(徐景雨) (우상(右相)) 서희작(徐希作) (성박(成博)) 서상리(徐祥履) (승지(承旨)) 서변(徐忭) (군수(郡守)) 서문상(徐文尙) (병의(兵議)) 서문중(徐文重) (영상(領相)) 서종태(徐宗泰) (영상(領相)) 서종헌(徐宗憲) (강백(江伯)) 서문유(徐文裕) (예판(禮判)) 서문익(徐文翊) (승지(承旨)) 서명우(徐命遇) (참의(參議)) 서종섭(徐宗燮) (이의(吏議)) 서명연(徐命淵) (충감(忠監)) 서명균(徐命均) (좌상(左相)) 서종하(徐宗厦) (참의(參議)) 서명빈(徐命彬) (이판(吏判)) 서명구(徐命九) (참판(參判)) 서종파(徐宗波) (봉조(奉朝)) 서명휴(徐命烋) (지평(持平)) 서명관(徐命觀) (찰방(察訪)) 서교수(徐敎修) (교리(校理)) 서형수(徐逈修) (감사(監司)) 서명천(徐命天) (이의(吏議)) 서유량(徐有良) (승지(承旨)) 서종협(徐宗浹) (목사(牧使)) 서명응(徐命膺) (이판(吏判)) 서유원(徐有元) (승지(承旨)) 서명선(徐命善) (영상(領相)) 서호수(徐浩修) (이판(吏判)) 서유녕(徐有寧) (판서(判書)) 서유인(徐有隣) (이판(吏判)) 서욱수(徐郁修) (승지(承旨)) 서유방(徐有防) (이판(吏判)) 서회수(徐晦修) (판서(判書)) 서유신(徐有臣) (참판(參判)) 서유경(徐有慶) (판서(判書)) 서헌수(徐獻修) 서용보(徐龍輔) (영상(領相)) 서유성(徐有成) (승지(承旨)) 서유련(徐有鍊) (승지(承旨)) 서정수(徐鼎修) (이판(吏判)) 서배수(徐配修) (승지(承旨)) 서승수(徐昇修) 서미수(徐美修) (참판(參判)) 서유기(徐有沂) 서형수(徐瀅修) 서매수(徐邁修) (영상(領相)) 서유문(徐有聞) (참판(參判)) 서영보(徐榮輔) (이판형(吏判衡)) 서유구(徐有榘) (이판(吏判)) 서준보(徐俊輔) (이판(吏判)) 서장보(徐長輔) (참판(參判)) 서기수(徐淇修) (한림(翰林)) 서유순(徐有恂) (한림(翰林)) 서유소(徐有素) (승지(承旨)) 서영보(徐永輔) (정언(正言)) 서능보(徐能輔) (이판(吏判)) 서유망(徐有望) (승지(承旨)) 서정보(徐鼎輔) (판서(判書)) 서헌보(徐憲輔) (승지(承旨)) 서당보(徐堂輔) (영상(領相)) 서신보(徐臣輔) (한림(翰林)) 서석보(徐奭輔) (참판(參判)) 서승보(徐承輔) (판서(判書)) 서좌보(徐左輔) (판서(判書)) 서익보(徐翼輔) (승선(承宣)) 서행보(徐行輔) (승선(承宣)) 서선보(徐선輔) (옥당(玉堂)) 서대순(徐戴淳) (이판(吏判)) 서영순(徐英淳) (판서(判書)) 서원순(徐元淳) (판서(判書)) 서경순(徐璟淳) (이판(吏判)) 서?순(徐?淳) (판서(判書)) 서정순(徐正淳) (판서(判書)) 서기순(徐箕淳) (판서(判書)) 서정순(徐程淳) (참판(參判)) 서유대(徐有大) 서념순(徐念淳) (참판(參判)) 서기순(徐耆淳) (이판(吏判)) 서헌순(徐憲淳) (한림(翰林)) 서용순(徐容淳) (옥당(玉堂)) 서면순(徐冕淳) (교리(校理)) 서만순(徐晩淳) (승지(承旨)) 서대순(徐大淳) (승지(承旨)) 서우순(徐友淳) (승지(承旨)) 서주순(徐주淳) (참판(參判)) 서긍순(徐肯淳) (승지(承旨)) 서공순(徐公淳) (승지(承旨)) 서상록(徐相祿) (승선(承宣)) 서상정(徐相鼎) (이판(吏判)) 서상교(徐相敎) (승지(承旨)) 서상조(徐相祖) (판서(判書)) 서상기(徐相耆) (승선(乘船)) 서상지(徐相至) (승지(承旨)) 서상린(徐相隣) (참판(參判)) 서상교(徐相喬) (승지(承旨)) 서상숙(徐相肅) (승지(承旨)) 서상훈(徐相薰) (승선(乘船)) 서상욱(徐相勖) (승지(承旨)) 서상집(徐相集) (승지(承旨)) 서상옥(徐相玉) (교리(校理)) 서병찬(徐丙贊) (승지(承旨)) 서상윤(徐相允) (은기(銀基)) 서병선(徐丙宣) (승지(承旨)) 서광범(徐光範) 서정후(徐廷厚) (승지(承旨)) 서재필(徐載弼) (교리(校理)) 서정직(徐廷稷) (참서(參書)) 서흥순(徐興淳) (주서(注書)) 서재무(徐在懋) (지평(持平))
무과(武科) 서거광(徐居廣) (현감(縣監)) 서유대(徐有大) (대장(大將)) 서유병(徐有秉) (승선(承宣)) 서영보(徐英輔) (대장(大將)) 서춘보(徐春輔) (대장(大將)) 서봉순(徐鳳淳) (병사(兵使)) 서학순(徐학淳) (병사(兵使)) 서상규(徐相奎) (병사(兵使)) 서상오(徐相五) (대장(大將)) 서상태(徐相泰) (부사(府使)) 서병무(徐丙懋) (참판(參判)) 서병훈(徐丙勳) (참판(參判))
[조선조 급제자 정록]
미성(彌性) (정종(定宗)1년 · 식년시(式年試) · 생원(生員)) 거정(居正) (세종(世宗)26년 · 식년시(式年試) · 을과(乙科)) 거정(居正) (세조(世祖)3년 · 중시(重試) · 병과(丙科)) 거정(居正) (세조(世祖)12년 · 발영시(拔英試) · 이등(二等)) 거정(居正) (세조(世祖)12년 · 등준시(登俊試) · 일등(一等)) 도(渡) (세조(世祖)11년 · 식년시(式年試) · 병과(丙科)) 팽소(彭召) (성종(成宗)7년 · 별시(別試) · 을과(乙科)) 후(厚) (연산(燕山)4년 · 별시(別試) · 병과(丙科)) 고(固) (중종(中宗)21년 · 별시(別試) · 병과(丙科)) 구연(九淵) (중종(中宗)32년 · 별시(別試) · 을과(乙科)) 엄(崦) (명종(明宗)15년 · 별시(別試) · 병과(丙科)) 성(성) (선조(宣祖)19년 · 별시(別試) · 병과(丙科)) 경우(景雨) (선조(宣祖)36년 · 정시(庭試) · 병과(丙科)) 희조(希祚) (인조(仁祖)2년 · 식년시(式年試) · 병과(丙科)) 상리(祥履) (인조(仁祖)8년 · 식년시(式年試) · 병과(丙科)) 변(忭) (인조(仁祖)11년 · 식년시(式年試) · 갑과(甲科)) 문상(文尙) (현종(顯宗)9년 · 별시(別試) · 병과(丙科)) 문중(文重) (숙종(肅宗)6년 · 정시(庭試) · 갑과(甲科)) 종헌(宗憲) (숙종(肅宗)6년 · 정시(庭試) · 병과(丙科)) 종태(宗泰) (숙종(肅宗)6년 · 별시(別試) · 을과(乙科)) 문유(文裕) (숙종(肅宗)10년 · 정시(庭試) · 병과(丙科)) 문익(文翊) (숙종(肅宗)15년 · 증광시(增廣試) · 병과(丙科)) 명우(命遇) (숙종(肅宗)28년 · 별시(別試) · 병과(丙科)) 명연(命淵) (숙종(肅宗)34년 · 식년시(式年試) · 갑과(甲科)) 명균(命均) (숙종(肅宗)36년 · 증광시(增廣試) · 병과(丙科)) 종하(宗廈) (숙종(肅宗)37년 · 식년시(式年試) · 병과(丙科)) 종섭(宗燮) (숙종(肅宗)43년 · 정시(庭試) · 병과(丙科)) 명구(命九) (숙종(肅宗)43년 · 식년시(式年試) · 병과(丙科)) 종급(宗伋) (숙종(肅宗)45년 · 증광시(增廣試) · 병과(丙科)) 명걸(命杰) (경종(景宗)3년 · 증광시(增廣試) · 병과(丙科)) 명빈(命彬) (경종(景宗)3년 · 정시(庭試) · 병과(丙科)) 명형(命珩) (경종(景宗)3년 · 식년시(式年試) · 병과(丙科)) 종옥(宗玉) (영조(英祖)1년 · 정시(庭試) · 을과(乙科)) 명신(命臣) (영조(英祖)9년 · 식년시(式年試) · 을과(乙科)) 명관(命觀) (영조(英祖)9년 · 식년시(式年試) · 병과(丙科)) 지수(志修) (영조(英祖)16년 · 증광시(增廣試) · 병과(丙科)) 효수(孝修) (영조(英祖)20년 · 정시(庭試) · 을과(乙科)) 형수(逈修) (영조(英祖)27년 · 별시(別試) · 병과(丙科)) 명천(命天) (영조(英祖)27년 · 정시(庭試) · 을과(乙科)) 유량(有良) (영조(英祖)28년 · 정시(庭試) · 병과(丙科)) 명응(命膺) (영조(英祖)30년 · 증광시(增廣試) · 병과(丙科)) 유원(有元) (영조(英祖)32년 · 식년시(式年試) · 을과(乙科)) 명선(命善) (영조(英祖)39년 · 증광시(增廣試) · 을과(乙科)) 호수(浩修) (영조(英祖)41년 · 식년시(式年試) · 갑과(甲科)) 유린(有隣) (영조(英祖) · 정시(庭試) · 갑과(甲科)) 유녕(有寧) (영조(英祖)42년 · 정시(庭試) · 병과(丙科)) 명선(命善) (영조(英祖)43년 · 중시(重試) · 병과(丙科)) 의수(懿修) (영조(英祖)44년 · 식년시(式年試) · 을과(乙科)) 욱수(郁修) (영조(英祖)47년 · 식년시(式年試) · 병과(丙科)) 회수(晦修) (영조(英祖)48년 · 정시(庭試) · 병과(丙科)) 유방(有防) (영조(英祖)48년 · 별시(別試) · 을과(乙科)) 유신(有臣) (영조(英祖)48년 · 정시(庭試) · 갑과(甲科)) 유경(有慶) (영조(英祖)49년 · 증광시(增廣試) · 을과(乙科)) 용보(龍輔) (영조(英祖)50년 · 증광시(增廣試) · 병과(丙科)) 유련(有鍊) (영조(英祖)50년 · 증광시(增廣試) · 병과(丙科)) 정수(鼎修) (영조(英祖)51년 · 정시(庭試) · 병과(丙科)) 배수(配修) (정조(正祖)1년 · 증광시(增廣試) · 갑과(甲科)) 유기(有沂) (정조(正祖)4년 · 식년시(式年試) · 병과(丙科)) 미수(美修) (정조(正祖)4년 · 식년시(式年試) · 병과(丙科)) 승수(昇修) (정조(正祖)4년 · 식년시(式年試) · 병과(丙科)) 형수(瀅修) (정조(正祖)7년 · 증광시(增廣試) · 을과(乙科)) 미수(邁修) (정조(正祖)11년 · 정시(庭試) · 을과(乙科)) 유문(有聞) (정조(正祖)11년 · 정시(庭試) · 병과(丙科)) 영보(榮輔) (정조(正祖)13년 · 식년시(式年試) · 갑과(甲科)) 유구(有榘) (정조(正祖)14년 · 증광시(增廣試) · 병과(丙科)) 준보(俊輔) (정조(正祖)18년 · 알성시(謁聖試) · 을과(乙科)) 유련(有鍊) (정조(正祖)20년 · 중시(重試) · 병과(丙科)) 장보(長輔) (순조(純祖)1년 · 정시(庭試) · 갑과(甲科)) 기수(淇修) (순조(純祖)1년 · 증광시(增廣試) · 갑과(甲科)) 유순(有恂) (순조(純祖)1년 · 증광시(增廣試) · 을과(乙科)) 유소(有素) (순조(純祖)1년 · 식년시(式年試) · 병과(丙科)) 영보(永輔) (순조(純祖)2년 · 정시(庭試) · 병과(丙科)) 능보(能輔) (순조(純祖)2년 · 정시(庭試) · 갑과(甲科)) 유망(有望) (순조(純祖)3년 · 별시(別試) · 갑과(甲科)) 정보(鼎輔) (순조(純祖)4년 · 식년시(式年試) · 을과(乙科)) 승렬(承烈) (순조(純祖)7년 · 식년시(式年試) · 병과(丙科)) 헌보(憲輔) (순조(純祖)14년 · 식년시(式年試) · 갑과(甲科)) 만수(萬修) (순조(純祖)15년 · 정시(庭試) · 병과(丙科)) 영순(英淳) (순조(純祖)15년 · 정시(庭試) · 병과(丙科)) 희순(熹淳) (순조(純祖)16년 · 정시(庭試) · 병과(丙科)) 낙순(洛淳) (순조(純祖)16년 · 정시(庭試) · 병과(丙科)) 상록(相祿) (순조(純祖)17년 · 정시(庭試) · 병과(丙科)) 좌보(左輔) (순조(純祖)19년 · 식년시(式年試) · 병과(丙科)) 만순(萬淳) (순조(純祖)23년 · 정시(庭試) · 갑과(甲科)) 유찬(有贊) (순조(純祖)25년 · 식년시(式年試) · 을과(乙科)) 경보(耕輔) (순조(純祖)25년 · 알성시(謁聖試) · 갑과(甲科)) 정순(程淳) (순조(純祖)27년 · 정시(庭試) · 병과(丙科)) 기순(箕淳) (순조(純祖)27년 · 증광시(增廣試) · 갑과(甲科)) 념순(念淳) (순조(純祖)27년 · 증광시(增廣試) · 병과(丙科)) 재순(載淳) (순조(純祖)27년 · 증광시(增廣試) · 병과(丙科)) 원순(元淳) (순조(純祖)29년 · 정시(庭試) · 병과(丙科)) 헌순(憲淳) (순조(純祖)29년 · 정시(庭試) · 병과(丙科)) 기순(耆淳) (순조(純祖)29년 · 정시(庭試) · 병과(丙科)) 광보(珖輔) (순조(純祖)31년 · 식년시(式年試) · 병과(丙科)) 면순(冕淳) (순조(純祖)31년 · 식년시(式年試) · 병과(丙科)) 상교(相敎) (헌종(憲宗)1년 · 별시(別試) · 을과(乙科)) 유훈(有薰) (헌종(憲宗)3년 · 정시(庭試) · 갑과(甲科)) 재무(在懋) (헌종(憲宗)7년 · 정시(庭試) · 병과(丙科)) 당보(堂輔) (헌종(憲宗)10년 · 증광시(增廣試) · 병과(丙科)) 대순(大淳) (헌종(憲宗)13년 · 정시(庭試) · 병과(丙科)) 상정(相鼎) (헌종(憲宗)14년 · 증광시(增廣試) · 을과(乙科)) 익보(翼輔) (헌종(憲宗)14년 · 증광시(增廣試) · 병과(丙科)) 상지(相至) (헌종(憲宗)15년 · 정시(庭試) · 병과(丙科)) 학순(鶴淳) (철종(哲宗)2년 · 증광시(增廣試) · 병과(丙科)) 형순(衡淳) (철종(哲宗)5년 · 정시(庭試) · 병과(丙科)) 응순(應淳) (철종(哲宗)5년 · 기로시(耆老試) · 갑과(甲科)) 우순(友淳) (철종(哲宗)6년 · 정시(庭試) · 갑과(甲科)) 신보(臣輔) (철종(哲宗)6년 · 정시(庭試) · 병과(丙科)) 승보(承輔) (철종(哲宗)7년 · 별시(別試) · 병과(丙科)) 상익(相翊) (철종(哲宗)8년 · 정시(庭試) · 병과(丙科)) 용순(容淳) (철종(哲宗)9년 · 정시(庭試) · 병과(丙科)) 석보(奭輔) (철종(哲宗)11년 · 정시(庭試) · 병과(丙科)) 경순(璟淳) (철종(哲宗)12년 · 식년시(式年試) · 병과(丙科)) 상준(相駿) (고종(高宗)3년 · 별시(別試) · 병과(丙科)) 주순(주淳) (고종(高宗)6년 · 정시(庭試) · 병과(丙科)) 상돈(相敦) (고종(高宗)6년 · 정시(庭試) · 병과(丙科)) 정순(正淳) (고종(高宗)8년 · 정시(庭試) · 병과(丙科)) 기순(夔淳) (고종(高宗)11년 · 증광시(增廣試) · 병과(丙科)) 의순(誼淳) (고종(高宗)16년 · 정시(庭試) · 병과(丙科)) 광범(光範) (고종(高宗)17년 · 증광시(增廣試) · 병과(丙科)) 행보(行輔) (고종(高宗)17년 · 증광시(增廣試) · 병과(丙科)) 공순(公淳) (고종(高宗)18년 · 정시(庭試) · 갑과(甲科)) 재필(載弼) (고종(高宗)19년 · 증광시(增廣試) · 병과(丙科)) 상조(相祖) (고종(高宗)19년 · 증광시(增廣試) · 병과(丙科)) 상우(相雨) (고종(高宗)19년 · 별시(別試) · 갑과(甲科)) 병선(丙善) (고종(高宗)22년 · 정시(庭試) · 병과(丙科)) 상집(相集) (고종(高宗)22년 · 증광시(增廣試) · 병과(丙科)) 의순(誼淳) (고종(高宗)23년 · 중시(重試) · 을과(乙科)) 상봉(相鳳) (고종(高宗)25년 · 기로유생시(耆老儒生試) · 을과(乙科)) 상기(相耆) (고종(高宗) · 정시(庭試) · 갑과(甲科)) 상훈(相勛) (고종(高宗)26년 · 알성시(謁聖試) · 병과(丙科)) 상훈(相薰) (고종(高宗)26년 · 알성시(謁聖試) · 병과(丙科)) 긍순(肯淳) (고종(高宗)27년 · 별시(別試) · 병과(丙科)) 내선(內宣) (고종(高宗)28년 · 증광시(增廣試) · 병과(丙科)) 흥순(興淳) (고종(高宗)28년 · 증광시(增廣試) · 병과(丙科)) 내찬(內贊) (고종(高宗)28년 · 증광시(增廣試) · 병과(丙科)) 만순(晩淳) (고종(高宗)28년 · 증광시(增廣試) · 병과(丙科)) 상욱(相郁) (고종(高宗)28년 · 증광시(增廣試) · 병과(丙科)) 상윤(相允) (고종(高宗)29년 · 별시(別試) · 병과(丙科)) 상숙(相肅) (고종(高宗)29년 · 별시(別試) · 병과(丙科)) 상린(相隣) (고종(高宗) · 별시(別試) · 병과(丙科)) 병우(丙祐) (고종(高宗)29년 · 별시(別試) · 병과(丙科)) 정직(廷稷) (고종(高宗)29년 · 별시(別試) · 병과(丙科)) 상교(相喬) (고종(高宗)29년 · 알성시(謁聖試) · 병과(丙科)) 상룡(相龍) (고종(高宗)31년 · 식년시(式年試) · 병과(丙科)) 병태(炳泰) (고종(高宗)31년 · 전시(殿試) · 병과(丙科))
[벌열(閥閱)] ●왕비(王妃) : 정성왕후(貞聖王后) (조선 영조비(妃) · 서종제(徐宗悌)의 녀(女)) ●상신(相臣) : 서경우(徐景雨) (인조조 · 우의정(右議政)) 서문중(徐文重) (숙종조 · 영의정(領議政)) 서종태(徐宗泰) (숙종조 · 영의정(領議政)) 서명균(徐命均) (영조조 · 좌의정(左議政)) 서지수(徐志修) (영조조 · 영의정(領議政)) 서명선(徐命善) (정조조 · 영의정(領議政)) ●공신(功臣) : 서거정(徐居正) (성종조 · 성종즉위(成宗卽位) 3등공신(等功臣)) ●문형(文衡) : 서거정(徐居正) (예종조) 서성(徐성) (선조조) 서경우(徐景雨) (선조조) 서명균 (徐命均) (숙종조) 서종태(徐宗泰) (숙종조) 서명선(徐命善) (영조조) 서지수(徐志修) (영조조) 서유오(徐有五) (정조조) 서유신(徐有臣) (정조조) 서명응(徐命膺) (정조조) 서영보(徐榮輔) (헌종조) 서기순(徐箕淳) (철종조) 서당보(徐堂輔) (고종조) ●호당(湖堂) : 서거정(徐居正) (문종조) 서성(徐성) (선조조) 서경우(徐景雨) (선조조) 서명균 (徐命均) (숙종조) 서종태(徐宗泰) (숙종조) 서유신(徐有臣) (영조조) 서용보(徐龍輔) 서명선(徐命善) 서문중(徐文重) 서지수(徐志修) 서유오(徐有五) (정조조) ●경연(經筵) : 서원리(徐元履) (효종조 진선(進善) · 감사(監司)) ●청백리(淸白吏) : 서거정(徐居正) (예종조) 서성(徐성) (선조조) 서경주(徐景霌) (선조조) 서경우(徐景雨) (선조조) 서익(徐益) (선조조) 서종태(徐宗泰) (숙종조) 서문중(徐文重) (숙종조) 서명균(徐命均) (숙종조) 서지수(徐志修) (영조조) 서용보(徐龍輔) (영조조) 서명선(徐命善) (영조조) 서매수(徐邁修) (정조조) 서기순(徐箕淳) (순조조 · 대제학(大提學)) 서유오(徐有五) (정조조) 서당보(徐堂輔) (철종조) ●절의(節義) : 서덕수(徐德修) (경종신임사화(景宗辛壬士禍)) 서택리(徐擇履) (정축심양배종신(丁丑瀋陽陪從臣)) ●장신(將臣) : 서문중(徐文重) (숙종조 · 어영대장(御營大將)) 서명선(徐命善) (정조조 · 금위대장(禁衛大將)) 서유녕(徐有寧) (정조조 · 총융사(摠戎使)) 서유대(徐有大) (정조조 · 총융사(摠戎使)) 서용보(徐龍輔) (정조조 · 총융사(摠戎使)) 서춘보(徐春輔) (순조조 · 통제사(統制使)) 서영보(徐英輔) (순조조 · 어영대장(御營大將)) 서상오(徐相五) (헌종조 · 총융사(摠戎使)) 서희순(徐熹淳) (헌종조 · 총융사(摠戎使)) ●문집(文集) : 사가집(四佳集)34권 서거정(徐居正) 동국통감(東國通鑑) 서거정(徐居正) 동문선(東文選) 서거정(徐居正) 동국여지승람(東國與地勝覽) 서거정(徐居正) 역대연표(歷代年表) 서거정(徐居正) 동인시화(東人詩話) 서거정(徐居正) 태평한화(太平閑話) 서거정(徐居正) 필원잡기(筆苑雜記) 서거정(徐居正) 대악전보(大樂前譜) 서명응(徐命膺) 대악후보(大樂後譜) 서명응(徐命膺) 보만재집(保晩齋集) 서명응(徐命膺) 만옹집(晩翁集) (서명서(徐命瑞)) 만산유고(晩山遺稿) (서문유(徐文裕)) 국조대신연표(國朝大臣年表) (서문중(徐文重)) 병가승산(兵家勝算) (서문중(徐文重)) 동인시화(東人詩話) (서문중(徐文重)) 악재집(樂齋集) (서사원(徐思遠)) 약봉집(藥峯集) (서성(徐성)) 학리도설(學理圖說) (서성고(徐聖考)) 의례변(疑禮辨) (서성고(徐聖考)) 종저보(種藷譜) (서유구(徐有榘)) 증보산림경제(增補山林經濟) (서유구(徐有榘)) 증수무원록언해(增修無冤錄諺解) (서유린(徐有隣)) 죽석문집(竹石文集) (서영보(徐榮輔)) 풍악기(楓嶽記) (서영보(徐榮輔)) 홍범직지(洪範直指) (서형수(徐瀅修)) 시고변(詩故辨) (서형수(徐瀅修)) 명고문집(明皐文集) (서형수(徐瀅修)) 인제지(仁濟志) (서유구(徐有榘)) 행포집(杏蒲集) (서유구(徐有榘)) 한양세시기(漢陽歲時記) (서유구(徐有榘)) 누판고(鏤板考) (서유구(徐有榘)) 풍석고협집(楓石고篋集) (서유구(徐有榘)) 풍석집(楓石集) (서유구(徐有榘)) 십삼경대(十三經對) (서유구(徐有榘)) 진안대군사기사적(鎭安大君祠基事蹟) (서유방(徐有防)) 좌소집(左蘇集) (서유본(徐有本)) 경당집(絅堂集) (서응순(徐應淳)) 만정당집(晩靜堂集) (서종태(徐宗泰)) 중용질의(中庸質疑) (서창재(徐昌載)) 수학계몽주(數學啓蒙註) (서창재(徐昌載)) 오산집(梧山集) (서창재(徐昌載)) 관례고정(冠禮考定) (서창재(徐昌載)) 함재집(涵齋集) (서해(徐嶰)) 연행기(燕行記)) (서호수(徐浩修))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