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3. 치(治)를 논(論)하다
노권(勞倦)으로 인하고 외감(外感)은 없으면 신(身)은 비록 약간 열(熱)하여도 맥(脈)은 완대(緩大)하고 무력(無力)하면서 전적으로 긴삭(緊數)하지 않으며 혹 나언(懶言) 기와(嗜臥)하거나 혹 신(身)에 항상 유한(有汗)하다. 이는 곧 노발(勞發)의 증(證)이니, 외감(外感)의 두동(頭疼) 맥긴(脈緊)하고 근골(筋骨)이 산통(痠痛)하는 것과는 저절로 다르다(:不同).
그 치료(治)는 마땅히 보양(補養)을 위주(爲主)로 하니, 기(氣)가 회복(復)되면 낫게 된다.
허(虛)가 양분(陽分)에 있으면 마땅히 사군자탕(四君子湯) 오군자전(五君子煎)으로 하여야 한다.
허(虛)가 음분(陰分)에 있으면 삼음전(三陰煎) 오음전(五陰煎)이나 혹 대영전(大營煎) 소영전(小營煎)으로 하여야 한다.
만약 비위(脾胃)의 중기(中氣)가 상(傷)을 입었으면 이중탕(理中湯) 양중전(養中煎)으로 하여야 한다.
만약 혈기(血氣)가 모두 허(虛)하면 오복음(五福飮) 팔진탕(八珍湯)이나 혹 십전대보탕(十全大補湯)으로 하여야 한다.
一. 노권(勞倦)과 불시(不時)의 기포(饑飽)로 한열왕래(寒熱往來)에 이른 경우, 기(饑)할 시(時)에는 장기(臟氣)가 뇌(餒: 주리다)하고 노(勞)할 시(時)에는 주리(腠理)가 개(開)하기 때문이니, 주리(腠理)가 개(開)하면 사기(邪)가 쉽게 감(感)하고 장기(臟氣)가 뇌(餒)하면 사기(邪)가 쉽게 들어온다. 따라서 기포(饑飽)와 노권(勞倦)을 신중(愼)하지 않으면 대부분 사람들로 하여금 두통(頭痛) 발열(發熱) 오한(惡寒) 등의 증(證)이 되게 한다. 비록 이것은 내상(內傷)으로 말미암는다고 말하지만 실제로는 외감(外感)이 있는 것이고, 비록 이것은 외감(外感)이 있다고 말하지만 실제로는 내상(內傷)이 있어서 그러한 것이다.
따라서 동원(東垣)이 보중익기탕(補中益氣湯)을 제조(製)하였는데, 이는 인삼(蔘) 황기(芪) 당귀(歸) 백출(朮)에 승마(升) 시호(柴)를 가하여 생장(生長)의 기(氣)를 도와(:助) 위기(胃氣)를 상승(上升)케 한 것이니, 기(氣)가 중(中)에서 회복(復)되고 양(陽)이 외(外)로 도달(達)하므로, 이것이 실제로 화해(和解)하는 좋은 방법(:良法)이다.
다만 요즘 사람들(:今人)은 노권(勞倦)으로 음(陰)을 상(傷)하여 정혈(精血)의 병(病)이 된 자가 특히 많으니, 황기(芪) 백출(朮)의 속(屬)마저도 마땅하지 않음이 있다. 이에 내가 다시 보음익기전(補陰益氣煎)을 제조(製)하였으니, 대개 양(陽)이 하(下)에서 허(虛)하면서 수(水)가 휴(虧)하여 한(汗)을 작(作)하지 못하므로 사기(邪)가 풀리지 않을 경우 이 처방(方)이 특히 탁월(:勝)하다.
나에게는 비(脾)를 치료(治)하는 세 가지 처방(方)과 보중익기탕(補中益氣湯)에 대한 논(論)이 있어서 뒤의 음식({飮食})의 문(門)에 나와 있는데, 마땅히 참고(參)하여 살펴라.
一. 노권(勞倦)과 사기(邪)에 감(感)하여 상한(傷寒)이 되어 발열(發熱) 두통(頭痛) 신통(身痛)하고 모든 맥(脈)이 긴(緊)하여 사기(邪)가 성(盛)하면 해산(解散)으로 치료(治)하지 않을 수 없다.
만약 허(虛)가 본래 심(甚)하지 않는데, 표사(表邪)가 풀리지 않으면 정시호음(正柴胡飮)이 마땅하다.
만약 외사(外邪)에 화(火)를 겸(兼)하면 일시호음(一柴胡飮)으로 하여야 한다.
만약 외사(外邪)에 한(寒)을 겸(兼)하면 이시호음(二柴胡飮)으로 하여야 한다.
만약 기혈(氣血)이 약간 허(虛)하면 삼시호음(三柴胡飮)이나 혹 사시호음(四柴胡飮)으로 하여야 한다.
만약 허(虛)가 심(甚)하면서 사기(邪)가 쉽게 풀리지 않으면 이음전(理陰煎)이나 혹 대온중음(大溫中飮)이 마땅하니, 완(緩)하게 하면 안 된다.
一. 하일(夏日)에 서열(暑熱)할 때 길(:道途)에서나 혹 들판(:田野)에서 노권(勞倦)이 과(過)하면서 신체(身體)가 박약(薄弱)하면 매우 쉽게 서(暑)에 상(傷)하니, 이 또한 노권(勞倦)의 속(屬)이다.
그 논치(論治)는 서증({暑證})의 문(門)에서 양서(<陽暑>)의 조(條)에 상세히 잘 나온다.
첫댓글 노권(勞倦)으로 인하고 외감(外感)은 없으면 신(身)은 비록 약간 열(熱)하여도 맥(脈)은 완대(緩大)하고 무력(無力)하면서 전적으로 긴삭(緊數)하지 않으며 혹 나언(懶言) 기와(嗜臥)하거나 혹 신(身)에 항상 유한(有汗)하다. 이는 곧 노발(勞發)의 증(證)이니, 외감(外感)의 두동(頭疼) 맥긴(脈緊)하고 근골(筋骨)이 산통(痠痛)하는 것과는 저절로 다르다(:不同).
그 치료(治)는 마땅히 보양(補養)을 위주(爲主)로 하니, 기(氣)가 회복(復)되면 낫게 된다.
허(虛)가 양분(陽分)에 있으면 마땅히 사군자탕(四君子湯) 오군자전(五君子煎)으로 하여야 한다.
허(虛)가 음분(陰分)에 있으면 삼음전(三陰煎) 오음전(五陰煎)이나 혹 대영전(大營煎) 소영전(小營煎)으로 하여야 한다.
만약 비위(脾胃)의 중기(中氣)가 상(傷)을 입었으면 이중탕(理中湯) 양중전(養中煎)으로 하여야 한다.
만약 혈기(血氣)가 모두 허(虛)하면 오복음(五福飮) 팔진탕(八珍湯)이나 혹 십전대보탕(十全大補湯)으로 하여야 한다.
一. 노권(勞倦)과 불시(不時)의 기포(饑飽)로 한열왕래(寒熱往來)에 이른 경우, 기(饑)할 시(時)에는 장기(臟氣)가 뇌(餒: 주리다)하고 노(勞)할 시(時)에는 주리(腠理)가 개(開)하기 때문이니, 주리(腠理)가 개(開)하면 사기(邪)가 쉽게 감(感)하고 장기(臟氣)가 뇌(餒)하면 사기(邪)가 쉽게 들어온다. 따라서 기포(饑飽)와 노권(勞倦)을 신중(愼)하지 않으면 대부분 사람들로 하여금 두통(頭痛) 발열(發熱) 오한(惡寒) 등의 증(證)이 되게 한다.
비록 이것은 내상(內傷)으로 말미암는다고 말하지만 실제로는 외감(外感)이 있는 것이고, 비록 이것은 외감(外感)이 있다고 말하지만 실제로는 내상(內傷)이 있어서 그러한 것이다.
따라서 동원(東垣)이 보중익기탕(補中益氣湯)을 제조(製)
이것이 실제로 화해(和解)하는 좋은 방법(:良法).
다만 요즘 사람들(:今人)은 노권(勞倦)으로 음(陰)을 상(傷)하여 정혈(精血)의 병(病)이 된 자가 특히 많으니, 황기(芪) 백출(朮)의 속(屬)마저도 마땅하지 않음이 있다.
이에 내가 다시 보음익기전(補陰益氣煎)을 제조(製), 양(陽)이 하(下)에서 허(虛)하면서 수(水)가 휴(虧)하여 한(汗)을 작(作)하지 못하므로 사기(邪)가 풀리지 않을 경우 이 처방(方)이 특히 탁월(:勝).
나에게는 비(脾)를 치료(治)하는 세 가지 처방(方)과 보중익기탕(補中益氣湯)에 대한 논(論)이 있어서 뒤의 음식({飮食})의 문(門)에 나와 있는데, 마땅히 참고(參)
一. 노권(勞倦)과 사기(邪)에 감(感)하여 상한(傷寒)이 되어 발열(發熱) 두통(頭痛) 신통(身痛)하고 모든 맥(脈)이 긴(緊)하여 사기(邪)가 성(盛)하면 해산(解散)으로 치료(治)하지 않을 수 없다.
만약 허(虛)가 본래 심(甚)하지 않는데, 표사(表邪)가 풀리지 않으면 정시호음(正柴胡飮)이 마땅하다.
만약 외사(外邪)에 화(火)를 겸(兼)하면 일시호음(一柴胡飮)으로 하여야 한다.
만약 외사(外邪)에 한(寒)을 겸(兼)하면 이시호음(二柴胡飮)으로 하여야 한다.
만약 기혈(氣血)이 약간 허(虛)하면 삼시호음(三柴胡飮)이나 혹 사시호음(四柴胡飮)으로 하여야 한다.
만약 허(虛)가 심(甚)하면서 사기(邪)가 쉽게 풀리지 않으면 이음전(理陰煎)이나 혹 대온중음(大溫中飮)이 마땅하니, 완(緩)하게 하면 안 된다.
一. 하일(夏日)에 서열(暑熱)할 때 길(:道途)에서나 혹 들판(:田野)에서 노권(勞倦)이 과(過)하면서 신체(身體)가 박약(薄弱)하면 매우 쉽게 서(暑)에 상(傷)하니, 이 또한 노권(勞倦)의 속(屬)이다.
그 논치(論治)는 서증({暑證})의 문(門)에서 양서(<陽暑>)의 조(條)에 상세히 잘 나온다.
요약
1. 노발의 경우(외감 없음)
2. 외감과 내상이 같이 있는 경우 - 보중익기탕
3. 노권으로 상음한 경우 - 보음익기전
4. 노권과 상한이 같이 있는 다양한 경우
5. 여름에 노권으로 상서한 경우
◆ 노권에 외감이 없는 경우
허(虛)가 양분(陽分)에 있으면 마땅히 사군자탕(四君子湯) 오군자전(五君子煎)
허(虛)가 음분(陰分)에 있으면 삼음전(三陰煎) 오음전(五陰煎)이나 혹 대영전(大營煎) 소영전(小營煎)
만약 비위(脾胃)의 중기(中氣)가 상(傷)을 입었으면 이중탕(理中湯) 양중전(養中煎)
만약 혈기(血氣)가 모두 허(虛)하면 오복음(五福飮) 팔진탕(八珍湯)이나 혹 십전대보탕(十全大補湯)
◆노권(勞倦)과 불시(不時)의 기포(饑飽)
동원(東垣)이 보중익기탕(補中益氣湯)을 제조(製)
◆노권(勞倦)으로 음(陰)을 상(傷)
보음익기전(補陰益氣煎)
◆노권(勞倦)과 사기(邪)에 감(感)하여 상한(傷寒)
허(虛)가 본래 심(甚)하지 않는데, 표사(表邪)가 풀리지 않으면 정시호음(正柴胡飮)
외사(外邪)에 화(火)를 겸(兼)하면 일시호음(一柴胡飮)
외사(外邪)에 한(寒)을 겸(兼)하면 이시호음(二柴胡飮)
기혈(氣血)이 약간 허(虛)하면 삼시호음(三柴胡飮)이나 혹 사시호음(四柴胡飮)
허(虛)가 심(甚)하면서 사기(邪)가 쉽게 풀리지 않으면 이음전(理陰煎)이나 혹 대온중음(大溫中飮)
◆여름에 노권으로 상서
양서(<陽暑>)의 조(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