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월 1일 시황. 다시 불거진 스태그플레이션 우려
국채 금리 상승, 경기 우려 겹치며 큰 폭 하락
미 증시는 5개월 연속 상승 마무리하고 월간 하락 전환
초반부터 시장에 부담을 준 것은 인건비 상승 우려
1분기 고용비용지수 전분기 대비 1.2% 상승, 예상 1.0%
작년 9월 이 후 가장 큰 폭으로 오른 것
이 기간 임금은 전분기 대비 1.1%. 전년비는 5%
임금 상승세가 인플레를 자극할 것이라는 우려도
국채 금리, 달러인덱스 상승하며 매물 출회
특히 최근 지수에 영향을 주는 2년물 5% 넘기며 부담
다만 전분기 대비 수치는 이 후 안정될 가능성도
1월에 최저임금이 높아진 영향을 이번에 받은 것
기저 효과 제거되는 2분기 이 후는 상승세 주춤할수도
지수에 추가 부담을 준 것은 소비자신뢰지수
컨퍼런스보드 4월 지표는 97. 전달 103.1. 예상 104
기대지수는 66.4. 지난달 74에서 크게 낮아짐
물가 상승에 소비자들 심리가 급격하게 악화된 것
인플레, 경기 둔화인 스태그플레이션 우려 다시 자극
맥쿼리, 올해 인하가 아닌 인상 가능성도 배제 못해
강한 소비, 인플레 반등 신호 우려
이번 FOMC 회의에서 매파적 기조 강조 전망한다고
연내 인하 어렵고 내년에나 가능할 것으로 본다고
금리 정책 외 양적축소 정책도 주목해야 한다고
지난 회의 때 현재 월950억달러 규모에 대한 논의 필요 언급
유동성 흡수하는 정책이라 축소시 인하 효과있는 것
JP모건, Boa 등은 이번 회의 관전 포인트로 지적
전일 큰폭으로 올랐던 테슬라 오늘은 -5% 이상 하락
추가 감원 소식 전해지며 실적 우려 자극
에버코어ISI, 중국에서 FSD가 최종 승인 받기 어려울수도
허가 받는다고 해도 수익이 크지 않을 가능성 지적
중국 업체들과 경쟁으로 이용료 대폭 낮춰야 한다는 것
골드만삭스도 중국내 FSD 적용위해서는 시스템 개선 필요
투자의견 중립, 목표가 175달러 제시
장중 상승권 유지하던 엔비디아도 하락 전환
UBS, 강력한 수요 지속. 목표가 1,100달러 → 1,150달러
기업들의 실적은 대체로 양호하게 나오고 있음
일라이릴리, 3M 등 대부분 예상 상회한 실적 공개
주가는 가이던스나 이슈에 따라 등락 엇갈림
마감 후 나온 아마존은 예상 상회한 실적에 시간 외 강세
AMD는 예상 상회한 실적. 반면 약한 가이던스에 하락
슈퍼마이크로도 실적 발표 후 시간 외 하락 중
HSBC, 최근 금리 상승은 양호한 경제 때문
위험 자산에 나쁜 소식이라고 할 수는 없어
씨티, 최근 상승은 매수 유입이라기 보다 숏커버 성격
악재 완화로만은 증시 오를수 없어. 지금은 호재 필요
셀 인 메이 즉, 5월 매도, 11월 매수 변수도 주목
5월 이 후 증시가 둔해질 가능성을 의식한 것이라는 주장도
FOMC 직전과 이런 시기적 특징이 매물 키운 것이라고
MSCI한국지수 -1.52%, 야간선물 -0.5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