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참고]
1. 문화의 의미와 특징
가. 문화(文化. culture)
⑴ 문화의 의미
① 문화(文化. culture)
㉮ 인간이 환경에 적응하고 극복해 가는 과정에서 만들어 낸 모든 생활양식의 총체
㉯ 한 사회의 집단에서 자연환경, 사회적 관계, 역사적 변동 등에 적응해 가면서 축적한 생활양식의 총체
② 문화의 분류
분류 | 내용 | |
물질문화(material culture) : 눈에 보이고 물질적 속성을 갖는 문화. 적응체계 | 의식주(food, clothing & shelter) | |
비물질문화(immaterial culture) : 눈에 보이지 않고 물질적 속성을 가지 않는 문화. 정신문화(spiritual culture) | 제도문화(institutional culture). 규범체계 | 범. 제도. 관습. 도덕, 윤리. 예의 |
관념문화(ideal culture). 이념체계 | 가치, 태도. 신념 |
⑵ 나라와 지역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나는 문화
모든 사회에는 그 사회 나름의 문화가 있고 각 사회의 문화의 구체적인 모습은 매우 다양하게 나타난다.
나. 문화의 특성(속성. attributes)
⑴ 공유성(共有性, commonality) : 문화는 한 사회의 구성원들에게서 공통된 행동양식이 나타난다.
⑵ 학습성(學習性, acquisition by learning) : 문화는 타고난 것이 아니라 성장하면서 후천적으로 배워서 습득한다.
⑶ 축적성(蓄積性, cumulativeness) : 문화는 다음 세대로 전해지면서 기존 문화에 새로운 문화가 축적된다
⑷ 변동성(變動性, changeability) : 문화는 고정되어 있지 않고 시간의 흐름에 달라진다.
⑸ 전체성(全體性. 총체성, wholeness) : 문화 요소들은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어서 하나의 체계를 형성한다.
제2절 주류 문화와 소수 문화
Ⅰ. 주류 문화와 소수문화
1. 주류 문화(mainstream culture)
가. 주류 문화(mainstream culture)
⑴ 주류문화
한 사회 구성원이 전반적으로 누리는 문화.
주류문화는 널리 퍼져 있는 일반적으로 행해지는 현재의 문화로서 모든 대중문화(popular culture)와 매체문화(media culture)를 포함한다.
⑵ 대중문화(popular culture)와 매체문화(media culture)
① 대중문화(popular culture)
다수의 사람들이 향유하는 문화. 불특정 다수의 사회 구성원인 대중이 손쉽게 접하고 누리는 문화. 대중이 형성하는 문화.
② 매체문화(media culture)
대중매체를 통하여 널리 퍼진 문화(the culture that is widely disseminated via the mass media). 대중 매체에 의해 형성되는 대중문화. 대중사회에서 대중매체에 의해 대량 생산된 문화.
시각과 관점
대중문화(popular culture) | 매체문화(media culture) | |
집단 | 개별 사람들의 집단의 대중적이고 통속적인 문화 | 주체적이지 못하고 고립 분산되어 있으며 비합리적인 집단의 뮨화 |
초점 | 문화의 수용과 소비라는 측면에 초점을 맞춘 개념 | 문화의 생산 과정에 초점을 맞춘 개념 |
시기 | 근대 이전 평민들의 문화까지도 포괄하는 개념 | 대량 복제 미디어가 등장한 근대 이후의 문화산물 |
생산유통 | 주로 매체에 의해 생산 유통되는 문화 | 대중매체에 의해 대량 생산된 문화 |
a population of individuals
some mass population ("the people")
publics are groups of individual people
the public (a.k.a. the general public) is the totality of such groupings
문화담론에서의 부정적 시각
문화 | 대중문화 |
고급문화(high culture) : the culture of an upper class (an aristocracy) or of a status class (the intelligentsia); and also identifies a society’s common repository of broad-range knowledge and tradition (e.g. folk culture) that transcends the social-class system of the society. | 대량 생산된 질 낮은 문화(low culture)a derogatory term for forms of popular culture that have mass appeal |
민속문화(folk culture) | 대량 생산된 질 낮은 문화 |
민중문화(grass-root cultre): 풀뿌리 민중이 주체가 되어 창조하고 공유하는 문화. | 대중의 의식을 마취시켜 기존 체제의 재생산에 기여하는 도구적 성격의 문화 |
민족문화(national culture) | 서구 문화제국주의의 산물 |
노동자문화(working-class culture) : a range of cultures created by or popular among working-class people. | white -collar culture. |
⑶ 대중문화의 세 가지 층위
① 매스커뮤니케이션으로서 대중문화
대중문화는 흔히 매스커뮤니케이션과 동의어로 사용된다. 영화, 방송, 대중음악 등 미디어 산업에 의해 생산되어 상품으로 제공되는 산물들을 대중문화라 부른다. 이런 미디어 상품은 대부분 최대의 이윤을 얻고자 하는 시장 논리에 따라 생산된다. 미디어 상품은 부가가치가 높은 대신 시장에 대한 예측이 어렵다는 특성이 있다. 따라서 시장의 불확실성을 줄이는 전략이 대단히 중요한데 여기에서 대중문화의 주요한 경향들이 생겨난다. 예를 들면 잘 알려진 스타를 기용함으로써 시장의 불확실성을 줄이고자 하는 스타시스템(Star System), 기존의 흥행 요소를 모방하거나 재활용하는 전략, 가장 적극적인 소비층을 겨냥한 상품을 생산하는 것, 대중의 평균적인 취향에 호소하는 것 등 대중문화 시장에서 일반적으로 나타나는 전략들은 모두 여기서 비롯된다.
② 일상생활로서 대중문화
대중문화는 우리의 일상생활 속에 존재한다. 대중문화를 수용(혹은 소비)한다는 것은 일상생활에서 특별하거나 낯설지 않은 행위로 이루어진다. 우리는 집안 청소를 하면서 음악을 듣고 식사를 하면서 TV를 시청한다. 이는 대중문화 실천이 의식적인 선택에 의해 이루어지기도 하지만 상당 부분 무의식적인 행위로 이루어진다는 뜻이다.
③ 정체성의 표현 공간으로서 대중문화
대중문화를 수용하고 소비하는 행위를 통해 사람들의 정체성이 표현된다. 사람들의 정체성을 규정하는 변수는 세대, 계급, 성별, 인종, 지역 등으로 다양한데 대중문화는 그런 다양한 집단들의 정체성이 부딪히고 갈등하며 타협하는 장소가 된다.
주류문화는 때로는 하위문화에 의하여 표면상 주류문화를 배타적일뿐만 아니라 예술적 및 미적으로 열등하다고 여기는 하위문화에 의해 경멸적 의미로 사용되고 있다(his word is sometimes used in a pejorative sense by subcultures who view ostensibly mainstream culture as not only exclusive but artistically and aesthetically inferior).
나. 하위문화 및 반문화의 구별
주류문화는 하위문화 및 반문화와 구별되어야 한다,
⑵ 반문화(반문화. counterculture)
반문화는 가치관과 행동규범이 주류사회의 그것들과는 실질적으로 다르고 때로는 주류문화 사회적 관습과는 정반대인 문화이다.
다. 대척점
주류문화의 극단에는 숭배추종(追從崇拜. 祭儀. cult followings)와 주류이탈론(主流離脫論. 偏向論. fringe theories).
⑴ 숭배추종(追從崇拜. 祭儀. cult followings)
소수의 조직화된 숭배 예찬자 집단에 의한 추종
⑵ 주류이탈론(主流離脫論. 偏向論. fringe theories)
정치, 경제, 사회, 분화 등에서의 주류에서 이탈하거나 어떤 방향으로 편향된 이론.
2. 소수자 문화(minority cultures)
가. (원래의) 소수자 문화
소수자 문화는 관습, 인종, 종교, 민족 또는 다른 특성이 그러한 분류의 주된 집단보다 수가 적은 사람들의 집단이 소수자가 공유하고 향유하는 문화를 말한다.
나. (현재의) 소수자 문화
지배적인 사회집단의 구성원과 비교하여 상대적 불이익을 경험하는 범주의 사람들이 공유하고 향유하는 문화를 말한다.
otherly abled (남다른 능력을 가진) 신체장애를 가진
the disadvantaged 혜택을 받지 못한 사람들
the challenged = the disabled 신체장애자들
the disabled 신체장애자들
the handicapped 심신장애자들. 정신장애자들
the physically disabled
the physically handicapped
3. 하위문화(하위문화. 하위문화. subculture)
가. 의의
⑴ 어떤 사회에서 지배적인 문화와 별도로 특정한 세대, 지역, 직업, 계층끼리만 공유하는 독특한 문화. 사회의 구성원 대부분이 공유하는 문화인 전체 문화와 구별된다.
⑵ 속하는 주류문화(근원문화)와는 구별되는 문화 안에 있는 사람들의 집단. 하위문화는 문화, 정치 및 성적 문제에 대하여 그들만의 규범과 가치를 발현하며 그들의 특유한 특성을 온전하게 하는 사회의 일부이다.
⑶ the Oxford English Dictionary
종종 보다 큰 문화의 신념 또는 이해관계와는 모순되는 신념 또는 이해관계를 갖는 보다 큰 문화 안에 있는 문화집단("a cultural group within a larger culture, often having beliefs or interests at variance with those of the larger culture").
⑷ David Riesman(1950)
상업적으로 주어지는 형식과 의미를 수동적으로 받아들인 다수자와 소수자 형식을 적극적으로 추구하고 파멸적인 가치관에 따라 그것을 해석한 하위문화를 구별하였다.
⑸ Dick Hebdige (ubculture: The Meaning of Style, 1979)
하위문화는 정상에 대한 전복이다(a subculture is a subversion to normalcy.)라고 주장하고 하위문화는 지배적인 사회기준에 대한 비판의 본성 때문에 부정적으로 인식될 수 있다. 하위문화는 사회기준에 의해 무시당한다고 느끼는 같은 마음을 가진 사람을 불러 모아서 그들에게 정체감을 드러나게 한다.
나. 하위문화의 형성
한 사회 안에서 특정 계층의 사람끼리 긴밀한 사회적 접촉 유지하고 특정한 사회·문화적 환경에 접할 수 있는 기회를 가짐으로써 형성된다.
다. 하위문화의 기능
⑴ 개인적 기능
① 소속감
구성에게 소속감을 주어 심리적 안정감 부여
② 차별적 만족
획득 전체 문화에서 얻을 수 없는 욕구 충족
⑵ 사회적 기능
① 문화 다양성
문화의 획일화 방지와 전체 문화의 질적 향상
② 반문화 가능성
전체 문화에 대해 도전하는 반문화로 여겨지는 경우
라. 하위문화의 종류
⑴ 청소년 문화
세대 문화의 하나로서 한 사회의 청소년들이 공유하는 문화로서, 기성세대의 문화에 비해 자유롭고 새로운 것을 추구하는 경향이 있다. 그 과정에서 기존의 문화에 대해 비판적이고 저항적인 특징을 나타내기도 하고 대중 매체나 대중문화의 영향을 상대적으로 많이 받아 충동적이고 모방적인 특징을 보이기도 한다.
⑵ 지역 문화
일정한 지역에 살고 있는 주민들이 공유하는 행동 양식 및 가치관으로서 지역 집단의 유대를 강화하고 문화 발전 및 사회 통합에 기여함
⑶ 세대 문화
세대마다 서로 다르게 나타나는, 각 세대의 독특한 특성이 반영된 문화. 세대는 특정 연령대를 단위로 하는 것으로 대체로 노년, 장년, 청소년 등으로 구분되는데 비슷한 연령대의 사람들인 특정 세대가 공유하는 문화를 세대 문화라고 한다. 같은 세대에 속하는 사람들은 대체로 유사한 경험을 축적해 왔고, 현재에도 비슷한 언어, 가치, 규범 등을 공유한다. 다른 세대의 경험이나 사고 등을 이해하는 데는 한계를 가지기도 한다. 이 때문에 이른바 세대 갈등이 나타나기도 한다.
⑷ 이민자 문화
다른 나라에 이민을 간 사람들끼리 공유하는 문화로서 이민자들의 사회적 유대를 강화하는 한편 정착한 나라의 문화와 충돌할 수도 있음
⑸ 반문화(대항문화. counterculture)
한 사회의 대다수 구성원이 따르는 지배적인 문화를 거부하거나 여기에 저항하는 사람들이 공유하는 문화
⑹ 고급문화(high culture). 저급문화(low culture)
마. 하층계급문화이론(lower class culture theory)
⑴ 하층계급의 문화
하층계급에 독특한 문화규범이 생기는 것은 그들의 관심의 초점이 일반인들과 다르기 때문이다. Walter B. Miller가 주장하였다.
⑵ 하층계급의 관심사와 몰입
① 말썽(trouble)
② 완고(toughness)
③ 교활(smartness)
④ 흥분(excitement)
⑤ 운명(fate)
⑥ 자율(autonomy)
⑶ 동조
하층계급문화에의 동조가 범죄와 비행을 낳는다.
바. 비행적 하위문화의 종류
⑴ 범죄 하위문화(criminal subculture)
불법적 방법을 통하여 물질적 이득과 사회적 지위를 획득하는 것을 생활의 기본방식으로 인정하는 문화
범죄하위문화는 조직화된 성인범죄가 많은 지역에서 생기는 경향이 있어 여기에서는 젊은이들을 위한 범죄역할모델이 있고 그들은 범죄행위를 하는 방법을 배운다. 이 하위문화에서는 젊은이들이 많은 범죄를 범해서 전문적 범죄적 지위에 오를 수 있다. 이 문화는 통상 재정적 보수를 낳는 공리주의범죄와 관련된다.
⑵ 갈등 하위문화(conflict subculture)
사회의 통제와 조직이 확고하지 않는 과도기에 있는 불안정한 빈민지역에서 발생하는 하위문화이다. 갈등하위문화는 조직화된 성인범죄가 별로 없는 지역에서 생기는 경향이 있어 본격적인 금전적 범죄를 하는 방법을 배우는 대신 젊은이들은 대신에 갱폭력을 통한 존경을 얻는데 초점을 맟춘다.
⑶ 퇴행 하위문화(retreatist subculture, drug-use subculture, 마약 사용 하위문화)
퇴행 하위문화는 범죄적 하위문화에서 실패한 젊은이를 위한 것이고 이들은 이중실패자들이다. 그들은 그들이 다른 하위문화에서 거부되었다는 사실을 대처하기 위해 약물과 알콜중독에 퇴행하는 경향이 있다.
4. 문화의 가변성
하위 문화가 주류 문화가 될 수 있고 주류 문화가 하위 문화가 될 수 있다
Ⅱ. 이주 공동체의 형성과 문화 갈등
1. 이주공동체의 형성
사람은 끼리끼리 모이는 경향이 있다. 혈연, 지연, 연령, 성별, 종교, 학력. 직업, 가치관등 다양한데 이주민은 그들만의 공통점이 많으므로 이주민이 어느 지역에 밀집하여 하나의 공동체를 형성하기 마련이다.
2. 문화 갈등
기존의 사회에 새로운 이주민이 들어오게 되면 부수적으로 문화갈등과 충돌이 일어나기 쉽다.
제3절 자문화 중심주의와 문화 사대주의
Ⅰ. 문화를 이해하는 태도
1. 자문화 중심주의(자민족 중심주의)
가. 의의
자신들의 문화만을 우수한 것으로 여기고 다른 사회의 문화를 무시하는 문화관. 극단적 예가 문화제국주의이다.
나. 특징
자신의 문화를 절대적 기준으로 삼아 다른 문화를 낮게 평가한다. 자문화 중심주의는 자신의 문화에 대한 자부심과 정체성을 형성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는 측면도 있다. 자신의 문화를 다른 문화에 비해 우월하다고 여기기 때문에 다른 문화와 갈등을 일으키거나 스스로 고립되는 결과를 낳을 수도 있다. 이러한 태도는 다른 문화에 대한 부정적 편견을 심어 줄 수 있기 때문에 경계해야 한다.
2. 문화사대주의
가. 의의
다른 사회의 문화를 더 좋은 것으로 여기고 자신들의 문화를 업신여기는 문화관. 다른 사회의 문화를 우수한 것으로 여겨 그것을 숭상하고 자신이 속한 문화는 열등하게 생각하는 태도.
고려시대 1126년 금나라에 사대한 이자겸의 행동. 명 신종(만력제)을 섬기는 사당 만동묘, 훈민정음 창제 당시 한글 제정 반대한 최만리, 하위지, 정창손 문화사대주의
나. 특징
다른 사회의 문화를 절대적 기준으로 삼고 그 문화만을 높게 평가한다. 문화 사대주의는 다른 사회의 문화가 가진 좋은 점이나 편리한 점을 수용하여 자신의 문화를 발전시키는 계기를 마련해 주기도 한다. 맹목적으로 다른 사회의 문화를 숭상하면 자신의 문화가 가지고 있는 고유성과 그에 대한 자부심을 잃게 될 우려가 있기 때문에 경계해야 한다.
3. 문화 상대주의
한 사회의 문화를 그 사회의 입장에서 이해하려는 문화관
구분 | 의미 | 특징 |
자문화 중심주의 | 자국의 문화만을 우수하다고 여겨 높게 평가하며, 다른 문화를 열등하고 낮은 것으로 평가하는 태도. 중국의 중화사상 | 자기 문화에 대한 자긍심은 높지만, 문화 제국주의나 국제적 고립을 초래할 우려가 있음 |
문화 사대주의 | 다른 사회의 문화를 우수하다고 믿고 자기 문화를 비하하는 태도 | 다른 문화를 쉽게 수용할 수 있지만, 무분별한 외래문화 수용으로 문화의 주체성과 고유성이 상실될 우려가 있음 외국 명품 선호 현상 |
문화 상대주의 | 문화의 상대성을 인정하여 한 사회의 문화를 그 사회의 입장에서 이해하는 태도 | 문화 상대주의를 극단적으로 적용해 어떤 문화든지 무조건 옳고 가치 있다고 믿는 극단적 문화 상대주의로 흐를 수 있음 인도의 소 숭배 문화를 그 사회 구성원의 입장에서 이해함 |
장법(葬法) : 원래 5장(五葬)이 있으나 여기에서는 다음과 같이 분류한다.
① 토장(土葬) : 가장 기본적으로는 사체를 흙 속에 묻는 방식
② 화장(火葬) : 茶毘(荼毘, 다비)
시체를 불에 태우는 방식. 화장을 불교애서는 茶毘(荼毘, 다비)라고 한다.
③ 수장(水葬) : 사체를 물속에 넣거나 배에 태워서 냇물이나 바다로 흘려보내 처리하는 방식
④ 풍장(風葬), 임장(林葬), 수목장(樹木葬), 괘장(卦葬), 현공장(懸空葬) : 사체를 시체를 숲이나 들판에 버리거나 나무 위, 제작된 받침대 위, 동굴, 단애면 등에 일정한 기간 놓아두거나 무덤구덩이(墓壙)를 파고 그 위에 집을 지어 거기에 걸어 두는 방식.
⑤ 조장(鳥葬) : 시체를 들에 내다 놓거나 사체를 해체하고 높은 산에 올라가 독수리 등 새들의 먹이게 되게 하는 장례방법. 파키스탄. 티베트, 배화교도.
전족(纏足) : 중국에서 여자의 발을 자라지 못하도록 발을 천으로 옥죄어 자라지 목하게 하는 제도(그렇게 만든 발)
문화 제국주의
경제적으로 우위에 있는 선진국이 다른 나라에 대해 정치·경제·문화적 통제를 확대·강화함으로써, 특히 문화적 측면에서 선진국의 문화에 종속되어 가는 현상
극단적 문화 상대주의
생명 존중, 인간 존엄, 자유와 평등, 평화와 같은 인류의 보편적 가치를 훼손하는 문화도 그 사회의 맥락에서 의미와 가치가 있다고 인정하는 태도
Ⅱ. 문화를 바라보는 태도
1. 문화를 바라보는 태도(관점)
문화를 어떠한 태도와 시각(관점)을 가지고 볼 것인가의 문제.
2. 문화를 이해하는 바람직한 자세
가. 총체론적 관점
문화를 총체적으로 바라보는 자세로서 한 사회의 문화를 전체적인 맥락에서 바라보는 자세
나. 상대론적 관점
상대성을 인정하고 다양성을 유지하려는 자세로서 다른 문화를 상대방의 입장에서 바라보는 자세
다. 비교론적 관점
다른 문화와 서로 비교해 보는 자세 : 서로 다른 문화간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비교해 보편성과 특수성을 파악하려는 자세. 비교론적 관점
사회(국가) | 내용 |
아프리카 에티오피아 하마르족 소 넘기 | 소 4 번 뛰어 넘기 |
한국 관례(冠笄式) | 남(20세): 상투 여(15세) : 비녀 |
유대인 | Bar Mitzvah(남 13세) Bat Mitzvah(여 12세)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