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개요
박새과에 속하는 
몸길이 14㎝ 정도의 명금류로
참새와 비슷한 크기의 한국 텃새이다.
암컷과 수컷의 생김새가 같으며,
알록달록하여 매우 예쁘다. 
한반도 전역에서 번식하며 
곤충과 견과 등을 먹이로 삼는다.
* 이름의 유래
곤줄박이의 
‘곤’은 ‘까맣다’라는 ‘곰’의 의미이고
‘박이’는 일정한 장소에 박혀 있다는
의미이다. 
‘곤줄박이’는 
‘검정색줄이 박혀있는 새’라는 
의미가 된다.
* 생김새는
• 암컷과 수컷의 생김새는 동일하다.
• 머리꼭대기부터 뒷목까지 
  검정색이며, 멱도 검정색이에요. 
  배와 뒷목은 갈색이며, 
  이마, 뺨은 베이지색이에요. 
  날개와 꼬리는 진한 회색이다.
* 특징
• 번식기에는 암수가 함께 생활하며, 
   번식이 끝나면 소수의 무리로
   몰려다니거나 
   다른 종들과 섞여 생활한다.
• 주로 나방, 거미 등 곤충을 
   주식으로 하지만 먹이가 부족한
   겨울철에는 식물의 열매나 사람이
   제공해주는 인공먹이도 잘 먹는다.
• 식물의 씨앗이나 열매를 
  두발로 쥐고 부리를 이용해 
  껍질을 깨뜨려 알맹이를 먹는다.
• 사람의 접근이 빈번한 국립공원이나 
  절 등에 사는 개체는 손바닥에 
  땅콩이나 잣 등을 올려 놓고 
  가만히 있으면 날아와 먹는다.
• 일생동안 부부관계를 유지하는
  일부일처제 종이다.
• 주로 나무위에서 생활한다.
* 번식정보
• 낙엽활엽수나 잡목림의 나무구멍,
  인가의 건물 틈, 전봇대 구멍등에 
  동물의 털, 이끼, 마른 풀을 이용해
  밥그릇모양의 둥지를 만든다.
• 한배에 낳은 알의 수는 5~8개이며, 
  암컷이 알을 품어요. 
  알을 품는 기간은 12~13일이며, 
  부화 후 15~21일이 지나면 
  둥지를 떠난다.
• 새끼가 태어나면 천적의 접근을 
  피하기 위해 냄새가 풍기는 
  둥지내의 배설물은 
  둥지에서 물고나와 먼 곳에 버린다.
• 둥지를 떠난 후에도 
  일정기간 어미새의 보호를 받으며, 
  먹이를 얻어먹는다.
* 먹이 저장습성
곤줄박이를 포함한 박새과의 종들은
본인의 행동권(home range) 내에 
식물의 씨앗이나 땅콩, 무척추동물 등과
 같이 먹이를 저장하는 습성이 있다. 
이 같은 행동습성은 
딱따구리나 동고비, 까마귀 등에서도 
종종 관찰되기도 한다.
곤줄박이와 박새는 한 장소 또는 
몇몇 장소 내에 각기 다른 먹이를 
저장하는 저장고를 하루에 수백 
또는 수천 개나 만들 수 있다. 
그러나 이렇게 모은 먹이들을 
모두 다 먹는 것은 아니며, 
일부의 저장먹이는 
장기간 남아있기도 합니다 .
미처 발견하지 못하고 버려진 먹이는 
때로 식물의 번식 및 산림의 영양분이 
되어 숲을 키우는데 
도움이 되기도 합니다.
* 곤줄박이 울음소리
https://youtu.be/ZKSGFo837-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