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My Name Is Nehemiah And This Is My Story (youtube.com)
[새벽큐티설교]2024년 07월 29일 - 거룩한 성에 거하는 자(느11:1-36) (youtube.com)
HIDDEN TEACHINGS of the Bible | Nehemiah Knew What Many Didn't Know (youtube.com)
Nehemiah 1 - God's Work Begins In Your Heart (youtube.com)
Nehemiah #2 - How can you find God's will with prayer and planning? (youtube.com)
Summary of the Book of Nehemiah
느헤미야서 요약
Author: The book of Nehemiah does not specifically name its author, but Jewish and Christian traditions recognize either Ezra or Nehemiah as the author. It is likely that the books of Ezra and Nehemiah were originally one. Full article: Who wrote the book of Nehemiah? Who was the author of Nehemiah?
저자: 느헤미야서는 저자의 이름을 구체적으로 밝히지 않지만, 유대교와 기독교 전승에 따르면 에스라 또는 느헤미야를 저자로 인정하고 있습니다. 에스라와 느헤미야서는 원래 하나의 책이었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전체 기사: 느헤미야서는 누가 썼나요? 느헤미야서의 저자는 누구인가요?
Date of Writing: The Book of Nehemiah was likely written between 445 and 420 B.C.
기록 날짜: 느헤미야서는 기원전 445년에서 420년 사이에 쓰여진 것으로 추정됩니다.
Purpose of Writing: The Book of Nehemiah, one of the history books of the Bible, continues the story of Israel’s return from the Babylonian captivity and the rebuilding of Jerusalem.
집필 목적: 성경의 역사서 중 하나인 느헤미야서는 이스라엘이 바벨론 포로에서 귀환하여 예루살렘을 재건하는 이야기를 이어가고 있습니다.
Key Verses:
핵심 구절:
Nehemiah 1:3, "They said to me, 'Those who survived the exile and are back in the province are in great trouble and disgrace. The wall of Jerusalem is broken down, and its gates have been burned with fire.'"
느헤미야 1:3, "그들이 내게 말하기를, '유배에서 살아남아 지방으로 돌아온 사람들은 큰 곤경과 수치를 당하고 있습니다. 예루살렘 성벽이 무너지고 성문들이 불에 타버렸다'고 말했습니다."
Nehemiah 1:11, "O Lord, let your ear be attentive to the prayer of this your servant and to the prayer of your servants who delight in revering your name. Give your servant success today by granting him favor in the presence of this man."
느헤미야 1:11, "주님, 주의 이름을 경외하기를 기뻐하는 이 종의 기도와 주의 종들의 기도에 귀를 기울이소서. 이 사람 앞에서 은혜를 베푸시어 오늘 당신의 종에게 성공을 허락해 주십시오."
Nehemiah 6:15-16, "So the wall was completed on the twenty-fifth of Elul, in fifty-two days. When all our enemies heard about this, all the surrounding nations were afraid and lost their self-confidence, because they realized that this work had been done with the help of our God."
느헤미야 6:15-16, "그래서 성벽은 엘룰 스물다섯째 날, 즉 52일 만에 완성되었습니다. 이 소식을 들은 모든 대적들은 이 일이 우리 하나님의 도움으로 이루어졌다는 사실을 깨닫고 두려워하며 자신감을 잃었습니다."
Brief Summary: Nehemiah was a Hebrew in Persia when the word reached him that the Temple in Jerusalem was being reconstructed. He grew anxious knowing there was no wall to protect the city. Nehemiah invited God to use him to save the city. God answered his prayer by softening the heart of the Persian king, Artaxerxes, who gave not only his blessing, but also supplies to be used in the project. Nehemiah is given permission by the king to return to Jerusalem, where he is made governor.
요약: 느헤미야는 페르시아의 히브리인으로 예루살렘 성전이 재건되고 있다는 소식을 전해 들었을 때였습니다. 그는 도시를 보호할 성벽이 없다는 사실에 불안해했습니다. 느헤미야는 하나님께 도시를 구하는 데 자신을 사용해 달라고 기도했습니다. 하나님은 페르시아 왕 아닥사스다의 마음을 부드럽게 하셔서 그의 기도에 응답하셨고, 아닥사스다는 축복뿐만 아니라 재건 사업에 사용할 물자를 주셨습니다. 느헤미야는 왕으로부터 예루살렘으로 돌아갈 수 있는 허락을 받고 총독이 됩니다.
In spite of opposition and accusations the wall was built and the enemies silenced. The people, inspired by Nehemiah, give tithes of much money, supplies, and manpower to complete the wall in a remarkable 52 days, despite much opposition. This united effort is short-lived, however, because Jerusalem falls back into apostasy when Nehemiah leaves for a while. When he returned to Jerusalem, Nehemiah found the walls strong but the people weak. He set about the task of teaching the people morality and he didn’t mince words. "I argued with those people, put curses on them, hit some of them and pulled out their hair" (13:25). He reestablishes true worship through prayer and by encouraging the people to revival by reading and adhering to the Word of God.
반대와 비난에도 불구하고 성벽이 세워지고 적들은 침묵을 지킵니다. 느헤미야의 영감을 받은 백성들은 많은 반대에도 불구하고 많은 돈과 물자, 인력을 십일조로 바쳐 52일이라는 놀라운 시간 안에 성벽을 완공합니다. 그러나 느헤미야가 잠시 예루살렘을 떠나면서 예루살렘은 다시 배교에 빠지기 때문에 이러한 단합된 노력은 오래가지 못합니다. 느헤미야가 예루살렘으로 돌아왔을 때 성벽은 튼튼하지만 백성들은 약해진 것을 발견했습니다. 그는 백성들에게 도덕을 가르치는 일을 시작했고, 말을 아끼지 않았습니다. "나는 그 사람들과 다투고, 저주를 퍼붓고, 몇몇을 때리고, 머리카락을 뽑았습니다."(13:25). 그는 기도를 통해 참된 예배를 회복하고 하나님의 말씀을 읽고 준수함으로써 백성들이 부흥하도록 독려합니다.
Foreshadowings: Nehemiah was a man of prayer and he prayed passionately for his people (Nehemiah 1). His zealous intercession for God’s people foreshadows our great Intercessor, Jesus Christ, who prayed fervently for His people in His high-priestly prayer in John 17. Both Nehemiah and Jesus had a burning love for God’s people which they poured out in prayer to God, interceding for them before the throne.
예표: 느헤미야는 기도의 사람이었고 자기 백성을 위해 열정적으로 기도했습니다(느헤미야 1장). 하나님의 백성을 위한 그의 열렬한 중보기도는 우리의 위대한 중보자이신 예수 그리스도께서 요한복음 17장에서 대제사장 기도로 당신의 백성을 위해 열렬히 기도하신 것을 예표합니다. 느헤미야와 예수님 모두 하나님의 백성을 향한 불타는 사랑을 하나님께 쏟아 부으며 보좌 앞에서 그들을 위해 중보했습니다.
Practical Application: Nehemiah led the Israelites into a respect and love for the text of Scripture. Nehemiah, because of his love for God and his desire to see God honored and glorified, led the Israelites towards the faith and obedience God had desired for them for so long. In the same way, Christians are to love and revere the truths of Scripture, commit them to memory, meditate on them day and night, and turn to them for the fulfillment of every spiritual need. Second Timothy 3:16–17 tells us, “All scripture is given by inspiration of God, and is profitable for doctrine, for reproof, for correction, for instruction in righteousness: that the man of God may be perfect, thoroughly furnished unto all good works.” If we expect to experience the spiritual revival of the Israelites (Nehemiah 8:1-8), we must begin with God’s Word.
실제 적용: 느헤미야는 이스라엘 백성들을 성경 말씀에 대한 존경과 사랑으로 이끌었습니다. 느헤미야는 하나님을 향한 사랑과 하나님이 존귀와 영광을 받으시는 것을 보고자 하는 열망으로 이스라엘 백성들을 하나님께서 오랫동안 원하셨던 믿음과 순종으로 이끌었습니다. 마찬가지로 그리스도인은 성경의 진리를 사랑하고 경외하며 기억하고 주야로 묵상하며 모든 영적 필요를 채우기 위해 성경에 의지해야 합니다. 디모데후서 3:16-17은 "모든 성경은 하나님의 감동으로 된 것으로 교훈과 책망과 바르게 함과 의로 교육하기에 유익하니 이는 하나님의 사람으로 온전케 하며 모든 선한 일을 행하기에 온전히 갖추게 하려 함이라"고 말씀합니다. 이스라엘 백성들의 영적 부흥을 경험하려면(느헤미야 8:1-8) 하나님의 말씀으로 시작해야 합니다.
Translated with http://www.DeepL.com/Translator (free version)
Each of us ought to have genuine compassion for others who have spiritual or physical hurts. To feel compassion, yet do nothing to help, is unfounded biblically. At times we may have to give up our own comfort in order to minister properly to others. We must totally believe in a cause before we will give our time or money to it with the right heart. When we allow God to minister through us, even unbelievers will know it is God’s work.
우리 모두는 영적 또는 육체적 상처를 입은 다른 사람들을 진심으로 동정해야 합니다. 연민을 느끼면서도 아무런 도움도 주지 않는 것은 성경적으로 근거가 없는 일입니다. 때때로 우리는 다른 사람들을 제대로 섬기기 위해 우리 자신의 안락함을 포기해야 할 수도 있습니다. 우리는 올바른 마음으로 우리의 시간이나 돈을 기부하기 전에 대의를 전적으로 믿어야 합니다. 하나님께서 우리를 통해 사역하시도록 허용할 때, 믿지 않는 사람들도 그것이 하나님의 일임을 알게 될 것입니다.
FOR FURTHER STUDYEzra, Nehemiah, Esther: Holman Old Testament Commentary by Knute LarsonEzra and Nehemiah, New International Commentary on the Old Testament by F. Charles FenshamMore insights from your Bible study - Get Started with Logos Bible Software for Free!
RELATED ARTICLES Summary of the Book of 1 ChroniclesSummary of the Book of 2 Chronicles Summary of the Book of Ezra Summary of the Book of Esther Summary of the Book of Job
---------------------------------------------------------------------
Bible Book Summary Nehemiah Summary by Jay Smith 성경 요약 느헤미야 요약 by 제이 스미스 The book of Nehemiah is Narrative History. Nehemiah authored it at about 430 B.C. Key personalities include Nehemiah, Ezra, Sanballat, and Tobiah. Nehemiah wrote it to record the events of returning to Jerusalem and rebuilding the walls in 445 B.C. 느헤미야서는 이야기체 역사서입니다. 느헤미야는 기원전 430년경에 이 책을 저술했습니다. 주요 인물로는 느헤미야, 에스라, 산발랏, 토비아가 있습니다. 느헤미야는 기원전 445년에 예루살렘으로 돌아와 성벽을 재건한 사건을 기록하기 위해 이 책을 썼습니다. Jerusalem had a temple but there was no protection for the city from further attack. Nehemiah travels to Jerusalem and uses his leadership skill to rally a citywide construction crew. Within a few weeks, the walls around Jerusalem were built and standing tall and their enemies lost their confidence. 예루살렘에는 성전이 있었지만 더 이상의 공격으로부터 도시를 보호할 수 없었습니다. 느헤미야는 예루살렘으로 가서 자신의 리더십을 발휘하여 도시 전체의 건설 인력을 규합합니다. 몇 주 만에 예루살렘 주변에 성벽이 세워지고 우뚝 서자 적들은 자신감을 잃었습니다. • In chapters 1-7, Nehemiah recounts the events of his temporary return to Jerusalem from Persia as governor. Nehemiah leads and directs the project; each family built the section of the wall directly in front of their houses, and with hard work, the wall was astonishingly completed within 52 days. This method allowed the remnant to feel an identity and uniqueness in their part of repairing the walls of Jerusalem. “So the wall was completed on the twenty-fifth of the month Elul, in fifty-two days. When all our enemies heard of it, and all the nations surrounding us saw it, they lost their confidence; for they recognized that this work had been accomplished with the help of our God” (6:15-16). - 1장부터 7장, 느헤미야는 총독으로서 페르시아에서 예루살렘으로 일시 귀환했을 때의 사건을 이야기합니다. 느헤미야는 이 프로젝트를 이끌고 지휘하며 각 가정이 집 바로 앞에 성벽을 쌓았고, 열심히 노력한 결과 52일 만에 놀랍게도 성벽이 완성되었습니다. 이 방법을 통해 남은 자들은 예루살렘 성벽을 수리하는 일에 참여한다는 정체성과 특별함을 느낄 수 있었습니다. "그래서 성벽은 52일 만인 엘룰 달 25일에 완성되었습니다. 우리의 모든 대적들이 그 소식을 듣고 우리를 둘러싼 모든 나라가 그것을 보고 자신감을 잃었으니, 그들은 이 일이 우리 하나님의 도움으로 이루어졌음을 깨달았기 때문입니다."(6:15-16). • From Chapters, 8-13 is a time of Israel finding and reestablishing themselves again as a nation, after the long period of the exile in Babylon. Ezra leads all the Jews in a renewal ceremony. This incorporated a public teaching of the Law, in which it was read and explained. For example, the recognition of the Sabbath Day was reinstated. “And all the people gathered as one man at the square which was in front of the Water Gate, and they asked Ezra the scribe to bring the book of the law of Moses which the LORD had given to Israel” (8:1). They understood that if they were to survive they must remember and obey God’s Laws. Nehemiah establishes polices and address the issue of mixed marriages then condemns it. One of the main concerns was that the mixed marriage families were not teaching their children the Hebrew language, “the language of Judah” (13:24). - 8장부터 13장, 이스라엘이 바벨론에서 오랜 유배 생활을 마치고 국가로서의 정체성을 다시 찾고 재정립하는 시기입니다. 에스라는 모든 유대인을 이끌고 갱신 의식을 거행합니다. 여기에는 율법을 낭독하고 설명하는 공개적인 율법 교육이 포함되었습니다. 예를 들어 안식일에 대한 인식이 회복되었습니다. "모든 백성이 수문 앞 광장에 한데 모여서 서기관 에스라에게 여호와께서 이스라엘에게 주신 모세의 율법 책을 가져다 달라고 청하니"(8:1). 그들은 살아남으려면 하나님의 율법을 기억하고 순종해야 한다는 것을 이해했습니다. 느헤미야는 정책을 수립하고 혼혈 문제를 해결한 다음 이를 정죄합니다. 주요 우려 사항 중 하나는 혼혈 가정이 자녀에게 "유다의 언어"인 히브리어를 가르치지 않는다는 것이었습니다(13:24). Summaries Courtesy of the Ultimate Bible Summary Collection Bible Summary Bible Hub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