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영촌구 맥진법 1. 맥진법의 이해 1) 맥(脈)이란 무엇인가? 맥은 피부 아래 위치하며 12경락(맥)이 흐르는 곳입니다. 또 맥은 기 가 흐르는 통로로서 몸 안에서 소화된 음식의 기운과 천기가 밀접한 관계를 맺게 하며 더 나아가 몸 밖의 자연과 긴밀히 소통하고 있는 곳이기도 합니 다. 따라서 우리는 맥을 통해 몸의 상태를 알아낼 수 있습니다. 그런 뜻에서 맥은 매우 중요하며 환자의 상태를 측정하는 방법의 처음이자 끝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 배꼽을 중심으로 상체로 흐르는 피의 양은 목의 경동맥 부위인 인영에서 측 정하고, 하체로 흐르는 기혈의 양은 손목 부위인 태연혈에서 측정합니다. 2)맥진 위치 1. 인영(人迎) : 인체의 양의 강도를 측정하는 곳으로, 목의 중간에 툭 튀어나온 후두의 끝에서 양쪽으로 1.5촌되는 곳 흉쇄유돌근의 안쪽이며 총경동맥이 머리와 뇌로 올라가는 분기점으로 맥박이 뛰고 있는 곳이다 . 2.촌구(寸口) : 인체의 음의 강도를 측정하는 곳으로, 손목위의 툭 튀 어나온 요골경상돌기 안쪽으로 눌러보면 함요처가 있으며, 요골동맥이 손으 로 가는 분기점으로 맥박이 뛰고 있는 곳이다. 3)맥을 보는 순서 1. 맥을 보는 방법은 양손 엄지손가락으로 환자의 촌구를 만져 음기의 좌우 크기를 비교합니다. 이것은 좌우가 대칭되게 고루 기혈이 흐르는가를 살피는 것입니다. 이번에는 왼손은 촌구맥을 잡고 움직이지 않은 상태에서 오른손을 펴서 환자의 오른쪽 인영맥을 잡습니다. 왼손으로는 촌구맥, 오른 손으로는 인영맥을 잡아 위아래 음양의 균형을 비교하기 위함입니다. 이번에 는 오른손으로 다시 환자의 촌구맥을 잡고 왼손을 움직여 환자의 왼쪽 인영 맥을 잡습니다. 역시 위아래 음양의 조화를 살피기 위함입니다. 이렇게 해서 상하 좌우의 대소를 확인하여 음양의 불균형을 측정합니다. 그런 후 가장 큰 맥이 사기, 즉 병이 든 맥이므로 그 맥을 기준으로 좌우 촌구맥끼리 비교하여 어느 쪽이 큰가를 비교하고, 또 인영맥이 촌구맥과 비교하여 4∼5배 로 큰가 작은가 아니면 6∼7배로 큰가 작은가를 판단합니다. 2. 여섯 가지 맥(현, 구, 홍, 모, 석, 구삼맥)을 확인합니다 3. 증상을 확인하기 위하여 손으로 눌러 아픈 곳을 확인합니다. -: 육합혈 : 맥을 짚어 보았는데 도대체 무슨 맥인지 분간을 할 수
없을 때 이 여섯군데를 같은 압력으로 눌러봅니다. 그 중에서 가장 아픈아픈 경혈의 맥을 확인 합니다 . 현맥이 나오면 담경의 양릉천 구맥이 나오면 위경의 하거허 홍맥이 나오면 위경의 족삼리 모맥이 나오면 위경의 상거허 석맥이 나오면 방광경의 위중 구삼맥이 나오면 방광경의 위양 4.마지막으로 현재의 병이 어디서부터 유래되었는지 체질을 고 하고 식습관을 관찰하며 또 수술 여부 등을 확인하여 과거 병력을 살펴야 합니다 . 4)맥이 명확하지 않는 이유 1. 투석 피임 등 장치가 있을 때나 피임약, 영양제, 마약, 진통제, 감 기약 등 약물을 복용 중일 때 . 2. 장부의 절단 수술이나 장기 이식 등을 했을 때 3. 심한 운동이나 노동을 했을 때는 약 20∼30분이 지난 뒤에 맥을 보는 게 좋다 . 4. 심한 감정의 동요가 있을 때는 오장 육부의 상생 상극을 주도하는 상화, 즉 심포 삼초가 중대한 외부 영향을 받기 때문에 맥이 명확하지않 다. 5. 과식했거나 배를 곯았을 때는 오장육부가 음식을 소화시키느라 과 중하게 작동하므로 맥이 명확하지 않다 6. 병이 없거나 병이 약할 때는 맥이 명확하지 않습니다. 2.맥의 분류와 처방 (1) 현맥과 처방법 1)현맥(弦脈)의 발현 활줄과 같은 맥: 이것을 오행으로 설명하면, 금기의 긴장시키는 기운 이 넘쳐서 금극목하여 간의 부드러운 기운을 억압하여 생긴 것입니다. 금기 가 과도하게 넘치면 금극목하여 목으로 가는 것은 자연 불변의 원칙이다. 그 래서 소우주인 인체에서도 폐·대장의 기운이 과도하면 그 상대가 되는 목 , 즉 간·담의 기운이 허약해지게 된다. 이래서 우리는 금기의 서늘하고 딱딱 하고 긴장감있는 기운을 손으로 만져 알 수 있는 것이다 . 현맥(弦脈)은 곧으며 가느다랗다. 혈관이 가늘다는 것은 길이로는 길게 느 껴질 것이다. 또 금극목하여 긴장되어 생긴 맥이니 팽팽하게 긴장됨은 당연 하고, 긴장되고 늘어났으니 다소 미끄러울 것입니다. 이것을 옛날 사람들은 활시위를 당겨 팽팽하게 긴장된 것과 같다고 하여 활줄 현(弦)을 써서 현맥(弦脈)이라고 하였습니다. 2) 현맥의 처방 현맥은 간장과 담낭이 허약할 때 나타나는 맥입니다. 간장과 담낭이 허약한 현맥임이 확실해 졌을때는 첫째. 간장과 담낭에 영양을 주는 음식을 섭취하고, ;곡물로는 팥, 보리, 밀이 좋으며 신맛(酸味), 고소한 맛, 노린내 맛나는 식품중에서 좋아하는 음식을 공급하여 줍니다. 둘째. 간장과 담낭이 지배하는 부위의 운동을 하며,(木 운동) ;목운동, 고관절운동, 눈운동 셋째. 간경락과 담경락의 치료점을 찾아 유침한다. ;-.간경(肝經)치료점 : 태돈(太敦), 태충(太衝), 곡천(曲泉) -.담경(膽經)치료점 : 규음(窺陰), 임읍(臨泣), 구허(丘墟), 양릉천(陽稜泉) 1. 인영에서 현맥이 나올 때 ① 2盛(성) :정경(正經, 12경락)의 病으로 간경과 담경에서 치료점을 찾는다. -.인영맥이 촌구맥보다 크므로 병은 陽, 즉 담낭에 있다. -.陰(간장)은 虛하고, 陽(담낭)은 實하므로 담경의 2곳(규음, 구허)을 사(瀉)하고 간경의 한 곳(태돈)을 보(補)한다. ② 4~5盛(성) : 寄經(기경)의 병으로 대맥에 병이 익출 대맥의 통혈인 담경의 임읍을 瀉(사)한다. 2. 寸口에서 현맥이 나올 때 ① 3성 : 정경(正經, 12경락)의 病으로 간경과 담경에서 치료점을 찾는다. -. 촌구맥이 인영맥보다 크므로 병은 陰, 즉 간장에 있다. -.陰은 實하고, 陽은 虛하므로 간경 두곳(태돈, 태충)을 사하고, 담경 한 곳(규음)을 보한다. ② 6~7성 : 四海(사해)의 병 사해의 통혈인 - 肝經(간경)의 태충과 大腸經(대장경)의 합곡을 瀉(사)한다. (2)구맥(鉤脈) 1)구맥의 발현 콕콕 찌르는 맥: 수기의 연하고 말랑말랑하게 하는 기운이 넘쳐서 수극화하여
심장의 불처럼 퍼지는 기운을 억압하여 생긴 것입니다. 수기가 과도하게 넘치면 수극화하여 화로 가는 것은 자연 불변의 법칙입니다. 그래서 소우주인 인체도 신장·방광의 기운이 과도하면 그 상대가 심장·소장의 기운이 허약해지게 됩니다. 이래서 수기의 말랑말랑하게 하는 기운을 우리는 손으로 만져 알 수 있는 것입니다. 구맥은 수극화했으니 수기의 연한 기운을 느끼게 됩니다. 연한 기운이란 표현은 촉감이 정구공같이 말랑말랑한 것을 말합니다. 혈관 속의 피가 지나치게 말랑말랑하면 피의 순환이 급하고 빠르게 흐른다는 뜻입니다. 때문에 밖에서의 느낌은 마치 피부 속에서 밖을 향하여 날카로운 끌로 콕콕 찌르는 것과 같다고 하여 끌 구(鉤)자를 써서 옛날 책에는 구맥(鉤脈)이라고 하였습니다. 동의보감에서는 세게 오고 힘없이 간다고 표현했습니다. 2) 구맥의 처방 구맥은 심장과 소장이 허약할 때 나타나는 맥입니다. 심장과 소장이 허약한 구맥임이 확실해 졌을때는 ; 첫째. 심장과 소장에 영양을 주는 음식을 섭취하고, ;곡물로는 수수가 좋으며 쓴맛(苦味), 단내가 나거나, 불내가나는 식품중에서 좋아하는 음식을 공급하여 줍니다. 둘째. 심장과 소장이 지배하는 부위의 운동을 하며 (火 운동), ;주관절운동, 상완운동, 혀운동, 얼굴문지르기, 견갑골운동 셋째. 심경락과 소장경락의 치료점을 찾아 유침한다. -.심경(心經)치료점 : 소충, 소부, 신문, 소해(少海) -.소장경(小腸經)치료점 : 소택, 후계, 완골, 1. 인영에서 구맥이 나올 때 ① 2盛(성) :정경(正經,12경락)의 病으로 심경과 소장경에서 치료점을 찾는다. -.인영맥이 촌구맥보다 크므로 병은 陽, 즉 소장에 있다. -.陰(심장)은 虛하고, 陽(소장)은 實하므로 소장경의 2곳(소택, 후계)을 사(瀉)하고 심경의 한 곳(소충)을 보(補)한다. ② 4~5盛(성) : 寄經(기경)의 병으로 督脈(독맥)에 병이 익출 독맥의 통혈인 소장경의 후계를 瀉(사)한다. 2. 寸口에서 구맥이 나올 때 ① 3성 : 정경(正經, 12경락)의 病으로 심경과 소장경에서 치료점을 찾는다. -. 촌구맥이 인영맥보다 크므로 병은 陰, 즉 심장에 있다. -.陰(심장)은 實하고, 陽(소장)은 虛하므로 심경 두곳(소충, 소부)을 사하고, 소장경 한 곳(소택)을 보한다. ② 6~7성 : 四海(사해)의 병 사해의 통혈인 - 肝經(간경)의 태충과 大腸經(대장경)의 합곡을 瀉(사)한다. (3) 홍맥(洪脈) 1)홍맥의 발현
공처럼 생긴 맥: 목기의 부드럽게 하고 완만하게 하는 기운이 넘쳐서 목극토하여 위장의 기운이 지나치게 억압받아 생긴 것입니다. 목기가 과도하게 넘치면 목극토하여 토로가는 것은 자연의 불변의 법칙입니다.그래서 소우주인 인체도 간·담의 기운이 과도하면 그 상대가 되는 토, 즉 비장·위장의 기운이 허약해집니다. 이래서 목기의 부드럽고 완만한 기운을 우리는 손으로 만져 알 수 있습니다. 홍맥은 목극토 했으니 목이 부드럽고 완만한 기운을 느껴 맥이 완만하고 동그랗게 생겼습니다. 동그랗게 생긴 것이 물이 퍼진 것과 같다고 하여 물 수(水)변에 넓을 홍자를 사용하여 옛날 책에는 홍맥(洪脈)이라고 하였습니다. 2) 홍맥의 처방 홍맥은 비장과 위장이 허약할 때 나타나는 맥입니다. 비장과 위장이 허약한 홍맥임이 확실해 졌을때는 첫째. 비장과 위장에 영양을 주는 음식을 섭취하고, ;곡물로는 기장쌀이 좋으며 단맛(甘味), 향내가 나거나, 곯은내 나는 식품중에서 좋아하는 음식을 공급하여 줍니다. 둘째. 비장과 위장이 지배하는 부위의 운동을 하며 (土 운동), ;슬관절운동, 대퇴부운동, 입운동, 복부운동, 셋째. 비장경락과 위장경락의 치료점을 찾아 유침한다. -.비경(脾經)치료점 : 은백, 태백, 공손, 상구 -.위경(胃經)치료점 : 여태, 충양, 1. 인영에서 홍맥이 나올 때 ① 3盛(성) :정경(正經, 12경락)의 病으로 비경과 위경에서 치료점을 찾는다. -.인영맥이 촌구맥보다 크므로 병은 陽, 즉 위장에 있다. -.陰(비장)은 虛하고, 陽(위장)은 實하므로 위장경의 2곳(여태,충양)을 사(瀉)하고 비경의 한 곳(은백)을 보(補)한다. ② 6~7성 : 四海(사해)의 병 사해의 통혈인 - 肝經(간경)의 태충과 大腸經(대장경)의 합곡을 瀉(사)한다. 2. 寸口에서 홍맥이 나올 때 ① 2성 : 정경(正經, 12경락)의 病으로 비경과 위경에서 치료점을 찾는다. -. 촌구맥이 인영맥보다 크므로 병은 陰, 즉 비장에 있다. -.陰(비장)은 實하고, 陽(위장)은 虛하므로 비경 두곳(은백, 태백)을 사하고, 위경 한 곳(여태)을 보한다. ② 4~5성 : 기경의 병으로 衝脈(충맥)에 병이 익출 충맥의 통혈인 비경의 公孫(공손)을 瀉(사)한다. (4) 모맥(毛脈) 1)모맥의 발현
솜처럼 부드러운 맥: 화기의 불처럼 확 퍼지는 기운이 넘쳐서 화극금하여 대장의 기운을 억압하여 생긴 것입니다. 화기가 과도하게 넘치면 화극금하여 금으로 가는 것은 자연의 불변의 원칙입니다. 그래서 소우주인 인체도 폐장·대장의 기운이 과도하면 그 상대되는 화, 즉 심장·소장의 기운이 허약해집니다. 이래서 화기의 퍼지는 기운을 우리는 손으로 만져 알 수 있는 것입니다. 모맥은 화극금했으니 화의 불처럼 산화하여 퍼지는 기운을 느껴 혈관과 살의 경계의 골이 없어 완만합니다. 솜을 만지는 것과 같다고 하여 옛날 책에는 모맥(毛脈)이라고 하였습니다. 동의보감에는 흩어지는 특징을 보인다고 했습니다. 이런 맥은 당연히 몸을 긴장시키는 매운 음식을 먹어 장도 피부도 적당히 긴장시켜 탄력을 유지해야 할 것입니다. 2) 모맥의 처방 모맥은 폐장과 대장이 허약할 때 나타나는 맥입니다. 폐장과 대장이 허약한 모맥임이 확실해 졌을때는 첫째. 폐장과 대장에 영양을 주는 음식을 섭취하고, ;곡물로는 현미와 율무가 좋으며 매운맛(辛味), 비린내가 나거나, 박하맛이나는 식품중에서 좋아하는 음식을 공급하여 줍니다. 둘째. 폐장과 대장이 지배하는 부위의 운동을 하며,(金 운동) ;가슴운동, 하완운동, 손목운동, 피부마찰, 심호흡 세째. 폐경락과 대장경락의 치료점을 찾아 유침한다. -.폐경(肺經)치료점 : 소상, 어제, 열결, 척택, -.대장경(大腸經)치료점 : 상양, 합곡, 곡지 1. 인영에서 모맥이 나올 때 ① 3盛(성) :정경(正經,12경락)의 病으로 폐경과 대장경에서 치료점을 찾는다. -.인영맥이 촌구맥보다 크므로 병은 陽, 즉 대장에 있다. -.陰(폐장)은 虛하고, 陽(대장)은 實하므로 대장경의 2곳(상양,합곡)을 사(瀉)하고 폐경의 한 곳(소상)을 보(補)한다. ② 6~7성 : 四海(사해)의 병 사해의 통혈인 - 肝經(간경)의 태충과 大腸經(대장경)의 합곡을 瀉(사)한다. 2. 寸口에서 모맥이 나올 때 ① 2성 : 정경(正經, 12경락)의 病으로 폐경과 대장경에서 치료점을 찾는다. -. 촌구맥이 인영맥보다 크므로 병은 陰, 즉 폐장에 있다. -.陰(폐장)은 實하고, 陽(대장)은 虛하므로 폐경 두곳(소상,어제)을 사하고, 대장경 한 곳(상양)을 보한다. ② 4~5盛(성) : 寄經(기경)의 병으로 임맥에 병이 익출 임맥의 통혈인 폐경의 열결을 瀉(사)한다. (5) 석맥(石脈) 1)석맥의 발현 돌처럼 딱딱한 맥: 토기의 끈적끈적하고 뭉쳐서 고정시키는 기운이 과도하여 신장·방광의 수기를 억압하여 생긴 것입니다. 토기가 과도하게 넘치면 토극수하여 수로 가는 것은 자연의 불변의 원칙입니다. 그래서 소우주인 인체도 ·비장위장의 기운이 과도하면 그 상대되는 수, 즉 신장·방광이 허약해지게 됩니다. 이래서 토기
의 뭉치는 기운을 우리는 손으로 만져서 알 수 있는 것입니다. 석맥은 혈관을 흐르는 피가 걸죽하게 느껴집니다. 또한 단단하며 단단한 것이 심해지면 마치 조약돌을 만지는 것과 같습니다. 동의보감에는 맥이 잠겨서 세게 치는 특징이 있다고 하였습니다. 2) 석맥의 처방 석맥은 신장과 방광이 허약할 때 나타나는 맥입니다. 신장과 방광이 허약한 석맥임이 확실해 졌을때는 ; 첫째. 신장과 방광에 영양을 주는 음식을 섭취하고, ;곡물로는 쥐눈이 콩이 좋으며 짠맛(鹹味), 지린내 나는 맛, 고랑내 나는 식품중에서 좋아하는 음식을 공급하여 줍니다. 둘째. 신장과 방광이 지배하는 부위의 운동을 하며,(水 운동) ; 허리운동, 발목운동, 귀운동, 세째. 신장경락과 방광경락의 치료점을 찾아 유침한다. -.신경(腎經)치료점 : 용천, 조해, 태계, 수천 -.방광경(膀胱經)치료점 : 지음, 속골, 경골, 신맥, 1. 인영에서 석맥이 나올 때 ① 2盛(성) :정경(正經,12경락)의 病으로 신경과 방광경에서 치료점을 찾는다. -.인영맥이 촌구맥보다 크므로 병은 陽, 즉 방광에 있다. -.陰(신장)은 虛하고, 陽(방광)은 實하므로 방광경의 2곳(지음,속골)을 사(瀉)하고 신경의 한 곳(태계)을 보(補)한다. ② 4~5盛(성) : 寄經(기경)의 병으로 양교맥에 병이 익출 양교맥의 통혈인 방광경의 신맥을 瀉(사)한다. 2. 寸口에서 석맥이 나올 때 ① 3성 : 정경(正經, 12경락)의 病으로 신경과 방광경에서 치료점을 찾는다. -. 촌구맥이 인영맥보다 크므로 병은 陰, 즉 신장에 있다. -.陰(신장)은 實하고, 陽(방광)은 虛하므로 신경 두곳(태계,조해)을 사하고, 방광경 한 곳(지음)을 보한다. ② 4~5盛(성) : 寄經(기경)의 병으로 음교맥에 병이 익출 음교맥의 통혈인 신경의 조해를 瀉(사)한다. (6) 구삼맥(鉤三脈) 1)구삼맥의 발현
콕콕콕 찌르는 맥: 상화맥은 금기의 긴장시키는 기운과 수기의 연하게 하는 기운을 함께 가지고 있습니다. 즉 수극화하고 금극목하여 생긴 맥으므로 현맥처럼 가늘고 길게 생겼습니다. 그러나 현맥같이 긴장되고 미끄러운 감은 없고 구맥같이 콕콕찌르면서 말랑말랑하기도 합니다.
2) 구삼맥의 처방 구삼맥은 심포장과 삼초부가 허약할 때 나타나는 맥입니다. 심포장과 삼초부가 허약한 구삼맥임이 확실해 졌을때는 ; 첫째. 심포장과 삼초부에 영양을 주는 음식을 섭취하고, ;곡물로는 옥수수와 녹두가 좋으며 떫은 맛(澁味), 담백한 맛, 아린 맛, 생내나는 맛 식품중에서 좋아하는 음식을 공급하여 줍니다. 둘째. 심포장과 삼초부가 지배하는 부위의 운동을 하며,(相火 운동) ; 견관절운동, 손가락운동, 전신운동, 세째. 심포경락과 삼초경락의 치료점을 찾아 유침한다. -.심포경(心包經)치료점 : 중충, 노궁, 내관, 곡택 -.삼초경(三焦經)치료점 : 관충, 중저, 양지, 외관, 1. 인영에서 구삼맥이 나올 때 ① 2盛(성):정경(正經,12경락)의 病으로 심포경과 삼초경에서 치료점을 찾는다. -.인영맥이 촌구맥보다 크므로 병은 陽, 즉 삼초에 있다. -.陰(심포)은 虛하고, 陽(삼초)은 實하므로 삼초경의 2곳(관충,액문)을 사(瀉)하고 심포경의 한 곳(중충)을 보(補)한다. ② 4~5盛(성) : 寄經(기경)의 병으로 양유맥에 병이 익출 양유맥의 통혈인 삼초경의 외관을 瀉(사)한다. 2. 寸口에서 구삼맥이 나올 때 ① 3성 : 정경(正經, 12경락)의 病으로 심포경과 삼초경에서 치료점을 찾는다. -. 촌구맥이 인영맥보다 크므로 병은 陰, 즉 심포에 있다. -.陰(심포)은 實하고, 陽(삼초)은 虛하므로 심포경 두곳(중충,노궁)을 사하고, 삼초경 한 곳(관충)을 보한다. ② 4~5盛(성) : 寄經(기경)의 병으로 음유맥에 병이 익출 음유맥의 통혈인 심포경의 내관을 瀉(사)한다. (7)평맥 평맥은 육장육부가 균형을 이루었을 때 나타나는 맥으로서 오행표준형이 건강할 때 나타난다. 그 상(像)은 공과 같이 완만하고 긴장감이 있고 연하며, 단단하다. (8) 사맥(死脈) 사맥은 생명력이 소진된 상태에서 나타나는 맥으로서 그 특징은 첫째. 克하는 쪽의 기운이 매우 강하여 克하는 기운을 나타내는 성질이 매우 두드러지고 둘째.기가 소진되었기 때문에 물질적인 느낌이 매우 크게 부각되는 경우라 할 수 있다.
3. 맥의 변화 음(陰) : 촌구맥이 크면 병은 장(腸)에 있다. 양(陽) : 인영맥이 크면 병은 부(腑)에 있다. 한(寒) : 육장육부가 차서 맥이 급(急)한 것이며 더운음식과 더운 약을 쓴다. 열(熱) : 육장육부가 더워서 맥이 완(緩)한것이며, 찬음식과 찬약을 쓴다. 부(浮) : 병이 체외 즉, 몸통이나 팔 다리 머리등에 있다. 침(沈) : 병이 체내 즉, 육장육부(내장)에 있다. 지(遲) : 脈이 1분에 60박이하로 느린 것이고 염증은 없으나 대사의 속도가 느리다. 삭(數) : 맥이 1분에 60박 이상으로 빠른 것이고 염증이 있고 대사가 지나치게 빠르다. 대(大) : 氣와血이 왕성하므로 음식이나 약보다는 침.뜸이 유리하다. 소(小) : 기와 혈이 약하므로 침.뜸보다 음식이나 약이 유리하다.
4. 맥과 체질과의 관계 1) 목형체질 목형체질은 목(木)(간.담)이 강하고, 토(土)(비장. 위장)와 금(金)(폐장.대장)이 약하므로 土가 약한 홍맥과 金이 약한 모맥이 나타난다. 1.홍맥 : 목극토하여 비장과 위장이 허약해진 맥 인영에서 출현 : 음양(陰陽)중 비장은 허하고 위장이 실하므로 비장을 보하고 위장을 사한다. 촌구에서 출현 : 음양(陰陽)중 비장은 실하고 위장이 허하므로 비장을 사하고 위장을 보한다. 2.모맥 : 木이 강하여 금극목을 하지못하므로 폐장과 대장이 허약 인영에서 출현 : 음양(陰陽)중 폐장은 허하고 대장이 실하므로 폐장을 보하고 대장을 사한다. 촌구에서 출현 : 음양(陰陽)중 폐장은 실하고 대장이 허하므로 폐장을 사하고 대장을 보한다. 2) 화형체질 화형체질은 화(火)(심.소장)이 강하고, 금(金)(폐장. 대장)와 수(水)(신장.방광)이 약하므로 金이 약한 모맥과 水가 약한 석맥이 나타난다. 1.모맥 : 화극금하여 폐장과 대장이 허약해진 맥 인영에서 출현 : 음양(陰陽)중 폐장은 허하고 대장이 실하므로 폐장을 보하고 대장을 사한다. 촌구에서 출현 : 음양(陰陽)중 폐장은 실하고 대장이 허하므로 폐장을 사하고 대장을 보한다. 2.석맥 : 火가 강하여 수극화를 하지못하므로 신장과 방광이 허약 인영에서 출현 : 음양(陰陽)중 신장은 허하고 방광이 실하므로 신장을 보하고 방광을 사한다. 촌구에서 출현 : 음양(陰陽)중 신장은 실하고 대장이 허하므로 신장을 사하고 방광을 보한다. 3) 토형체질 토형체질은 토(土)(비.위장)이 강하고, 수(水)(신장.방광)와 목(木)(간장.담낭)이 약하므로 水가 약한 석맥과 木이 약한 현맥이 나타난다. 1.석맥 : 토극수하여 신장과 방광이 허약해진 맥 인영에서 출현 : 음양(陰陽)중 신장은 허하고 방광이 실하므로 신장을 보하고 방광을 사한다. 촌구에서 출현 : 음양(陰陽)중 신장은 실하고 방광이 허하므로 신장을 사하고 방광을 보한다. 2.현맥 : 土가 강하여 목극토를 하지못하므로 간장과 담낭이 허약 인영에서 출현 : 음양(陰陽)중 간장은 허하고 담낭이 실하므로 간장을 보하고 담낭을 사한다. 촌구에서 출현 : 음양(陰陽)중 간장은 실하고 담낭이 허하므로 간장을 사하고 담낭을 보한다. 4) 금형체질 금형체질은 금(金)(폐.대장)이 강하고, 木(간장.담낭)과 火(심장.소장)이 약하므로 木이 약한 현맥과 火가 약한 구맥이 나타난다. 1.현맥 : 금극목하여 간장과 담낭이 허약해진 맥 인영에서 출현 : 음양(陰陽)중 간장은 허하고 담낭이 실하므로 간장을 보하고 담낭을 사한다. 촌구에서 출현 : 음양(陰陽)중 간장은 실하고 담낭이 허하므로 간장을 사하고 담낭을 보한다. 2.구맥 : 金이 강하여 화극금을 하지못하므로 심장과 소장이 허약 인영에서 출현 : 음양(陰陽)중 심장은 허하고 소장이 실하므로 심장을 보하고 소장을 사한다. 촌구에서 출현 : 음양(陰陽)중 심장은 실하고 소장이 허하므로 심장을 사하고 소장을 보한다. 5) 수형체질 수형체질은 水(신장.방광)이 강하고, 火(심장.소장)와 土(비장.위장)이 약하므로 火가 약한 석맥과 土가 약한 홍맥이 나타난다. 1.구맥 : 수극화하여 심장과 소장이 허약해진 맥 인영에서 출현 : 음양(陰陽)중 심장은 허하고 소장이 실하므로 심장을 보하고 소장을 사한다. 촌구에서 출현 : 음양(陰陽)중 심장은 실하고 소장이 허하므로 심장을 사하고 소장을 보한다.
2.홍맥 : 水가 강하여 토극수를 하지못하므로 비장과 위장이 허약 인영에서 출현 : 음양(陰陽)중 비장은 허하고 위장이 실하므로 비장을 보하고 위장을 사한다. 촌구에서 출현 : 음양(陰陽)중 비장은 실하고 위장이 허하므로 비장을 사하고 위장을 보한다. 6) 상화형체질 상화형체질은 육장육부중 특별히 약한 장부가 없고, 상화가 발달한 체질이므로 오행의 기운이 조화롭게 이루어면서 순환되어지는 체질이다. 그러므로 체질에 따른 맥이 나타나는 것이 아니라 天氣의 변화에 따른 영향으로 맥이 나타난다. 또한 섭생이나 일상생활로 인한 오행의 변화로 허약해진 장부의 맥이 나타난다. 1. 구삼맥 : 장부의 대소와 무관하게 심포와 삼초가 허약할 때 인영에서 출현 : 음양(陰陽)중 심포는 허하고 삼초는 실하므로 심포를 보하고 삼초를 사한다. 촌구에서 출현 : 음양(陰陽)중 심포는 실하고 삼초가 허하므로 심포를 사하고 삼초를 보한다. 7) 오행 표준형 오행표준형은 병이 잘 발생하지 않으며, 만약 병이 발생하면 맥대로 병이 나타난다. <증상별 식이요법> 1. 관절염 1)고관절과 발 전체 관절의 병 고관절과 발의 모든 관절은 간장과 담낭이 주관합니다. 이것은 담낭 경락이 엉치뼈의 환도혈을 지나가기 때문입니다. 신맛의 식초를(큰 스푼으로 1~2번) 따뜻한 물에 타서 두세 번 마시면 큰 효과를 볼 수 있습니다.
2) 팔꿈치 관절의 병 심장 경락과 소장 경락이 팔꿈치를 지나면서 소해혈로 교차함에 따라 아프게 되는데 팔꿈치 관절은 심장과 소장이 주관을 합니다. 팔꿈치에 통증이 있을 때 커피 한 잔 분량의 물에 커피 두어 잔 분량의 분말을 넣어서 마시면 그 즉시 효과를 볼 수 있습니다. 주관절(팔꿈치관절) 견관절 고관절 수관절(손목관절) 3) 무릎 관절의 병 무릎 관절 주위는 비장 경락인 음릉천과 혈애, 위장 경락인 양구와 독비혈에 둘러싸여 있습니다. 그러므로 비장과 위장이 허약하면 무릎 관절이 아프거나 붓고 물이 괴거나 관절이 늘어나는 등의 여러 증상이 나타나게 됩니다. 비장과 위장을 주관하는 음식은 단 맛의 음식을 먹습니다. 무릎 통증이 있을 때 흑설탕이나 꿀(큰 스푼으로 3~5번)을 물에 타서 마시면 효과를 볼 수 있습니다. 슬관절(무릎관절) 족관절(발목관절) 4) 손목 관절의 병 손목 부위 태연혈에 폐장 경락과 대장 경락이 너무 밀착되어 흐르면 폐장과 대장의 힘이 약해져서 손목 관절에 자꾸 이상이 생깁니다. 그러므로 폐, 대장을 주관하는 매운 맛이 나는 식품을 섭취하면 폐장과 대장이 강화되고 따라서 손목 관절도 강화되어 손목에 나타나는 각종 증상도 없어집니다. 5) 발목 관절의 병 발과 다리를 잘 맞추어 돌아가게 해주는 복숭아뼈를 중심으로 신장과 방광 경락이 흘러 지나가는데 신장과 방과의 힘이 약하면 발목 관절에 자꾸 이상이 생깁니다. 6) 견 관절과 손 전체 관절의 병 어깨 근처로는 대장 경락, 소장 경락이 같이 흘러내리나 삼초 경락은 그 중간에 위치하고 있어 견 관절은 심포·삼초의 직접적 주관하에 있게 되며 심포 경락 중에 노궁이라는 혈이 손바닥 정중앙에서 중요한 역활을 하기 때문에 손의 모든 관절은 심포·삼초의 직접적인 주관하에 있게 됩니다. 손 관절이 아프거나, 물이 괴거나, 관절이 커지거나, 통증이 있거나, 팔이 움직이지 않거나, 팔이 빠지거나, 붓는 증상은 심포와 삼초의 주관 식품인 떫은 음식으로 좋은 옥수수를 드시는 것이 좋습니다. 그러나 심포·삼초는 전신에 생명력을 주관하는 장부라 회복에는 얼마간의 기간이 필요합니다. 2. 두통 두통은 머리가 아픈 것을 통칭하지만 통증의 부위에 따라 치료법도 달라집니다. 1) 옆 머리통(편두통)
옆 머리통은 동자료혈에서 시작한 담낭 경락이 머리 옆 부분을 전체적으로 넓게 왔다 갔다 하기 때문에 간장과 담낭이 허약하면 옆 머리통이 생기게 됩니다.
2) 앞 머리통 (전두통) 앞이마 양측으로 두유혈이 지나므로 비장과 위장의 주관하에 있습니다. 흑설탕이나 꿀을 먹으면 그 즉시 효과를 볼 수 있지만, 과식으로 인하여 위장으로만 피가 몰릴 경우도 많으므로 과식을 삼가하시면 더 빠른 효과가 있습니다.
3) 미릉골통 미릉이라 함은 양 눈썹을 연결하는 부위, 즉 눈 위로 툭 불거진 부분을 말하는데 이 통증은 삼초 경락의 사죽공혈이 관자놀이 부분을 지나감에 따라 이곳에서 통증이 시작되어 오래 되면 미릉골까지 아픈 통증입니다. 4) 뒷머리통과 정수리통
뒷머리통증은 뒷목이 위로 치미는 듯한 통증을 말하며, 눈 주위의 동자료혈에서 시작한 방광 경락이 정수리를 지나 아래로 내려와 목 뒤에서 네 줄기로 좁아졌다가 다시 넓게 등 뒤 전체를 덮으면서 지나게 되므로 힘이 과도하게 되어 방광이 허약하면 주로 생기는 두통입니다. 정수리통증은 신장이 주관하는 증상이며, 머리, 정수리 부분, 백회혈 부위에 나타나는 통증입니다. 3. 요통 요통은 중추 신경이 허리를 중심으로 각각 흐르고 있어 이상이 있게 되면 여러 종류의 통증을 호소합니다. 지나가는 경락이 많으므로 원인 파악이 어렵고 잘 낫지도 않으며 또 통증 부위가 깊어 설명하기 힘든 특징을 갖고 있습니다. 1) 간장과 담낭에 원인이 있는 요통(근육 요통)
간장과 담낭에 원인이 있으면 모든 근육이 긴장합니다. 더구나 담낭 경락에 따른 환도혈의 영향으로 고 관절이 약해져서 허리를 구부정하게 굽혀서 행동하게 되어 요통이 발생 합니다. 인체 근육은 간장과 담낭의 직접적 영향을 받으므로 주관하는 음식인 식초나 레몬을 먹으면 효과를 볼 수 있습니다. 약간의 시간을 필요로 하나 반드시 호전될 수 있습니다. 신허요통 간장.담낭요통 2) 심장과 소장에 원인이 있는 요통(좌골 신경통) 꼬리뼈통 좌골신경통 좌골이라 함은 앉을 座자를 사용하여 앉을 때 엉덩이가 바닥에 닿는 부위, 즉 엉덩이에서 가장 튀어나온 부분을 일컫는 말입니다. 좌골 신경통은 초기에 이 부분을 중심으로 시리고 멍멍하다가 아파지고, 그 통증이 다리 아래쪽으로 내려가는 요통입니다. 3) 폐장과 대장에 원인이 있는 요통(요안통) 비장과 위장에 원인이 있는 요통은 없습니다. 허리의 약간 아래 부분에 요안이라 하여 양 쪽으로 약간 움푹 패인 곳이 있습니다. 요안은 허리의 눈이란 뜻으로, 이곳의 통증은 폐장과 대장에 원인이 있는 요통입니다. 이런 종류의 요통은 그리 많지 않습니다. 4) 신장과 방광에 원인이 있는 요통(신허 요통) 신장과 방광에 원인이 있는 요통은 한의학에서 말하는 신허 요통이라는 것입니다. 허리 중앙 부분의 약간 잘룩한 곳에 통증이 있습니다. 신장과 방광이 주관하는 증상인 발목통, 오금통, 뒷머리통, 정수리통 등이 같이 수반되는 것이 보통의 특징입니다. 간장 2 큰 스픈 정도 먹으면 그 즉시 시원해짐을 느낄 수 있습니다. 5) 심포·삼초에 원인이 있는 요통(꼬리뼈통) 심포와 삼초에 원인이 있는 요통은 허리 하단 부위에 넓게 통증이 있으며 마치 꼬리뼈가 빠질 것처럼 아픕니다. 이러한 통증에는 얼마간의 시일이 필요합니다. 정확한 진단에 의한 식생활을 한다면 반드시 효험을 볼 수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