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래의 각 항목을 클릭하면 관련 창이 뜹니다
↓
[연기설]에 관한 고찰
1. [연기설]1. 정해져 있는 운명같은 것은 없다는 가르침 / 이진경 교수
2. [연기설]2. 자신의 선택이 자신을 어디로 밀고가는 지 깨닫게 하는 가르침 / 이진경 교수
3. [인과설]1. 같은 종이 떨어뜨려도 바람 따라 낙하지점 달라 / 이진경 교수
4. [인과설]2. 백장선사는 왜 여우노인에게 ‘인과에 어둡지 않다’고 했나 / 이진경 교수
5. [무상설]1. 매순간 끊임없이 달라져(가니) 어떤 것도 영원할 수 없어 / 이진경 교수
6. [무상설]2. 동일성 찾는 욕망이 ‘같다’라는 오류 만들어 / 이진경 교수
7. [무상설]3. 동일함 좇는 집착서 벗어나 차이를 긍정하는 사유 / 이진경 교수
8. [무아설]1. 주어진 조건 따라 다르니 어떤 것이 ‘나’인가 / 이진경 교수
9. [무아설]2. 수많은 ‘나’가 사라지고 태어나는 변이의 과정 / 이진경 교수
10. [공설]1. 모든 것이 다 조건이 만들어, 조건 지우면 뭐라 할 것 없어 / 이진경 교수
11. [공설]2. 무엇이든 될 수 있기에 뭐라 규정할 수 없어 / 이진경 교수
12. [공설]3. 무엇으로 규정되는 순간 본체 아닌 일부만 드러나 / 이진경 교수
13. [윤회설]1. ‘근본적 죽음은 불가능하다’는 사실에 대한 가르침 / 이진경 교수
14. [윤회설]2. 현재 삶에 대한 부정이 아닌 긍정의 사유 / 이진경 교수
15. [윤회설]3. ‘무아’ 잠재능력이 연기 따라 만들어 낸 상이한 ‘나’
16. [마음]1. 내 안에 있던 게 아닌 외부 조건들과 만나 생긴 것 / 이진경 교수
17. [마음]2. 조건에 따라 무언가를 만들어내는 능력 / 이진경 교수
18. [마음]3. 관성화 된 행동서 벗어나 매순간 변화시키는 것 / 이진경 교수
1. 연기설은 삶 속에서 행복 창출하고 고통 제거 / 김성철 교수
2. 연기설의 통찰 심화될 때 무한 가능성을 열어 / 김성철 교수
3. 연기설은 절묘한 분별을 통해 모든 모순을 녹여낼 수 있게 하는 가르침 / 김성철 교수
1. [붓다의 연기법] 내가 본 대로 존재한다 / 이중표 교수
2. [불교의 존재론]1. 연기를 보면 법(세상)을 볼수 있다 / 이중표 교수
3. [불교의 존재론]2. 연기를 보면 괴로움이 사라진다 / 이중표 교수
1. 연기설은 자신의 문제를 바로 바라볼 수 있는 정형으로서의 가르침 / 안양규 교수
1. [불교와 과학] 연기(緣起)의 법칙 - 연기법에 근거해 삶 속에서 행복 창출하고 고통 제거 / 김성구 교수
1. 연기설은 ‘고통의 조건’을 없애라는 희망의 가르침 / 박경준 교수
1. 연기설은 원인을 제거하여 괴로움에서 탈출케 하는 가르침 / 임승택 교수
1. 연기설(법칙성의 존재) 1. 인과율 -삼법인설과 함께 불교의 현실 관찰 / 고익진 교수
2. 연기설(법칙성의 존재) 2. 인연화합설 -인간의 성패를 해명하는 원리이기도 / 고익진 교수
3. 연기설(법칙성의 존재) 3. 상의상관성 -존재들 간의 의존성을 드러낸 가르침 / 고익진 교수
1. 연기설은 지혜로운 이의 행동원리 / 윤영해 교수
2. 행복은 ‘연기의 진리’ 찾는데서 비롯 / 윤영해 교수
3. 삶의 자유와 연기법 / 윤영해 교수
1. [연기] 우리는 어디에서 와서 어디로 가는가 / 김성규 교수
[연기]1 모든 존재와 현상이 더불어 있음을 깨치면 자유 / 윤영해 교수
[연기]2 지혜의 행동양식 너와 나 '상의성'이 연기제1법칙 / 윤영해 교수
[연기]3 연기법과 인과법칙 / 윤영해 교수
[연기(緣起)와 무아(無我)] / 윌폴라 라훌라
연기(緣起)와 무아(無我) 1) 이것이 있을때 저것이 있다
연기(緣起)와 무아(無我) 2) 방편적 진리와 궁극적 진리
연기(緣起)와 무아(無我) 3) 진리를 깨닫도록 도와준 붓다
연기(緣起)와 무아(無我) 4) 고귀한 침묵
연기(緣起)와 무아(無我) 5) '나는 존재한다'라는 것은 느낌일 뿐
1. 연기법과 사성제의 관계 / 박경준 교수
2. 연기법과 사성제 / 윤영해 교수
3. 사성제와 십이연기 / 이중표 교수
[연기법] 연기와 희론 / 이종철 교수
1. 공사상과 연기에 대한 근원적 질문
2. 연기(법)은 윤회의 수렁에서 중생구제
3. 연기와 희론(1)
4. 연기와 희론(2)
5. 연기는 존재를 인정하나 본체는 부정한다
6. '중론송'에서 ‘중(中)’의 의미
7. ‘유무(有無)’와 ‘공(空)’의 구별
8. 연기와 존재
[불교와 과학] 현대물리학은 자연의 일부만 기술 가능, 연기법, 과학적으로 표현 불가능한 깊이 / 김성구 교수
[불교와 과학] 불교의 연기법과 양자물리학의 인과율 / 김성구 교수
[현대물리학으로 푼 반야심경]5강 일체존재의 모습(연기적 관계) / 김성구 교수
[현대물리학으로 푼 반야심경]6강 공의 불교적 의미(연기의 논리적 귀결) / 김성구 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