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제 음성으로 특정한 전자기기를 작동하는 일은 그다지 신기한 일은 아니다.
기계가 사람의 말을 알아듣고 시키는대로 동작을 하며, 시킨 동작을 복창하는 일은 새로운 기술은 아닐지 모르나.
아마추어무선국에서 무전기가 사람의 말을 알아 듣고, 그것도 가까운 거리가 아니라
지구 반대편에 가서라도 휴대폰으로 명령하면 무전기가 켜진다는 일은 아무래도 신기하고 흥분되는 일이다.
본인은 앞서 제작한 아마추어무선국 용 Smart Controller와 WIFI 스윗치 "SONOFF"를
이용하여 원거리에서 무전기와 컴퓨터 전원을 제어하는 장치로 음성제어 TEST를 성공적으로 실시하였다.
그야말로 IT 기술의 발전이 어디까지 실현될 수 있을까 ? 한참 동안 생각을 해 보았다.
물론 현재 국내의 수 많은 기업체들이 음성인식, 음성합성 기술을 이용한 제품을 쏟아 내고 있으나,
한가지 아쉬운 점은 이런 기술들이 너무 폐쇠적이어서 자신들의 회사제품, 특정한 분야의 특별한 모델들이 아니면 제대로
동작을 하지 않고 있으며, 하나 하나의 기능들에 매월 사용료를 내야 하기 때문이다.
아마추어무선국에서는 이런 기술은 사용할 수 없다.
그래서 본인은 누구든지, 사용료 지불 없이, 어떤 Maker의 무전기와 컴퓨터라도 장소에 구애 없이,
특히 Remote Control 무선국에서 원격제어 Tool로 이용할 수 있도록 제작하였다.
여기에 사용하는 핵심 부품은 아래 사진과 같은 WIFI 인터넷 스윗치
"SONOFF"와 "아두이노 나노"이다.


그리고 사용하는 Software 는 Google Assistant, 그리고 "IFTTT" App이다.

- google assistant Image -

- google IFTTT Platform -
위에서 google Assistant는 음성을 인식하여 TEXT로 표시해 주는 기능을 실행하며,
google IFTTT는 TEXT화 된 문장을 다양한 Action으로 표현 해 주는 기능을 담당하는데,
여기에서는 SONOFF 인터넷 스윗치를 on, off 하는 기능을 담당한다.
다시 말하면 Assiatant는 시계, 휴대폰, 메일, 학습물, 노트북, 각종 수치 등의
정보를 읽어 들이는 역할을 하며, IFTTT는 if + this then that 라는 형식으로 만일 "어떤 정보 이렇게 되면
그때는 이렇게 하라"라는 형식으로 그 정보를 Action으로 변화를 하게 된다.
다시 말하면, 영어로 입력되는 어떤 문장이 들어오면 그때는 SONOFF
인터넷 스윗치를 on 또는 off 하라는 형식으로 행동을 취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각 Maker에서 제작하는 수 많은 종류의 물건들에 인터넷으로
통신이 되는 수단을 탑재 한다면 이 같은 Software에 의해 각종 조건 할 수 있는 것이다.
전구를 제작하는 회사에서는 그 전구에 인터넷 기능을 탑재하고
만일 날씨가 화창하면 전구 색갈을 푸르게 조명을 하게하고, 흐리면 밝은 조명을
하게 한다든지, 좋아하는 사람에게서 인터넷 메일이 온다면 즐겁고 유쾌한
음악을 송출하게 하고, 휴대폰을 통해 무전기를 켜라는 음성 신호가
TEXT화 된 신호로 들어오면 sonoff를 켜지게 하고, 무전기를 꺼라는 음성으로 s
onoff가 꺼지게 되어 전원을 차단할 수 있다.
그러면 이런 Software의 출력 신호를 어떻게 Smart Controller와
무전기 및 Power Supply에 Interface할까?
SONOFF 신호는 AC 220 Volt로 출력됨으로 이를 DC 5 Volt로 변환하는
휴대폰 충전기의 입력단에 연결하여 이를 "아두이노 나노"의 전원으로 공급한다.
아두이노 나노에서는 IIFTTT의 행동 Action을 전기신호로 출력 Port에
송출하여 엑추레이터를 동작하게 하면 음성으로 들어 온
명령이 행동으로 옮겨지게 된다.
SONOFF 인터넷 스윗치는 생산 과정에 이미 Google의 IFTTT Platform 정책에 가입되어
전세계의 사물 인터넷 망으로 연결 됨으로 IFTTT App을 이용하면 그 Action이 세계 전체 이용자들이
사용하는 수 많은 SONOFF 하나 하나를 착오 없이 제어할 수 있다.
IFTTT는 이 뿐만 아니라, 미세먼지 공기 정화기, 에어컨, 선풍기, TV, 세탁기, 전자레인지
커턴, 안마의자, CD Play등 우리들 생활 주변에 있는 모든 기기들과 함께 이미 아마추어무선국의
다양한 장비들도 인터넷과 연결되어 사물 인터넷 망을 이루고 있으며, 앞으로 이러한 사물 인터넷 기능이
없다면 그 물품의 세계화는 기대할 수 없을 지경에 이르고 있다.
다음은 음성으로 장소에 제한 없이 본인의 무전기를 원격 제어하는 IFTTT화면이다.
현재는 모든 음성 인식과 TEXT Tool 들이 영어로 되어 있는 사실들이 불편하지만 이 같은 새로운 사물 인터넷
세계에 늦게 눈을 뜬 당연한 결과로 하루 빨리 한글과 한국어가 지원될 수 있기를 기대 해 본다.
먼저 IFTTT App은 Windows 버전과 Android , iOS 버전 등 다양하게 있는데,
다음은 휴대폰에서 본인의 무전기를 원격지에서 음성 제어를 위해 만들어 둔 화면이다.


음성 제어 뿐만 아니라 사물 인터넷은 물론, 인터넷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자연 현상을
가상으로 구분하고 만약 그런 현상이 이렇게 발생한다면 발생 사항을 This 로 정의 한 후, 그 상황이 발생하면
That 로 Action을 취하라는 뚯인데, 그 Action은 음성 합성도 있을 수 있고,음악을 들려주는 일도 있으며,
TV를 켠다든지, 메일을 보낸 다든지, 시계 알람을 울릴 수 도 있고 본인의 휴대폰으로 전화를 걸 수 도 있다.
여기서는 Google Assistant를 이용하여 음성을 인식하여 Text로 변환 한 후
그 Text 내용을 음성 합성으로 출력할 수 도 있고, SONOFF를 연결하여 무전기를 동작할 수도 있다.

google Assistant로 들어온 음성 인식 Text 내용을 This로 정의하고
이런 This가 입력될 경우가 있다면 이러한 Action을 That 로 행하라는 뚯이다.
이러한 That 의 행동에는 다양한 인터넷 사물들이 존재하고 있는데,
시계의 알람을 울린다든지, 메일을 보낸다든지, 또는 SONOFF를 Trigger 한다든지
많은 행동들이 있는데, 여기에 포함되지 못하는 사물들은 세계화를 이룰 수 없다.
스스로의 물품을 폐쇄된 공간에 가두어 두고 자신만의 Action을 취하게 하는
많은 제품들은 시장성과 수요자가 제한되어 앞으로 현재와 같은 사물 인터넷 세상에서는 결코
성공할 수 없다는 사실을 빈듯이 알아야 한다.
Switch Bot이라는 밤톨 만한 조그만 스윗치에 인터넷 기능을 탑재하여 이미 설치된 기계식 스윗치에
접착제로 붙여두고 휴대폰으로 보내는 This 의 행동을 That 로 표시하는데, 특별한 부가장치 없이 Home Automation을
할 수 있다는 Solution으로 그 부가 가치를 높여 우리 돈으로 개당 가격이 6만원에 이른다.

출처 : Google
다음은 IFTTT 정책에 가입된 다양한 서비스를 소개 하고 있는데,
이런 Platform을 제공하는 기업은 Google로서 우리나라도 보다 전향된 아이디어로
사물 인터넷에 기반하여 한국어와 한글로 지원되는 서비스가 빨리 출현될 수 있기를 기원한다.
본인은 Tranceiver를 이무리 발음해도 미국 원어민에 가까운 발음을
할 수 없어 Google Assistant가 음성 인식을 못해 할 수 없어 Tranceiver를 발음하기 쉬운 ABC, 또는 TRCV로
또박 또박 발음 하니까 알아 들어, 어쩔 수 없이 이렇게 사용하고 있다.

SONOFF 도 IFTTT 정책에 가입하여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어
본인의 아마추어무선국에서 이 부품을 여러개 사용하여 Home Autiomation에 이용하고 있음은 물론,
Smart Controller의 음성 인식 명령 수단으로 이용하고 있다.
출처 : Google

출처 : Google
본인은 이 기회에 원격제어 아마추어무선국들에게 무전기와
컴퓨터를 음성으로 제어할 수 있었다.

위 그림은 아마추어 무선국용 Smart Controller인데 IP Camera를 이용하여
휴대폰으로 화면을 보면서 제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번에는 이들 기기들을 버턴 조작없이
음성으로 직접 조작하요 무전기 하나 하나를 제어할 수 있다.
바로 여기에 스윗치와 함께 SONOFF 음성 인식용 인터넷 스윗치를 연결했기 때문이다.
그런데 한가지 아쉬운 점은 이들 어플들이 미국 본토의 영어 발음 만을
쉽게 알아듣기 때문에 서툰 한국식 영어 발음은 알아 들을 수 없다는 점이다.
우리의 국력과 사용자가 늘어나 우리말을 알아 들을 수 있는 Assistant가 빨리 출현 되었으면 좋겠다.

언젠가는 무전기와 안테나를 제어하기 위한 저 버턴들도 음성으로 제어할 수 있어 필요 없을 지 모르겠다.
그리고 Remote Control 무선국에서 사용할 수 있는 원격제어 Tool들도 음성으로 대체되는 가능성도 보이고 있다.

세상은 급변하고 있으며, 아마추어 무선 기술과 교신 수단들도 변하고 있다.
안테나도 중요하고 무전기의 출력 신호와 음질도 중요하지만, 급변하고 있는 정보통신
기술의 발전으로 아마추어 무선국에서 필요로 하는 주변장치에도 디지털 기술과 함께
사물 인터넷 기술의 변화 과정이 어느 때 보다 심상 하지 않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