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마약류 관리에 관한 법률 제61조(벌칙) |
①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자는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5천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한다. |
1. 제3조제1호를 위반하여 향정신성의약품(제2조제3호가목에 해당하는 향정신성의약품은 제외한다) 또는 대마를 사용하거나 제3조제11호를 위반하여 향정신성의약품(제2조제3호가목에 해당하는 향정신성의약품은 제외한다) 및 대마와 관련된 금지된 행위를 하기 위한 장소·시설·장비·자금 또는 운반 수단을 타인에게 제공한 자 |
6. 제4조제1항을 위반하여 대마를 재배·소지·소유·수수·운반·보관하거나 이를 사용한 자 |
대마초의 경우, 다른 향정신성약물과 마찬가지로 흡연 뿐 아니라
단순 소지라 하더라도 처벌의 대상이 되니 주의하여야 합니다.
특히, 대마처럼 상습범으로 처벌되는 경우에는 더욱 유의하여야 합니다.
상습적인 대마 흡연의 혐의를 받는 경우에는 위 형의 1/2까지 가중하여 처벌될 수 있습니다.
3. 마약 범죄의 특성
1) 제보에 의한 수사 개시
다른 범죄와는 다르게 마약류 관련 범죄의 경우 밀행적으로 범행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일반적인 수사 방법으로는 수사가 어렵습니다. 이 때문에 대부분의 수사 개시는 관련자의 제보를 통해 이루어집니다. 때문에, 수사 과정에서 섣불리 거짓진술을 하는 경우, 더 큰 처벌을 받게 될 수 있으니 유의하여야 합니다.
2) 소변검사, 모발검사
마약 범죄의 경우, 투약 여부가 신체에 그대로 남게 됩니다. 이 때문에 마약범죄로 수사가 진행되는 경우 소변검사와 모발검사가 필수로 진행됩니다. 때문에 투약의 경험이 있다면, 반드시 전문변호사와의 상담이 필요합니다.
3) 구속수사의 우려
마약류와 관련된 범죄는 경우에 따라 구속수사 될 수 있어 적극적으로 대응하여야 합니다.
4) 공적조서 작성 등 수사 협조
위에서 설명 드린 바와 같이 마약조사는 결국 누군가의 진술로 인하여 수사가 개시됩니다.
따라서 다른 사건에 대한 진술 등을 통해 내가 책임져야 할 범행에 대한 내용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마약범죄는 강력범죄로 분류될 뿐 아니라 최근에는 처벌 수위 자체가 매우 높아졌기 때문에 한 순간의 호기심, 대수롭지 않은 대처 등으로 큰 처벌을 받게 될 수 있습니다.마약류 사건의 경우 반드시 수사 초기부터 혐의를 인정하여야 하는지 여부에 대하여 형사전문변호사의 도움을 받을 필요가 있습니다.
법무법인 리앤파트너스의 형사법률자문팀은 국내 4대 대형로펌 중 하나인 법무법인 세종에서 각종 대형 형사 사건 등을 맡아 온 이승재 대표변호사가 사건을 직접 맡고 있습니다. 마약류 사건의 경우, 초범이라 하더라도 중한 처벌의 대상이 될 수 있으므로 반드시 수사 초기에서부터 형사전문변호사의 도움을 받을 필요가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