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교법(Perfect Turn)
대중가요(전통)의 기교법은 사람에 생명과 같이 중요함으로
혼신에 힘을 다하여 각 부분에 열심히 연습을하여 기교자체
를 능수능란하게 노래에 접목하여 소리에 생명력을 불르넣어
가수로 상품성을 받게 될것이다
1) 기교법(꺽는 목):(Perfect Turn)
꺽은 목은 우리 국악에서 보면 닐니리야~ 닐니리야~~
니나노~~ 한국적 정서가 담기려면 장식(음) 꾸임(음)을
붙여 끝음 꺽는것을 국악에서 빌려와 응용함으로 가요에
그 기법을 활용하며 위쪽으로 꺽는목이라 부른다
꺽은 목은 형식으로보면 양악에서 턴이라하며 돌아가는
모습이 같지만 양악과는 다른 가요의 한국적 정서가
담겨진 기법이다
※꺽는목의 종류를 보면. 크게 볼때 세가지가 있다
1)[온 꺽는목]:꺽고자하는 음을 기본음이 기본을 기준으로
위쪽으로 완전이 꺽어 돌려서 한음 아뢰로 연결
해서 노래하는 기법을 말하는 것이다
2)[꺽는목]:기본음을 기준으로 위쪽으로 돌려서 노래하는것이
꺽는 목이다
3)[반꺽는 목]:기본을 기준으로 반만 꺽어서(타고넘어)서 부르
는것이 반꺽는 목이다(half turn)
※[온 꺽는 목 활용법]기본음에서 한 음정 올리고 한음정을 내리고
다시이어 바로 한음정 내려가고 그 다음 바로
연결되고 양악으로 표현하자면(Perfect Turn)
라고 한다
예) 1)김지애.[물래야]로 이 노래는 온꺽는 음정
물래만 도~오~오~오~네 한무끔으로 오~오~네
이렇게 노래에 인물을 바꾸게는게 온 꺽는
이다
2)주현미.[신시동 그사람]그 날밤 그 자리에
기다리는데 느~으~으~은~데 으~은~데
3)이미자[황포돗대]어디로 가는 배야
어디~이~이~이~이~로 이~이~로
※꺽는 목; 기본음에서 한정음 위로 올라가고 온꺽은 목은
다시 한음정을 내려서 되돌아 와연결하는것이다
예)1)이자연[아름다운 사랑]세상릉 파도와 같이
세상은 파도와~아~아~같~이
2)금과은[빗속을 둘리서]이빗속을 거러갈까요
이비쏘~오~오~글 걸러갈까~아~아~요
※반꺽은 목: 기본음은 본디음과 내성모음으로 나누어서
(가)본디음 (알)내성모음 꺽고자하는 기본음을
본디음과 내성모음을 나눈다
본디음다음에서 내성모음을 아래로 한음정내려서
서 타고 넘는듯 느낌을 주는것이 반꺽는 목이라 한다
예)1)최숙자[개나라 처녀]종달새가 울으러
우~우~우~러
2)김상배[몇미터 앞에두고]그사람을 몇미터 앞에다두고
두~우~고
3)설운도[아음이 울적해서]마음이 울적해서 길을 나선내
아음이울적 케~애~서 길을 나~서~언~네
이렇게 함으로 반꺽는의 묘미를 맛보았다
2) 연구 과제:
1)온 꺽는 목: 1)마지막 석양(빛~~)=(황포돗대)
2)청(춘)을 돌려다오=(청춘을 돌려다오)
2)꺽는 목: 1)남자라는 이(유~~)로=(남자라는 이유로)
2)앞(산)노을 질때까지(사모곡)
3)반 꺽는 목: 1)길잃는 기(러~~)기= (기러기아빠)
2)한(많~~)는 대동강아= (한많는 대동강)
3)※꺽는목의 활용은 가요에 잊어 사람동맥에 흐러는 피와 같은 것이라
잘 활용하지 못하면 노래에 상품성을 잃게 되고 발전성도 없을것이다
이는 교수님에 노래에 대한 진리인 것같다
카페 게시글
공부 합시다
기교법):(Perfect Turn)
가고파
추천 0
조회 141
14.05.23 03:07
댓글 0
다음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