上須彌庵-贈 嵩長老 (상수미암-증 숭장로)
수미암에서 숭장로에게 드리다.
虛應堂 普雨大師(허응당 보우대사 ; 1510? - 1565?)
小庵高並廣寒隣 소암고병광한린
작은 암자는 높고 넓고 추운데
白髮禪僧獨坐眼 백발선승독좌안
백발의 선승 혼자 앉아 졸고 있네
醉霧酣雲迷甲乙 취무감운미갑을
안개와 구름에 취해 방향을 못 가리다가
開花脫葉紀時年 개화탈엽기시년
꽃 피고 잎 떨어지니 세월을 깨닫네
一雙鶴老茶烟外 일쌍학노다연외
한 쌍의 학이 차달이는 연기 쐬며 늙어가고
萬疊峯回藥杵邊 만첩봉회약저변
만겹의 산봉우리 약 빻는 절구통처럼 둘러있네
聞說此中仙境在 문설차중선경재
듣자니 이 가운데 선경이 있다고 하더니
吾師無乃永郞仙 오사무내영랑선
나의 스승 영랑 신선 아닐런지
寒隣(한린) ; 추위와 이웃하다. 춥다.
坐眼(좌안) ; 앉은 채 눈을 감다.
迷甲乙(미갑을) ; 갑인지 을인지 알지못하다. 분별을 못하다.
茶烟外(다인외) ; 다 끓이는 숯불에서 나는 연기가 흘러드는 옆자리.
일러 다 끓이는 연기를 마시다.
疊(첩) ; 거듭, 잇닿아있음.
杵邊(저변) ; 저(杵)는 공이, 절구다. 절구를 에워싸고있는 주변은 절구통이다.
永郎(영랑) ; 생몰년 미상. 신라 중대의 화랑. 술랑(述郎)·남랑(南郎)·안상(安詳) 등과
더불어 이른바 사선(四仙)의 하나로 꼽혔으며, 금강산 방면의 여행과 놀이로 이름났다
허응당 보우대사의 시는 읽으면 읽을수록 대가(大家)다운 면모가 뚜렷해진다.
우선 선자(選字)가 쉽고 일반적인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다.
은유나 묘사(描寫)가 대중적이다, 한마디로 옥편을 뒤적일 일이 드물다.
수미암은 신라 시대 원효(元曉)가 창건하였으며 금강산에서도 인적이 거의 미치지 않는 곳에 있는 수도처다. 암자이름이 수미암인 것은 불교 세계관의 중심인 수미산(須彌山)을 상징한 것으로 이 암자가 금강산의 중심에 있다는 것을 말한다.
수미암은 말 그대로 금강산의 중심이자 만겹의 봉우리가 둘러싼 곳이다.
보우대사는 이렇듯 신선이 노니는 경치를 만끽하며 수미암은 만개의 봉우리가 절구처럼 둘러쳐 섰는 가운데 공이처럼 박혀 있다고 노래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