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남방황성대 : Peristedion liorhynchus (Günther)
► 외국명 : (영) Armoured gurnard, (일) Moyoukihoubou (モヨウキホウボウ)
► 형 태 : 크기는 최대 전장 40㎝ 정도이다. 몸은 길며 머리는 위턱 앞 끝에서부터 눈 앞까지 위아래로 납작하다. 몸의 뒤쪽은 옆으로 약간 납작하다. 몸의 등면은 앞 턱 끝에서부터 눈 앞까지 급하게 올라갔다가 그 뒤로는 꼬리지느러미 기부까지 완만하게 내려간다. 몸의 복면은 위턱 끝에서 배지느러미 기부까지는 완만하게 하강했다가 그 뒤로는 꼬리지느러미 기부까지 완만하게 상승한다. 몸은 골판 비늘로 덮여있다. 몸의 측면에는 4열의 골판 열이 있으며 각 골판의 뒤쪽에 가시가 1개씩 있다. 그러나 복부 쪽 골판 열의 미병부 부분과 항문 앞 골판에는 가시가 없다. 위쪽 골판 열의 28–36번 골판 가시는 골판의 앞쪽에 나 있다. 몸의 아래 쪽 골판열은 왼쪽 몸의 것과 오른쪽 몸의 것이 꼬리자루(미병부)에서 연결되어 있다. 항문은 뒷지느러미 기점 바로 앞에서 열린다. 주둥이 좌우 양쪽에 새의 부리처럼 앞으로 튀어나간 골판이 있다. 부리 골판은 위아래로 매우 납작하고 끝은 둥글어 주걱 모양이다. 부리 골판의 표면에는 작은 돌기들이 조밀하게 돋아있어 거칠지만 두드러진 가시는 없다. 부리 골판은 뒤쪽으로는 전새개골 뒤 가장자리까지 연장되어 있으며 표면은 매끄럽다. 부리 골판의 뒤 끝은 각이 지어 있으나 가시 형태는 아니며 또한 전새개골에는 다른 뚜렷한 가시가 없다. 눈은 원형이다. 입은 크며 머리 아래 쪽에 위치한다. 위턱의 뒤 끝은 안구의 앞 가장자리에 이르지 않는다. 위턱, 아래턱, 서골, 구개골에 이빨이 없다. 아래턱 입술에 3쌍의 수염이 있다. 아래턱에는 1쌍의 매우 긴 수염이 있는데 긴 수염에는 많은 가지가 붙어 있다. 배지느러미의 기점은 전새개골의 뒤쪽 가장자리보다 앞에서 시작되며 배지느러미 기저부의 뒤 끝은 가슴지느러미 기부의 아래 끝 위치보다 약간 뒤에 있다. 배지느러미를 몸 쪽으로 접었을 경우 그 끝은 항문에 이른다. 가슴지느러미의 기저부는 몸의 횡축 방향에 대하여 비스듬한 각도를 가진다. 가슴지느러미의 아래 쪽 2 연조는 손가락처럼 본체에서 분리되어 있다. 2개의 분리 연조 중 위쪽 연조는 가슴지느러미 본체의 뒤 끝을 넘어가며, 뒷지느러미 기점 위에 닿으며, 제2등지느러미의 2번째 연조 기점 아래에 이른다. 아래 쪽 분리 연조는 가슴지느러미의 뒤 끝에 이르지 못한다. 제1등지느러미의 기점은 가슴지느러미 기부 뒤에 있고 몸의 등쪽 골판 열의 1번과 2번 골판 사이에 있다. 제2등지느러미 기점은 몸의 등쪽 골판 열의 7번과 8번 골판 사이에 있다. 제2등지느러미 기저부의 뒤 끝은 등쪽 골판 열의 27번 골판 뒤에 있다. 제1등지느러미와 제2등지느러미 사이는 V 각으로 패였다. 제2등지느러미의 기점은 뒷지느러미 기점보다 앞에 있다. 뒷지느러미 기점은 제2등지느러미의 3번째 연조 아래에 있고 복부 골판 열의 1번 골판 바로 뒤에 있다. 뒷지느러미의 마지막 연조 뒤는 막을 통하여 몸체와 연결되어 있다. 꼬리지느러미는 뒤가 절단형이며 위와 아래 변이 직선이다. 신선한 상태에서는 등면과 몸의 상부가 핑크색 바탕에 약간 노란 색조가 나타나 있다. 몸의 하부측면과 복부는 하얗다. 몸의 등면과 체측 상부의 골판비늘들은 뒤쪽 가장자리가 황갈색 테두리를 가진다. 머리의 등과 측면에는 불규칙하고 길쭉한 황갈색 점들이 흩어져 있다. 1,2 등지느러미는 반투명한 백색이며 상단 부분은 검고 그 위 맨 가장자리는 분홍색으로 마감된다. 제1등지느러미의 선행부는 황록갈색이다. 가슴지느러미는 핑크색이며 기부에 좁은 검정 띠가 있고 후단부에 넓게 검은 부분이 있으며 그 바로 뒤의 테두리 부분은 노랗다. 가슴지느러미의 분지된 2 연조는 핑크색이지만 중간 부분은 노랗다. 배지느러미는 반투명하고 핑크색을 띤 백색이며 각 기조들의 중간 부분은 연한 노랑색이다. 뒷지느러미는 반투명한 백색이며 가장자리가 핑크색을 띤다. 꼬리지느러미는 핑크색이며 중앙부는 황록색을 띤다.
► 설 명 : 수심 140~380m 범위의 깊은 수심에 살며, 소형 갑각류, 무척추동물 등을 먹는다.
► 분 포 : 한국(동남부 해역, 제주도), 일본, 타이완, 필리핀, 괌, 인도네시아, 안다만해, 미얀마. 뉴칼레도니아, 오스트레일리아 서북부와 남동부 등 주로 서부태평양 연안에 분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