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주요 실습 일정
시 간 | 프로그램 | 대 상 자 | 내 용 | 실습생 역할 |
9:00~9:30 | 슈퍼비전 | 성현동 실습생 | 사업 회의 슈퍼비전 | 경청, 기록 |
9:30~10:00 | 실습일지 기록 | 실습생 | - 실습일지 기록 - 실습일지 카페 업로드 | 기록 |
10:00~12:00 | 기획 회의 | 어린이 기획단, 성현동 실습생 | 사업 기획 회의 놀이 리허설 겨울놀이 준비(놀이 확정) 준비 | 경청, 기록, 회의 |
12:00~13:00 | 점심식사 | - | - | - |
13:00~15:00 | 기획 회의 | 어린이 기획단, 성현동 실습생 | 사업 기획 회의 | 경청, 기록, 회의 |
15:30~16:00 | 슈퍼비전 | 성현동 실습생 | 슈퍼비전 | 경청, 기록 |
16:00~17:00 | 강점 나눔 | 실습생 | 어린이 기획단 강점 나눔 | 경청 |
17:00~18:00 | 실습일지 기록 | 실습생 | - 실습일지 기록 - 실습일지 카페 업로드 | 기록 |
2. 실습 일정 세부 내용
- 기획회의10:00~12:00)
: 오늘도 아이들은 ‘오늘도 또 놀 수 있겠지?’라는 마음이 느껴졌습니다. 윤환이부터 가벼운 발걸음으로 하나 둘 씩 모였습니다. 무엇보다 아이들의 표정에서 ‘이번주는 노는 일주일’이라고 생각하는 것이 느껴졌습니다. 오늘은 301호에 다 같이 모였습니다. 오늘은 윤환이, 리하, 병욱이, 수연이, 예린이가 모였습니다. 그래도 화요일은 7명의 아이들 중 5명이 모일 수 있는 날이라서 아이들도 더 재밌게 놀 수 있었습니다.
하지만, 저희 어린이 기획단은 할 것이 많았습니다. 우선, 어린이 기획단 아이들의 역할을 정했어야 됐습니다. 하지만, 아이들은 이것은 중요하지 않았고 저희 실습생 선생님들도 인지하고 있었기에, 우선은 놀이를 하면서 정해보자고 해서 우선은 401호로 우르르 달려갔습니다.
이후 수연이가 제안했던 ‘벽 피구’를 했습니다. 벽 피구는 수연이가 알고 있었던 규칙이 있어서, 바로 진행해봤습니다. 어린이 기획단 아이들도 알고 있는 규칙대로 진행했습니다. 하지만, 여기서 어린이들이 안전하고 다치지 않게 규칙을 추가했습니다. 아이들은 계속 놀고 싶었지만, 저희는 규칙을 정하고 역할을 정해야 했기에 아이들과 잘 합의를 보면서 규칙을 하나씩 정했습니다.
벽 피구는 제가 윤환이한테 “윤환아, 이거 벽 피구 있잖아, 새로운 친구들한테 벽 피구 하는 방법 알려줄 수 있겠어?”라고 물어봤습니다. 윤환이는 “네, 이 정도는 제가 할 수 있을 것 같아요!”라고 했습니다. 윤환이가 흔쾌히 받아줘서 벽 피구를 설명하는 역할은 윤환이가 맡기로 했습니다. 윤환이가 가끔은 행동은 거칠어도 책임감이 주어지면 어떻게든 참여하려고 하는 강점을 발견했습니다.
그리고, 좀비 게임을 해봤습니다. 아이들이 알고 있는 좀비 게임과 저희 실습생들이 알고 있는 좀비 게임이 조금 달랐습니다. 아이들은 저희가 준비해 온 게임을 번갈아 가면서 어떤 좀비 게임이 좋을지 묻고 의논해봤습니다. 둘 다 한 번씩 해봤는데, 아이들은 두 놀이 다 마음에 들지 않는 눈치였습니다. 그래서, 차라리 다른 게임을 다시 생각해봤습니다. 유튜브에서 새로운 좀비 게임을 찾아봤습니다. 좀비 가 돌아다니면서 몸을 감추고 있는 사람을 찾는 것인데, 숨는 사람은 움직이지 않고 소리 내지 않고 있으면서 숨는 게임이었습니다. 아이들이 숨어서 숨 참으면서 긴장된 표정으로 보아서는 가장 재밌게 놀고 있는 표정이었습니다.
돌아와서는 아이들과 놀이의 규칙을 정한 것을 토대로 서로가 어떤 역할을 맡으면 좋을지 의논했습니다. 아이들은 흔쾌히 각자의 역할을 맡기로 했습니다. 병욱이가 ‘판 뒤집기‘를 맡고, 예린이가 ‘무궁화 꽃 놀이‘, 수연이 ’좀비 게임‘ 설명과 심판을 맡기로 했습니다. 아이들은 오늘도 재밌게 놀면서 회의를 진행했고 웃으면서 포옹인사로 마무리 되었습니다.
기획회의(13:00~15;00)
: 오늘도 세현이 혼자 와서 오후의 기획회의를 진행했습니다. 오후에는 오전에 의논했던 내용을 세현이한테 전달해주고 추가할 내용을 의논했습니다. 그리고, 세현이와 게임 규칙을 설명해줄 설명서를 실습생 선생님들과 놀이당 하나씩 만들었습니다. 세현이도 흔쾌히 해주었고 덕분에 설명서는 빠르게 만들 수 있었습니다. 세현이 덕분에 빠르게 만들어서 시간이 많이 남았었습니다. 그래서 사업 D –Day에 사용할 안대를 만들었습니다. 덕분에 빠르게 사업에 필요한 내용을 진행할 수 있었고, 세현이와 눈 가리고 간단하게 좀비게임을 할 수 있었습니다.
이후에는 잠시 쉬면서 세현이를 더 많이 알아갈 수 있게 대화를 많이 주고 받았습니다. 세현이와 대화를 주고 받으면서 세현이의 강점을 알 수 있었는데, 세현이는 무엇보다 또래에 비해서 성숙하다는 것을 느꼈습니다. 어휘를 표현하는 것에 있어서도 한 번 더 생각하고 답을 하며 말을 입체적으로 말했습니다. 듣는 사람이 이해하기 쉽게 말한다는 것 또한 느꼈습니다.
오후에도 이야기를 하느라 빠르게 시간이 지나갔고 하이파이브 인사로 마무리 했습니다.
3. 실습 일정 평가
1) 배운 점
- 강감찬의 사회사업 / 어린이 기획단이 주도적으로 할 수 있게 “선생님 이건 어때요?”
: 사회복지학을 전공하면서, 학교의 학생들과 교수님들로부터 ‘강감찬종합사회복지관’에 대한 많은 이야기를 들었습니다. 저는 사회문제에 있어 개인주의로 인해 ‘관계’가 단절된 현상이 가장 해결되었으면 하는 바람이 있습니다. 강감찬종합사회복지관은 사회사업을 진행하는 기관으로, 사회사업은 복지요결을 바탕으로 제가 생각하는 ‘관계 단절’을 해결하기 위한 복지유형라고 잘 알고 있었습니다.
그래서 이 기관에서 실습을 하고 싶었고, 많은 것을 배우고 싶다는 마음이 들었습니다.
오늘 저는 복지요결의 내용을 바탕으로 단기 사회사업이 진행하고 있다는 것을 느꼈습니다. 기획 회의 전에 성현동 실습생들과 함께 사업을 어떻게 진행할지 미리 이야기를 나누었습니다. 그러나 아이들의 의견과는 약간의 차이가 있었고, 우리는 아이들에게 질문하고 의논했습니다. 무엇보다 복지요결에서 배운 ‘경청’을 자연스럽게 실천하고 있었고, 온전히 경청하는 모습을 보였습니다. 우리는 아이들의 자주성을 존중했습니다.
이 과정을 통해 저는 ‘관계 단절’을 해결하기 위해 사회사업을 배우고 있으며, 점차 그 내용을 체화해가고 있다는 것을 느꼈습니다.
앞으로도 제가 생각하는 ‘관계 단절’을 해결하기 위해 복지요결을 바탕으로 사회사업가로서의 역량을 많이 키워나가고 싶다는 생각을 하게 됐습니다.
2) 보완점
- 없습니다.
3) 슈퍼비전 요청 사항
- 없습니다.
4. 실습지도자 의견
1) 요청 사항에 대한 슈퍼비전
2) 그 외 추가 슈퍼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