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나-323(혈액화학검사)에서 나-246(지질/영양 관련 검사)로 이동
※ 나-324(혈액화학검사)에서 나-246(지질/영양 관련 검사)로 이동
※ 나-325(혈액화학검사)에서 나-246(지질/영양 관련 검사)로 이동
※ 나-600-라(핵의학검사)에서 나-246(지질/영양관련검사)로 이동
나-246-가 아포지단백A(C2461)
나-246-나 아포지단백B(C2462)
나-246-다 아포지단백C(C2463)
나-246-라 아포지단백E(C2464)
--------------------------
(1) 검사목적 : 아포지단백은 지질대사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따라서 관상동맥질환 등의 동맥경화성 질환과 밀접한 관계를 가지며, 고지혈증에서도 표현형에 따른 차이를 보인다.
(2) 검사방법 : 특이적인 항체시약과 반응하면 불용성 복합체가 형성된다. 이 불용성 복합체 형성비율은 시간과 항원, 항체량에 좌우되어 입사광을 산란시키고 산란되는 정도를 최대형성률로 측정하여 농도를 구한다.
--------------------------
1. D.M, 신증후군 등에 외래에서 나-323(아포지단백 A), 나-324(아포지단백 B), 나-326(β-Lipoprotein), 나-290(지질 : 총지질, 인지질, 트리그리세라이드 각각), 나-291(HDL-Cholesterol)등의 검사를 통상적으로 실시하지 아니함.
[내과분위, 1983/01/22]
2. 아포지단백 검사는 고혈압, 갑상선질환, 당뇨병, 혈관질환(심장병, 뇌혈관질 환)등 지질대사에 이상을 초래할 수 있는 질환에서 실시하며 아포지단백 A, B, C는 주로 동시에 실시함. [임상병리과분위, 1986/07/04]
3. 방사면역 측정법(RIA)에 의한 Apolipoprotein(a)검사는 관상동맥 질환의 위험인자인 Lipoprotein(a)에만 존재하는 저단백 Apolipoprotein(a)를 측정하는 검사로 관상동맥 질환과 뇌동맥 경화증의 질환에서 인정함이 바람직하며 실제 검사가능한 검체 수는 30-40T/1Kit(100T)정도가 적절함 (보사부 회신후 적용)
[중심조위, 1993/11/08]
4. 방사면역 측정(RIA)법에 의한 Apolipoprotein(a)검사는 관상 동맥 질환의 위험인자인 Lipoprotein(a)에만 존재하는 저단백 Apolipoprotein(a)를 정확하게 측정하는 검사로서 보험급여하며 검사료는 나-600-라(방사면역 측정)의 소정금액을 산정하고, 동 검사에 소요되는 방사선 동위원소 재료대는 진료수가 산정방법 5, 6 및 8에 의하여 산정함. [급여 65720-1042호, 1994/12/16]
5. 관상동맥질환의 위험인자 평가 및 알츠하이머질환의 조기진단지표로 이용되는 아포지단백 E(Apolipoprotein E)검사는 아직 그 사용이 보편화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어 의료보험 비급여 대상으로 함을 통보함.
[보관 65720-745호, 1998/05/20]
6. 폐경기 증후군에 시행한 지질검사 : 폐경기 증후군 상병에 여성 호르몬의 부족으로 오는 혈중 지질의 변화와 이로 인한 관상동맥 질환의 위험을 평가하고 치료방침을 정하기 위하여 실시하는 나-256(T-Cholesterol), 나-290 (Triglyceride), 나-291(HDL-Cholesterol), Lipoprotein(a) 검사는 진료상 필요한 검사이므로 인정하되, 실시 횟수에 대하여는 호르몬 대체요법시 치료전 1회와 치료후 1회 인정하고, 추적검사시에는 6개월-1년 마다 1회 정도 인정한다.
[중심조위, 1999년 5월 심사지침 공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