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복절 특사’ 이중근‧박찬구‧이호진...경영승계 초읽기
안녕하세요.
일요서울 신문사 입니다 :)
광복절 특사 대상자에 경제인들이
대거 이름을 올렸습니다.
이번 사면은 '경제 살리기'에 특사의 방점이 찍히면서
기업인들도 대거 사면·복권돼
경영 현장에 복귀할 수 있게 됐습니다.
지난 14일 정부가 발표한 광복절 특사 대상에는
경제위기 극복 및 국가경쟁력 제고를 위해
경제인 12명이 포함됐다.
박찬구 금호석유화학 명예회장과
신영자 전 롯데장학재단 이사장,
이중근 부영그룹 창업주,
강정석 전 동아쏘시오홀딩스 회장,
김정수 삼양식품 부회장, 이호진 전 태광그룹 회장,
이장한 종근당 회장, 김기문 중소기업중앙회장 등이
사면받은 주요 기업인인데요.
한덕수 국무총리는 사면 배경에 대해
“우리 경제에 활력을 불어넣고 서민과
우리 사회 약자들의 재기를 도모하는 데
그 취지가 있다”고 말했습니다.
이날 부영그룹은
“그룹의 역량을 다해 고객을 섬기는 기업으로
최선을 다하겠다”고 전했습니다.
금호석유화학그룹과 태광그룹은 각각
“본업에 더욱 집중하겠다”
“함께 잘사는 국민의 나라를 위해
사회와 나누고 더불어 성장할 수 있도록
더욱 노력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이중근 창업주는 경영 복귀에 대한 의지가
강한 것으로 알려지는데요.
다만 이 창업주가 1941년생으로 고령이고
2세 경영인들이 리더십을 내세울 기회도 적었던 만큼
이 창업주의 경영 복귀와 함께
2세 경영인을 전면에 내세우는 작업이
함께 이뤄질 것으로 보이고 있습니다.
㈜부영의 소유 지분 현황을 살펴보면,
이중근 창업주의 지분율은 93.79%,
장남 이성훈 부영주택 부사장이 2.18%,
재단 우정학원이 0.79%, 자사주 3.24%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현재 금호석유화학은 전문경영인 체제로
운영되고 있습니다.
장남 박준경 사장이 3세 경영인으로
입지를 강화해 나가고 있으며
박 사장은 2021년 영업본부장(부사장) 승진
1년여 만인 지난해 말 사장으로 고속 승진한 뒤
기획조정본부를 포함한 그룹 전반을 총괄하고 있습니다.
지분율 역시 박 사장이 7.45%로
박 명예회장의 6.96%보다 앞서고 있으며,
최대 주주는 박정구 금호아시아나
전 회장의 장남 박철완 상무(8.87%)이며,
2대 주주는 국민연금공단(7.51%)입니다.
이호진 전 회장의 경영 복귀는
기정사실로 받아들여지고 있습니다.
2021년 10월 가석방 없이 만기 출소했지만,
취업제한 규정으로 발이 묶여있었습니다.
10년 넘게 이어진 오너 공백을 메우고
미래 비전에 힘이 실리게 될 것.
태광그룹의 지주사격인 티알엔은
이호진 전 회장의 지분이 51.83%,
장남 이현준 씨가 39.36%의 지분을 확보하고 있으며
승계작업과 함께 이현준 씨의
본격적인 경영 참여가 이뤄질 가능성이 있습니다.
- 재계 "환영"… 경제시민단체 "우려"
대한상공회의소는 논평을 통해
"이번 사면·복권 조치는 어려움에 부닥친
우리 경제에 활력을 높이고,
나아가 미래를 대비해 기업인으로서
적극적인 역할을 해달라는 의미로 받아들인다"며
"앞으로 경제계는 국가 경제 발전과
기업의 사회적 책임을 다하는 데
더욱 노력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전국경제인연합회도 입장문을 통해
"대통령이 8·15 광복절 특사를 통해
경제인들을 경영 현장에 다시 복귀할 수 있도록
기회를 준 것을 크게 환영한다"며
"이번 사면을 계기로 경제인에게
주어진 사업보국의 소명을 되새기고,
민생안정과 경제회복이라는
국민들의 기대에 부응하기 위해
최선의 노력을 다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한국경영자총협회는 기업투자 활성화와
양질의 일자리 창출,
2030 부산세계박람회 유치 지원 등을
약속했습니다.
한국무역협회는
"이번 특사로 경영 현장으로 복귀하게 되는
기업인들은 과거에 쌓아온 지식과 경험을
활용해 우리 경제 활력 회복에
적극 동참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반면 경제시민단체는 우려의 목소리를 냈는데요.
경제개혁연대(소장 김우찬 고려대 교수)는
"자신의 사익을 추구하기 위해
회사를 위험에 빠뜨리고 조금의 반성도
없던 비리 기업인에 대한 특별사면을
강력히 비판한다"고 밝혔습니다.
▼ 기사 원문 보기 ▼
‘광복절 특사’ 이중근‧박찬구‧이호진...경영승계 초읽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