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상체질에 목양인 있고오행체질분류법에 목형체질이 있다. 이러한 나눔은 한 방법이 될 수도 있으나
편의상 좀 다르게 나누어 봅니다. 목양인은 태양인-소음인-소양인-양명인-궐음인(양명인과 궐음인은 다른 사람이 만든 것이지만 정의는 좀 달라도 유사하게 사용할 수 있어 그냥 사용)에서 있을 수 있다. 다만 오행 전부가 음인 태음인에서는 나타나지 않는다. 목의 기운이 무엇인지는 아직 익히지 앟아 모르나
우선적으로 나무의 기운이 좋고 나쁜것으로 구분이 가능하다고 본다. 우리는 살아가면서 나무집-나무가구-나무의자-나무식탁-나무젓가락-나무침대 등 꽤 많은 종류의 목기운과 접하고 있다. 이러한
나무기운이 몸에 좋은 사람과 나쁜 사람이 있고...좋은 사람을 목양인이라 정의하고 나쁜 사람을 목음인에 정의할 수 있다.
대부분 성격이 따듯하고 유하며 학문적이고 초식동물과 유사한 기운이 있다. 성질이 유하고 완만하므로 성질이 덜 급하므로 살이 잘 찌는 체질일 것이다. 아마 대부분 살이 비대한 사람은 목양인으로 볼 수 있을 것 같다.
그렇지만 목형체질이니 목양인(오행의 기운 중 목기가 양인 사람)은 태양인-양명인-소양인-소음인-
궐음인에 다 있으므로...다른 기운과의 조합에 따라 달라지게 된다. 성질이나 건강도 다른 기운에 따라 상생하는 기운도 있고 상극하는 기운도 있어 달라지게 된다.
목양인의 경우 비교적 기가 덜 막히는 특성이 있다. 너무 희로애락에 일희일비하지 않아..그만치 강한
자극반응에 덜 반응하여 기가 막히는 경우 적어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