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출처: 한문방(漢文房) 원문보기 글쓴이: H-jin
춘추 시대의 민요를 중심으로 하여 모은, 중국에서 가장 오래 된 시집.
[명사]<책명> 유학(儒學)에서, 오경(五經)의 하나. 중국 최고(最古)의 시집으로 공자가 편찬하였다고 전하여지나 미상이다. 주나라 초부터 춘추 시대까지의 시 311편을 풍(風)·아(雅)·송(頌)의 세 부문으로 나누어 수록하였다. 오늘날 전하는 것은 305편이며 한나라 모형(毛亨)이 전하였다고 하여 ‘모시(毛詩)’라고도 한다. ≒시(詩).
♣황허강[黃河] 중류 주위안[中原] 지방의 시로서, 시대적으로는 주초(周初)부터 춘추(春秋) 초기까지의 것 305편을 수록하고 있다. 본디 3,000여 편이었던 것을 공자가 311편으로 간추려 정리했다고 알려져 있지만, 오늘날 전하는 것은 305편이다. 시경은 풍(風),아(雅),송(頌) 셋으로 으로 크게 분류되고 다시 아(雅)가 대아(大雅), 소아(小雅)로 나뉘어 전해진다. 풍(國風이라고도 함) 은 여러 나라의 민요로 주로 남녀간의 정과 이별을 다룬 내용이 많다. 아(雅)는 공식 연회에서 쓰는 의식가(儀式歌)이며, 송은 종묘의 제사에서 쓰는 악시(樂詩)이다.
♣각부를 통하여 상고인(上古人)의 유유한 생활을 구가하는 시, 현실의 정치를 풍자하고 학정을 원망하는 시들이 많은데, 내용이 풍부하고, 문학사적 평가도 높으며, 상고의 사료(史料)로서도 귀중하다. 원래는 사가소전(四家所傳)의 것이 있었으나 정현(鄭玄)이 주해를 붙인 후부터 ‘모전(毛傳)’만이 남았으며, 그때부터 《모시(毛詩)》라고도 불렀다. 당대(唐代)에는 《오경정의(五經正義)》의 하나가 되어 경전화하였다.
♣고대 성인 공자(BC 551~479)가 편집했다고 하는데 그는 이를 문학적 표현의 정형이라고 일컬었다. 많은 주제를 포괄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그 제재가 줄곧 "즐겁되 음탕하지 않고 슬프되 상심하지 않기"(樂而不淫, 哀而不傷) 때문이다. 주(周)나라 초기(BC 11세기)부터 춘추시대 중기(BC 6세기)까지의 시가 305편을 모았다. 크게 풍(風)·아(雅)·송(頌)으로 분류되며 모두 노래로 부를 수 있다. 풍은 민간에서 채집한 노래로 모두 160편이다. 여러 나라의 노래가 수집되어 있다고 하여 국풍(國風)이라고도 하는데, 주남(周南)·소남(召南)·패()·용()·위(衛)·왕(王)·정(鄭)·제(齊)·위(魏)·당(唐)·진(秦)·진(陳)·회(檜)·조(曹)·빈()의 15개국 노래로 분류된다. 대부분이 서정시로서 남녀간의 사랑이 내용의 주류를 이룬다. 아는 소아(小雅) 74편과 대아(大雅) 31편으로 구성되며 궁중에서 쓰이던 작품이 대부분이다. 형식적·교훈적으로 서사적인 작품들도 있다. 송은 주송(周頌) 31편, 노송(魯頌) 4편, 상송(商頌) 5편으로 구성되는데, 신과 조상에게 제사지내는 악곡을 모은 것이다. 주송은 대체로 주나라 초기, 즉 무왕(武王)·성왕(成王)·강왕(康王)·소왕(昭王) 때의 작품으로 보인다. 노송은 노나라 희공(僖公) 때의 시이다. 상송은 〈시경〉 중에서 가장 오래된 시로 여겨져왔으나, 청대 위원(魏源)이 후대의 작품이라는 증거를 제시했다. 〈시경〉의 내용은 매우 광범위하여 통치자의 전쟁·사냥, 귀족계층의 부패상, 백성들의 애정·일상생활 등의 다양한 모습을 담고 있다. 형식상으로는 4언(四言)을 위주로 하며 부(賦)·비(比)·흥(興)의 표현방법을 채용하고 있다. 부는 자세한 묘사, 비는 비유, 흥은 사물을 빌려 전체 시를 이끌어내는 방법을 말한다. 이러한 수법은 후대 시인들이 계승하여 몇 천 년 동안 전통적인 예술적 기교로 자리잡았다.
♣대대로 〈시경〉에 대한 연구는 활발했으며 한대에 유가 경전에 편입되었다. 판본으로는 〈노시 魯詩〉·〈제시 齊詩〉·〈한시 韓詩〉·〈모시 毛詩〉가 〈시경〉 해석과 연구의 주류를 이루었다. 그중 현존하는 판본은 모장(毛)의 〈모시〉인데, 정현(鄭玄:127~200)의 전(箋)과 공영달(孔穎達:574~648)의 소(疏)가 포함되어 있다. 남송 때 주희(朱熹)가 쓴 〈시집전 詩集傳〉은 영향력이 큰 주석본이다. 청대의 〈시경〉에 대한 연구는 후대 학자들에게 좋은 자료가 되고 있다
♣시경(詩經)』은 주(周)나라 시대의 풍(風)과 아(雅)와 송(頌)을 공자가 편집한 문학경전으로 시가(詩歌)문장의 전범이고 시 세계의 대관(大觀)이다.
사람은 만물의 영장으로 감수성이 예민하기 때문에 사물에 대하여 느낌이 많은 바 그 느낌이 간절하면 말과 글로 표현하지 않을 수 없고 말과 글로 다하지 못하는데 이르면 저절로 노래를 부르고 춤을 추지 않을 수 없게 되는 것이다.
그리하여 고대로부터 인류사회에는 시와 노래가 유행하였으니 인생의 희로애락(喜怒哀樂)을 담아내는 그릇이 되고 사람의 신명을 돋구는 도구가 되어 아름다운 문화사회를 창조하는 선도적 기능을 함으로써 사람으로 하여금 많은 상상력을 발동케 해서 신바람이 나게 하고, 다양한 지식을 습득하여 사물을 두루 관찰하게 하며, 감정을 순화해서 더불어 사는 방법을 알게 하며, 인간의 심리를 간파해서 스스로 문제를 해결하는 기량을 길러서 가까이는 화목한 가정을 만들고 멀리는 문명한 국가를 건설하는데 크게 기여했던 것이다.
그러나 후세에 유행하는 시와 노래는 그 표현이 거칠거나 적절치 못한 것이 있고 그 가락도 어색하고 조잡한 것이 섞여 있어서 사실을 왜곡하고 뜻을 굴절시킬 뿐만 아니라 심지어 양심을 마비시키고 사회를 어지럽히는 폐해가 있는 까닭에 시와 노래를 가르침에 그 주제와 가사와 운격과 악보를 살피지 않을 수 없었다.
공자는 이에 시제(詩題)의 중복을 피하여 각 분야별로 가장 충실하고 운치가 있는 것과 매우 어색하고 부적절한 것으로 305편을 간추려 『시경』을 편집하였으니 정치, 교육, 외교, 군사, 과학, 경제, 문화, 예술 등의 여러 인생영역의 모범과 경계를 망라한 것이다.
따라서 『시경』의 가치는 1차적인 원작자의 뜻보다도 2차적인 공자가 『시경』을 편집한 의도에 있는 것이다. 원작자가 지은 시는 한 편의 시나 노래에 지나지 않지만 공자가 편집한 『시경』은 305편의 노래로 조립한 웅장한 화음을 이루어 영원한 문학의 성경으로 부활하여 시간과 공간을 뛰어 넘어 전체 인류에게 지혜로 빛나는 광명세계를 활짝 열어 준다.
열 다섯 나라의 광활한 풍토 위에서 펼쳐진 국풍(國風)은 인생의 각종 애환이 모두 담겨 있어서 누구에게나 가슴이 뭉클한 감동으로 자기의 처지와 심경을 호소하고 세상을 비판할 노래가 갖추어 있고, 높은 인문주의적 지성사회에서 엮어낸 소아(小雅)는 철저한 합리주의와 중용(中庸)사상과 대동(大同)정신으로 천하문명을 건설하는 아름다운 의례와 제도와 문장이 가득하여 문화사회의 기틀이 갖추어 있으며 태평성대를 건설하여 봉황(鳳凰)이 와서 노래하는 대아(大雅)는 정치지도자가 천명(天命)을 받들고 민심을 따르는 도덕적 지도력으로 전체 인류의 안녕과 행복을 보장하는 덕치인정(德治仁政)의 도량이 갖추어 있으며, 거룩한 성왕(聖王)의 영원불후한 공덕을 찬송하는 송(頌)은 성덕(聖德)과 신무(神武)를 표창하고 계승하는 정신이 갖추어 있다.
모든 사람이 보편적으로 추구하는 순수한 생각의 틀 안에서 영원한 생명력을 얻은 하나하나의 시구들은 성경의 진리로 승화하여 찬연한 빛을 발휘하기 때문에 바야흐로 생각을 말로 표현하는 법도가 되고 사물을 보고 판단하는 기준이 되며 사회를 평가하는 척도가 되었다. 그러므로 공자는 『시경』을 배우지 않으면 사물을 식별하여 언어를 구사하는 능력을 배양하지 못한다고 하였으며 또 『시경』의 300편을 외우고도 탁월한 정치적 사업능력과 외교적 조절능력을 구비하지 못하면 의미가 없는 것이라고 경계하였다
시경
1.시경이란 : 시(詩), 혹은 삼백편(三白篇)으로 불리우다 공자가 이를 육경(六經)속에
묶 으면서 시경이라 불림
2.창작시기 : 서주 초기(기원전 11세기)로부터 춘추 중엽(기원전 6세기)까지 약 500년
3.창작 지역 : 황하, 장강, 한수 유역이 망라된 광범위한 지역(북방 문학)
4.수집, 편찬 : 채시(采詩, 시가 수집 제도) 제도에 의해 수집, 편찬 (기원전 6세기 중엽)
5.내용 :
1. 풍(風)<국풍(國風)>
·15개국에서 수집해 온 토악 즉, 지방 음악
·<주남(周南)>, <소남(召南)>만이 장강, 한수, 여수 일대 시가
· 그 외 13국풍은 모두 황하 유역에서 생성
·대부분 민요와 약간의 귀족 작품
·노예 사회의 근본적인 모순을 반영-<빈풍, 칠월>
<위풍, 벌단(魏風 伐檀)>, <위풍, 석서(魏風, 碩鼠)>
·정풍은 정나라의 민가, 곡조
·위풍은 위나라의 민가, 곡조
·일반 생활의 모습 반영
·황하와 위수 유역을 중심으로 한 중국의 북방과 남방의 한수와 장강 근처 가요
·문체:우유위곡(優柔委曲)하여 본뜻이 언외(言外)에 있는 체(體)
2 아(雅)
· 대아(大雅)와 소아(小雅)
·주 왕조가 직접 통치하는 지역의 음악. 정성(正聲)이라는 뜻 내포
· 민요는 몇 수밖에 안되고 나머지는 귀족 문인들의 작품
·노동 인민들의 현실 생활과 그들의 사상 감정 표현
· 대아(大雅): 모두 31편, 궁정의 악가로서 융숭한 연회 전례에 사용
국풍의 반 이상이 서정시인 반면 대아의 반 이상은 서사시
· 소아(小雅): 연회, 전쟁, 폭정, 연정 등 다양
· 대아:회조(會朝)에 쓰이던 음악(주 왕실에 관계)
· 소아:향연 때 쓰여진 음악(군신들과의 관계)
·문체:명백정대(明白正大)하여 그 뜻을 직언하는 체(體)
3, 송(頌)
· 종묘(宗廟) 제사에 쓰이는 무용곡
·<주송(周頌)>, <노송(魯頌)>, <상송(商頌)> 모두 40수
· 귀족 문인들의 작품
·주송, 노송, 상송 모두 사람과 사물을 칭송하는 시가
표현 수법 :
부(賦)-직접 감정을 토로하거나 이야기 서술하는 수법
비(比)-비유법
흥(興) -먼저 다른 것을 이야기함으로써 본제를 끄집어내는 수법
·장이나 절의 중첩, 반복
·쌍성(雙聲), 첩운(疊韻), 첩자(疊字) 사용
6.시풍 : 북방의 기후는 건조 한랭, 토지는 척박- 소박, 실제 중요시 (사회 보편성묘사)
집단적 민간가요, 사회 현실적
7.자구(字句) : 단구(短句) 많이 사용
8.문체(文體) : 중자복구(重字複句) 많이 사용, 질박
9.영향 : ·부, 비, 흥의 표현 수법은 중국 문학 창작 발전에 큰 영향
·사실주의 전통을 수립 - 당대의 두보와 백거이
·신랄한 사회적 내용과 형식은 민요의 중요성 제시
楚辭
1.초사란 : <시경>이 나온 이후 굴원을 대표로 한 전국 시기 초나라 사람들에 의하여 창 작된 새로운 시체(詩體)
(초나라 강성, 초나라의 무풍(巫風)이 직접 영향)
2.작자 : 굴원
3.창작시기 : B.C. 6세기 중간 무렵-중국 문학의 이해 p135
4.창작 지역 : 남쪽의 초나라 민요를 바탕으로 발전(남방 문학)
5.수집, 편찬 : 한 성제(成帝) 때 유향(劉向)이 고적(古籍)을 정리하면서 굴원과 송옥 등 의 작품을 수집, 편찬
6.내용 :
1, 이소(離騷) : ·초나라의 정치적인 위기 비평
·신화를 소재로 초현실적인 세계를 묘사해 혼탁한 세상을 통탄
2, 구가(九歌) : ·충군 애국의 정을 담아 노래
·본디 초나라의 민간의 제가(祭歌)
·음악(音樂), 가사(歌辭), 무도(舞蹈)가 혼합
3, 천문(天問) :·자연 현상, 역사, 종교 신앙, 인생의 이상에 이르기까지 회의를 갖게 되어 물음을 던짐
· 모두 문화식(問話式)으로 구성
· 굴원의 작품 중에 두 번째로 긴 시
4, 구장(九章) : 시름에 겨운 충정을 노래
7.표현 수법 :
1. 어조사 '兮' 사용 삼언을 바탕으로 하는 남방의 가요 리듬에 적용
2, 어조사 '兮' 자 대신 '以', '之', '而' 같은 접속사 사용
·앞구의 끝에 '兮' 자를 붙이어 전후 두 구를 연결
3, 사언 구조
·북방 <시경>계열의 형식
·"천문"만이 전편 사용
4, 북방의 사언구조와 남방의 삼언구조를 합친 것
8.시풍 : ·남방의 기후는 따뜻, 토지가 비옥, 물산이 풍부 - 인정이 온후, 상상력 풍부 (낭만적)
·대체로 개인적 문학, 개인적 낭만주의 색채(초현실적인 신비세계)
9.자구(字句) : 장구(長句) 많이 사용
10.문체 : 우사변어(偶詞?語) 많이 사용, 부려(富麗)
11.영향 : 현실 도피적이고 탈세속적인 정신은 도가적 출세 사상에 가깝고, 이러한 사상은 이후 중국 문학의 이상향을 꿈꾸는 은둔 문학의 풍류 세계를 낳는 데 영향
시경(詩經)≫은 중국 최초의 시가총집인 동시에 중국 순문학의 시조이다. ≪시경≫에는 지금으로부터 약 2500여년 ~ 3000여년 전인 서주(西周) 초기로부터 춘추(春秋) 중기에 이르는 약 500여년간의 시가 305편이 수록되어 있다. ≪시경≫은 당시에 민의(民意)의 소재를 파악하기 위하여 채시(采詩), 진시(陳詩), 헌시(獻詩) 등의 방법에 의하여 수집되었다. 민간가요와 사대부들의 작품 및 신에게 제사 드리는 송사(頌辭)가 포함되어 있는 ≪시경≫에는 풍부한 언어, 사회학적 자료가 내재되어 있다.
1. <시경>의 명칭
"시경"이란 용어를 사용하기 시작한지는 그렇게 오래되지 않았다. 옛날에는 단지 그것을 "시(詩)" 또는 "시삼백(詩三百)"이라고 칭하였으며, ≪역(易)≫, ≪서(書)≫, ≪예(禮)≫, ≪춘추(春秋)≫ 등과 마찬가지로 "경(經)"이란 존칭이 없었다. 물론 전국시대 말기부터 이미 "육경(六經: 詩, 書, 樂, 易, 禮, 春秋)"이니 하는 말은 있었지만, 후세의 ≪십삼경(十三經)≫ 중에서 ≪효경(孝經)≫을 제외하고는 초기에는 모두 서명(書名) 뒤에 "경(經)"자를 붙여 "시경(詩經)"이나 "역경(易經)" 등으로 칭하지 않았다.
책의 이름으로서 "시" 뒤에 "경"자가 붙여진 것은 남송(南宋) 초엽 요강(廖剛)의 ≪시경강의(詩經講義)≫가 가장 빠른 듯하다. 그 후에 이러한 기풍은 매우 유행하여 명대(明代) 이후에는 ≪시≫, ≪서≫, ≪역≫ 등의 경서에 "경"자가 붙여진 말이 더 흔히 쓰이게 된다. "경"자는 이들 책을 높이는 뜻에서 붙여진 것이다.
2. <시경>의 편집
≪시경≫의 시가 300여편으로 정착되기에는 그 과정에 있어서 대체적으로 산시설(刪詩說), 채시설(采詩說), 헌시설(獻詩說), 진시설(陳詩說) 등이 있다.
옛날에는 시를 채집하는 관리가 각 지방의 시가를 모아 오면 임금은 그것을 보고 민심의 동향을 알아내어 행정(行政)에 참고하였다. ≪시경≫은 이러한 채시관(采詩官)들이 모은 시로 이루어진 것인데, 공자(孔子)가 그것의 편차(編次)를 지금의 형태로 정리하였다.
3. 삼가시(三家詩)
한초(漢初)에 ≪시경≫을 전한 사람으로 신배공(申培公)과 원고생(轅固生) 및 한영(韓嬰)이 있었는데, 이들은 모두가 금문(今文)으로 된 ≪시경≫을 전하였으며, 후세에 이들을 "삼가시(三家詩)"라 부르게 되었다.
1) 노시(魯詩) : 노나라 사람인 신배공이 전한 시. 서진(西晋)시대에 없어졌다.
2) 제시(齊詩) : 제나라 사람인 원고생이 전한 시. 위대(魏代)에 없어졌다.
3) 한시(韓詩) : 연(燕)나라 사람인 한영이 전한 시. 삼가시 중에서 생명이 가장 길어 당대(唐代, 또는 北宋)까지 존재하였으며, 지금도 ≪외전10권(外傳十卷>≫이 전해지고 있다.
서한 때에 성행한 삼가시가 모두 후세에 전하지 않게 된 것은 삼가시를 공부한 학자들이 학관으로 출세하는 대신 경(經)을 빌어 그 시대의 정치원리를 설명할 목적으로 시의 대의를 억지 해석하는 데 노력을 기울였기 때문이다. 즉 그 시대의 정치상황을 설명하기 위한 시의 대의 파악은 곧 그 시대가 지나고 나면 거의 가치가 없는 게 되고 말기 때문에 삼가시는 일찍이 전하지 않게 되었던 것이다.
4. 모시(毛詩)
앞서 언급한 것처럼 삼가시는 일찍이 실전되어 송대 이후로는 고문(古文)인 ≪모시(毛詩)≫만이 세상에 유행하게 되었다. 지금 우리가 보통 읽고 있는 ≪시경≫이란 모두가 ≪모시≫인 것이다. ≪한서(漢書) 예문지(藝文志)≫에는 ≪모시(毛詩)≫ 29권과 ≪모시고훈전(毛詩故訓傳)≫ 30권이 수록되어 있는데, 그 중 뒤의 것이 우리에게 전해진 가장 오래된 시경의 판본이며 그 해설서이다.
≪모시≫는 조(趙)나라 사람인 모공(毛公)이 전한 시를 말한다. 모공이 어떤 사람인지에 대해서는 자세하게 알 수 없다. 대모공(大毛公)은 모형(毛亨), 소모공(小毛公)은 모장(毛萇)이라는 설이 있으나 믿기 어렵다.
≪모시≫에는 맨 앞머리에 자하(子夏)의 작(作)이라는 <대서(大序)>가 있고, 각 시의 앞머리에는 자하와 모공의 합작이라는 <소서(小序)>가 있어 시의(詩意)를 설명하고 있다.
삼가시에 비하여 ≪모시≫는 서한 때 학관에 오르지 못하여 비교적 착실한 훈고에 노력하고 있고, 동한 때에 ≪모시≫를 보충 해설한 ≪전(箋)≫을 쓴 정현(鄭玄) 같은 대학자가 나오기도 하였기 때문에 ≪모전(毛傳)≫이 유일하게 세상에 전해지게 되었던 것이다.
5. <시경>의 내용
≪시경≫에는 모두 305수의 시가 실려 있으며, 이들은 다시 풍(風), 아(雅), 송(頌)의 세 부분으로 나누어진다. 이외에도 ≪모시(毛詩)≫ 가운데는 내용은 없고 제목만 남아 있는 것이 6수가 있다.
1) 풍(風) :
옛날 학자들은 "풍(風)"자를 "풍자(諷刺)" 또는 "풍유(諷諭)"의 뜻을 지닌 "풍(諷)"으로 풀이하였다. 그러나 현대에 이르러서는 "풍(風)"을 현대 중국어의 민간가요라는 뜻인 "풍요(風謠)로 풀이하고 있다.
"풍"자에 "국(國)"자를 덧붙여 "국풍(國風)"이라 한 것은 전국시대 말엽부터 시작된 듯 한데, 이것은 여러 나라의 민요라는 뜻이다. 국풍 속에는 주남(周南), 소남(召南), 패(邶), 용(鄘), 위(衛), 왕(王), 정(鄭), 제(齊), 위(魏), 당(唐), 진(秦), 진(陳), 회(檜), 조(曹), 빈(豳) 등 15국의 민요가 실려 있다. 이들은 대부분 작자를 알 수 없는 것으로 후인의 윤색을 거친 민간가요들이다.
<시경≫ 305편 중에서 160편을 차지하는 국풍은 가장 우수하면서도 현실주의 특색을 구비한 작품이다. 그것은 생동적이면서도 소박한 동시에 예술적으로도 가장 가치가 높은 작품으로 평가된다.
그 내용은 대부분 남녀간의 사랑이나 농촌의 생활, 사회생활에 대한 인식 등을 묘사한 것으로 제재의 폭이 아주 넓으며, 특히 정풍(鄭風), 제풍(齊風), 위풍(衛風)에는 연정시가 많다.
① 억압과 착취에 시달리는 백성들의 생활 속에서 그들의 가슴에 가득한 분노와 한, 아름다운 생활에 대한 동경을 묘사한 것으로 <칠월(七月, 豳風)>, <벌단(伐檀, 魏風)>, <석서(碩鼠, 魏風)> 등이 있다.
② 가혹한 부역과 병역에 신음하는 백성들의 한을 묘사한 것으로 <보우(鴇羽, 唐風)>, <파부(破斧, 빈풍)>, <동산(東山, 빈풍)>, <무의(無衣, 秦風)> 등이 있다.
③ 통치계층의 황음무도함을 폭로하고 풍자한 것으로 <신대(新臺, 邶風)>, <남산(南山, 齊風)>, <주림(株林, 陳風) 등이 있다.
④ 남녀간의 사랑과 결혼에 대해 노래한 것이 있는데, <건상(褰裳)>, <출기동문(出其東門)>, <진유(溱洧)>(이상 鄭風), <목과(木瓜), <상중(桑中)>(이상 衛風), <대거(大車)>, <채갈(采葛)>(이상 王風), <정녀(靜女, 패풍)> 등은 청춘남녀의 사랑의 감정을 자연스럽게 표출한 아름다운 시편이다. 그러나 부모의 반대에 부딪혀 사랑의 결실을 거두지 못하고 괴로워하는 여인의 불행을 노래한 <장중자(將仲子, 鄭風)>, <맹(氓, 衛風)>, <곡풍(谷風, 패풍)> 등도 있다.
2) 아(雅) :
옛날에는 "하(夏)"자와 음이 비슷하여 가끔 통용되기도 하였다. 하(夏)는 우(禹)임금이 세웠던 나라로 문화가 가장 발달했던 황하유역 일대에 걸친 땅이다. 각국의 국풍들이 여러 나라에 유행하던 토속적인 악조임에 비추어 "아"는 중원일대에 유행하여 조정에서 숭상되던 정악(正樂)이었다.
"아(雅)"에는 바르다는 뜻이 있다. 당시에 사람들은 주왕조가 직접 통치하던 지역의 음악을 바른 소리로 보았던 것이다. 다시 말해서 국풍이 그 시대의 속악(俗樂)이라면, "아"는 당시 궁전의 "아악(雅樂)"과 같았던 것이다. "아"는 다시 "소아(小雅)"와 "대아(大雅)"로구분되는데, 이를 음악에 따른 구분으로 보기도 하고, 창작 시기에 따른 구분으로 보기도 한다.
① 소아 : 총 74편이며(제목만 있는 6편을 포함하면 80편) 잔치하고 즐길 때의 음악이다. 그러나 이것들은 대부분 주왕실의 쇠퇴와 평왕(平王)의 동천(東遷)이라는 역사적 배경 아래에서 탄생된 것이기 때문에, 그 속에는 현실을 비판하고 상란(喪亂)을 반영한 시도 많다. 그 중에서 <초지화(苕之華)>와 <하초불황(何草不黃)>은 통치계층의 착취와 이에 대한 백성들의 분개를 표출한 것으로 대중적 색채가 강하다.
② 대아 : 총 31편이며 조회에 사용되던 음악으로 축복과 훈계를 노래한 가사이다. 가창의 대상은 주로 천자, 군자, 가빈(嘉賓)과 같은 통치계층들이었으며, 그 내용은 대체로 귀빈을 접대하는 것, 제후에게 상을 하사하는 것, 병사들을 위로하는 것 등이다. 대아 중에서도 <생민(生民)>, <공유(公劉)>, <면(綿)> 등의 5편은 후직(后稷), 고공단보(古公亶父)로부터 문왕(文王)과 무왕(武王)에 이르는 역사적 사실을 묘사한 것으로 내용이 생동감 있고 조리가 분명하여 민족사시(民族史詩)라 일컬어진다. 어떤 것들은 신화적 요소를 가미하여 그들의 조상을 신격화하였지만 그속에 노동인민의 지혜와 역량을 반영하고 있기도 하다.
그러나 전반적으로 볼 때 대아와 소아의 시들은 대부분 사대부들의 작품으로 예술적인 면에 있어서는 허탈하여 진지한 맛이 없으므로 국풍에 비할 바가 못된다.
3) 송(頌) :
주송(周頌)과 노송(魯頌), 상송(商頌)으로 나누어지는데, 주송 31편, 노송 4편, 상송 5편이다. "송(頌)"은 "형용" 또는 "모습"이라는 "용(容)"과 상통하는 것으로 "노래에 춤을 겸한다"는 뜻을 가지고 있다. "송"의 내용은 제사지낼 때 신을 찬양하거나 조상들의 은덕을 찬송하는 것이다.
① 주송 : 서주 초기에 생겨난 것으로 주왕조의 종묘 제사에 사용된 가무곡(歌舞曲)이다. 하늘에 대한 경외(敬外)와 조상에 대한 찬송이 주종을 이루며 종교적 색채가 짙다. 예술적인 면에서는 단조로움을 벗어나지 못해 그 가치가 높지 않다.
② 노송 : 춘추 전기 노(魯)나라에서 조상과 하늘에 제사를 지낼 때 사용된 음악이다.
③ 상송 : 춘추 전기 송(宋)나라에서 조상과 하늘에 제사를 지낼 때 사용된 음악이다.
4) 부, 비, 흥(賦比興)
"풍, 아, 송"이라는 분류 외에도 ≪시경≫은 "부(賦), 비(比), 흥(興)"으로도 나누어진다. 주자(朱子)의 견해에 따르면, "부"는 대상을 직접 길게 펼쳐 쓰는 것이고, "비"는 빗대는 것, "흥"은 먼저 다른 대상을 읊은 다음 읊고 싶은 대상을 읊는 것이라 한다. 이러한 견해는 ≪시경≫을 문자화 이후의 읽는 시로만 잘못 생각하여 그 표현방식을 나누어 본 것이다.
그러나 ≪시경≫은 원래 문학 이전의 음악이었으므로 ≪시경≫을 문자화 이전의 노래로 볼 때 "부, 비, 흥"은 시의 표현방식이 아니라 노래 또는 연주의 표현방식으로 생각된다. 이렇게 보면 주자의 견해는 간명하게 정리될 수 있다. 즉, "부"는 독창, "비"는 주고받는 노래(對唱), "흥"은 멕이고 받는 노래(독창+중창)이다.
≪주례(周禮)≫에서 "육시(六詩)"라 하여 "풍·아·송"과 "부·비·흥"을 나누지 않고 함께 언급하면서도 그 순서도 "풍·부·비·흥·아·송"으로 뒤섞어 놓았던 것은 기본적으로 육시 전체를 음악적으로 다룬 것이었다. 그 후 한대(漢代)에 이르러 ≪시경≫은 이미 가사만 남아 있었기 때문에 음악적 기준에 따른 "부·비·흥"의 분류는 불가능했다. 그래서 지금 우리가 보는 ≪시경≫을 최초로 해석한 한대의 ≪모전(毛傳)≫도 "부·비·흥"에 대한 설명은 하지 못한 채 사승관계에 따라 물려받은 대로 작품들을 각기 "부·비·흥"으로 나누고 있을 뿐이다.
6. <≪시경≫>의 문학적 성격
≪시경≫은 시가집이면서도 육경(六經)의 하나로 사람들에게 읽혀진 것이다. 그리고 시경 속에는 부인할 수 없는 갖가지 아름다운 서정이 상당히 세련되고 아름다운 문장 속에 담겨 있다. ≪시경≫의 시들은 4언이 기본형식을 이루고 있지만, 3언 5언 등 잡언도 상당히 섞여 있다.
또 ≪시경≫의 시들은 서정시, 사회시, 전례시의 3가지로 구분할 수 있는데, 서정시는 중국 정통문학의 중심을 이루는 성격의 것으로 발전하고, 사회시는 공용적인 문학론의 근거가 되며, 전례시는 고대의 시의 실용적인 성격을 대변해 주는 것이다.
≪시경≫ 305편은 실로 주대(周代)에 있어서 북방문학의 대표일 뿐만 아니라 전체 중국문학의 원천이다. 이처럼 가치 있는 시경문학은 후대의 4언, 5언, 7언, 부(賦) 등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고, 또 산문이나 기타 문학 분야에까지 그 흔적을 찾아볼 수 있으며, 심지어는 인근 여러 나라에 까지 그 영향을 찾아볼 수 있으니 실로 동양문학의 연원이라 말할 수 있다.
≪시경≫은 유럽 최초의 대표적인 문학 작품인 호머(Homeros, 荷馬)의 서사시 <일리아드(Iliad, 伊利亞特)>와 <오딧세이(Odyssey, 奧德賽)>보다도 약간 빠르다.
7. ≪시경≫의 예술적 특징
1) 묘사의 기법이 지극히 소박하며 싯구를 중복하여 여운이 길다.
2) 일정한 시형이나 구격이 없다. 대부분 4언을 위주로 하면서도 장단구를 자연스럽게 운용하여 격조가 활발하고 리듬감이 있다.
3) 상징적이면서도 구체적인 묘사 방법을 사용하고 추상적인 말은 피했다.
4) 쌍성(雙聲), 첩운(疊韻), 첩자(疊字) 등을 사용하여 시가의 서정성과 언어의 표현력을 강화시키고 음운상의 지극한 아름다움을 추구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