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제까지 뒷북만 칠 것일까?
삼풍백화점 붕괴, 성수대교 붕괴, 세월호 사고의 대표적 공통점은 우리 사회에 만연한 안전 불감증이라 하겠습니다.
빨리 빨리 문화가 낳은 폐혜 중 하나로 수많은 생명을 앗아간 뼈아픈 사고들로 기억됩니다.
그런데 문제는 이러한 굵직한 사건과 사고를 겪으면서도 그러한 아픔속에서 교훈을 찾기보다 반사이익을 노리는 복마전 양상이 반복되는데 있지 않나 싶습니다.
예를 들면 세월호 사고가 일어난 후 집권한 지난 정부 초기에 재난 대응방안 메뉴얼과 컨트롤타워 발표로 전 국민적 지지를 받았습니다.
그런데 아이러니하게도 그 발표가 있은지 3년 뒤 충북 제천시에 대형 화재가 발생하여 인명피해가 다수 있었습니다.
당시 언론 보도에 따르면 사고 현장을 찾은 여당 원내 대표께서 초기 대응부족을 지적했습니다.(the 300/ 2017년 12월 24일/ 백지수 기자 기사 일부 인용)
이 말은 곧 재난 대응 메뉴얼이 그동안 탁상공론에 불과했음을 여실히 보여주는 사례라 하겠습니다.
최근 충북 제천을 갔을 때 경험한 일입니다.
유람선을 타려는 순간 인적 사항을 제출해야 한다기에 재난을 통해 제도적으로 개선이 되었구나 싶었습니다.
그런데 정작 승선하여 배가 출항했음에도 구명조끼 착용이나 비상시 상황에 대한 설명이나 안내를 들을 수가 없었습니다.
순간적으로 열불이 나서 주변을 둘러보니, 한쪽에 캐비넷이 있기에 열었더니 조끼가 방치되어 있었습니다.
그러한 모습을 목도하며 우리 사회의 안전 불감증을 다시 한번 생각해 봅니다.
불과 6년 전에 대형 참사를 경험했던 지역임에도 근 70여명 가량 승선한 유람선의 돌발상황에 대하여 무대응이라는 점이 놀라웠습니다.
더욱 놀라운 점은 그날 함께 승선한 분들 가운데에는 소수의 공무원 분들이 있었음에도 어느 누구도 이러한 안전 불감증에 대하여 문제 제기를 하지 않았다는 점입니다. 이러한 생각을 갖는 제가 지나치는지는 모르겠지만, 우리 사회의 안전 불감증 의식은 사고를 예측하고 예방하는데 만전을 기하기보다 발생한 후 소 잃고 외양간 고치려는 뒷북 대응이 빈번함에 있다 하겠습니다.
무엇보다 입법에 대한 발의와 의결권이 있는 국회의원들이 본연의 책무보다 패거리 정치로 집단이기주의에 빠지는 모습은 많은 국민들의 가슴에 절망과 상실감을 갖게 하는 뼈아픈 현상이라 생각됩니다.
제발 조국 대한민국의 국회의원들이 헌법에 기록된 <대한민국헌법 제46조 ①국회의원은 청렴의 의무가 있다.
②국회의원은 국가이익을 우선하여 양심에 따라 직무를 행한다.
③국회의원은 그 지위를 남용하여 국가·공공단체 또는 기업체와의 계약이나 그 처분에 의하여 재산상의 권리·이익 또는 직위를 취득하거나 타인을 위하여 그 취득을 알선할 수 없다.> 정신 대로 공복(公僕)의 마음가짐으로 직임을 감당했으면 좋겠습니다.
“만사 불여튼튼”이라는 말이 있듯이 크고 작은 조직이나 단체를 주도하는 이들은
성과와 업적에 구성원의 안전과 행복을 희생양으로 삼으려는 자세가 아닌, 누군가의 가족이고 소중한 사람인 한 사람 한 사람의 가치와 존엄성을 존중하려는 마음가짐이 절실하게 요구되는 시대입니다.
두 손에 모두 가득 잡고서는 살아갈 수 없는 것이 인생살이지만, 그럼에도 대비하고 예측 가능한 사고들은 미연에 방지하려는 노력들이 부단히 있는 사회가 건강한 사회이고 선진국의 지름길입니다.
나 하나쯤이야 괜찮겠지 라는 안일함의 사고야 말로 가장 후진국적 병리 현상의 단면임을 너나없이 알면서도 지나치려는 사회는 비극의 역사가 반복될 수 밖에 없습니다. 유람선을 타면서 만일에 대한 준비나 대응에 무관심한 기업과 시 당국의 대응, 그리고 관광객들의 모습에서 대단한 믿음(?)의 소유자들임을 생각해 봅니다.
여러분 한명 한명을 주님의 이름으로 사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