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립대들도 등록금 인상을 추진 중입니다. 교육부 주도로 2025학년도 정원을 감축한 교육대학들은 5%를 올려도 한 학기에 10만 원이 안 돼 한 달에 1만 원 조금 넘게 올리는 것이라며 등록금 인상이 불가피하다는 입장입니다. 이런 분위기라면 대부분의 대학들이 올해는 등록금을 인상 할 것이 확실합니다.
고등교육법에 따르면 대학 등록금은 최근 3년 간 물가상승률의 1.5배까지 올릴 수 있는데, 올해 법정 한도는 5.49%입니다.
대학들의 재정난이 심각해지면서 학생회 입장도 찬성으로 선회하는 분위기를 고려하면 ‘등록금 인상 도미노’가 확실해 보입니다.
교육부는 그래도 17년 동결을 이어가겠다는 입장이지만 역부족입니다. 대학들도 등록금을 인상할 때 포기해야 하는 국가장학금보다 등록금 인상으로 확보되는 재정이 수십억원 많다는 계산을 끝낸거죠.
대학들은 17년이나 “참을 만큼 참았다”는 겁니다. 정부의 등록금 규제는 2009년 대학근로장학사업과 인상률을 연계시킨이후, 2012년부터 등록금을 올리면 국가장학금(2유형) 사업에 배제하는 식으로 동결을 유도했습니다. 거의 반 강제였던 거죠. 그 결과, 2008년10.4%(국·공립), 7.1%(사립)였던 인상률이 2009년 0.5%로 줄었고, 2012년엔 마이너스(-)를 기록하기도 했습니다. 당시 소비자 물가 상승률은 2~4% 수준이었는데 말이죠.
그동안 대학가에선 “사립대 등록금이 재수학원, 자사고, 사립초, 영어유치원(유아 영어학원), 심지어 반려견유치원 1인당 연평균 교육비보다도 낮은게 말이되냐"란 불만이 팽배해 있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