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튼네사람들’은 소설가가 되었던 존 보이의 이야기다.
대학에 진학하고 싶어하는, 존 보이의 눈을 통해 이야기가 이어진다.
이야기는 우울증과 전쟁, 성장, 학교, 구애, 결혼, 고용, 출생, 노화, 질병, 죽음을 통해 가족을 따라간다.
‘전원일기’는 농촌 마을의 유지인 김회장네 집과 복길네로 대표되는 그 이웃들의 이야기가 옴니버스 식으로 진행되는 내용이다.
초기에는 흑백 화면이었으며, 오프닝에서 젊은 최불암이 지게를 지고 다니거나 마지막에 나레이션을 하기도 했지만 차차 없어졌다.
전원일기의 시작이 농어촌의 훈훈한 정서를 소개하는 다큐성 드라마였기 때문에 나레이션은 필수적이었는데 뒤로 갈수록 농촌 현실에 대한 고발을 주로 했던 탓에 없어지게 되었다.
두 이야기가 사라진 이유가 무엇일까?
미국 대통령 레이건과 영국 수상 대처 때문이다.
2차 대전이 끝나고, 브레튼우즈 협정으로 미국 달러가 세계통화가 되고, 세계는 전쟁의 원인이었던 자유무역을 포기하고 보호무역을 한다.
2차대전 후부터 레이건과 대처의 집권 시기였던 1980년대 초반까지가 자본주의 역사상 가장 풍요롭고 안정된 시기였다.
그러나 공교롭게도 그 시기는 미국과 소련의 극심한 좌/우 대립의 시기와도 겹친다.
레이건과 대처는 오트피낭스의 압력으로, 통화량을 극대화 하는 자유무역을 선택한다.
이른바, 무역자유화, 세계화, 글로벌화, 무한경쟁 시대에 돌입한다.
그것 때문에 가장 피해를 본 것이 농업이다.
자유무역은, 각 나라의 농업을 희생 시키면서 발전하였다.
그러나, 경험이 있던, 유럽 일부 선진 국가들은, 농업을 포기하지 않았다.
포기한 것은 한국과 일부 국가다.
농업의 기업화가 진행되었다.
대규몬 농업회사들은 생산량과 생산비를 줄이기 위해 해충에 저항성을 가진 유전자 조작 농산물을 만들기 시작했다.
가축들이 먹는 사료 옥수수는 대부분 유전자 조작 식물이다.
한국은 저가로 수입할 수 있는 농산물을 포기하고 돈이 되는 환금 작물에만 집중되고 농촌은 비닐하우스의 진열장이 되고 말았다.
농촌 작업 공동체 두레는 필요가 없어졌다.
미국은 비행기가 비료를 뿌리고 농약을 뿌렸다. 국제적인 대규모의 농업 기업들이 나타났다.
한국은 국가적으로 쌀 농사를 포기시켰다.
쌀농사를 포기하면 보조금을 주었다.
쌀농사의 공동작업이 중심이 되는 한국 농촌 공동체의 모습이 점점 사라지게 되었다.
월튼네 가족들은, 제재소 수입과 농업소득만으로는 생활이 불가능 해졌다.
전원일기에는 비닐하우스가 등장했다.
한국과 미국의 농촌 사람들은, 종목을 바꾸거나 농지를 팔아서 도시를 떠나거나 둘 중의 하나를 선택해야 했다.
버지니아 블루리지 산맥에서, 대공황 기간을 지나, 월튼 가족은 월튼스 산에 있는 제재소에서 소소한 수입을 올린다.
김회장네는 마을 사람이 점점 사라지게 되어 회장직을 유지 할 수 없게 되었다.
경제적 원인은, 사회 공동체에 지대한 영향을 미친다.
공동체의 통제를 받던 농업 시장이, 세계 경제라는 커다란 경쟁을 이길 수는 없었다.
농업 시장은, 경제와는 다른 의미다.
사람들이 사는 모습이다.
정이고 사랑이다.
그래서, 전원일기와 월튼네 사람들은 사라진 것이다.
대처리즘과 레이거니즘이 원인이다.
세계화다!
김영삼이 발음도 제대로 못한 ‘새개하’다!
김영삼은 아무것도 모르고 ‘새개하’를 부르짓었다.
지금의 한국 농업은 제조업이 되었다.
1차 산업에서 진화 하여 2차 산업인 공업이 되었다.
쌀을 포기하면서도 쌀이 남아돌지만 식량 자급율은 27 프로 밖에 안되는 기현상이 발생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