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 12. 23. 네이버 카페 오두막 지기.
2023년~2024년, 우주 및 생사, 시공의 이치 등 보다 가치있는 삶부터 맑고 밝은 세상, 더불어 고르게 잘 사는 사회까지 271개의 과제 수행 흔적. 특히, 후자와 관련하여 지나치게 늦어지고 있는 우리나라 주식 시장 및 부동산 시장 대세 상승과 관련하여 무기력, 무능력한 정부, 기업 등 경제 주체에 경각심과 분발을 촉구 함.
게으른 네이버 단칸 모옥 청소부 A-2.
2023. 12. 13.
보다 가치 있는 삶과 관련하여 불가능해 보이는 객관적 사실 대한 그림자 호위무사들의 질문에 대한 답변 1-2 및 이와 관련된 생명체의 기초 본능, 기본 본성인 식욕, 성욕.
국내외 자연 다큐멘터리에 방영되지 못했자만, 브라질 세하도 열대우림, 판타나우 습지 등에서 물속까지 잠수하여 카이만 악어를 잡으려다 실패해 죽은 모습, 에토샤, 마사이마라, 오카방고델타, 고롱고사 등 얼마 남지 않은 야생 동식물의 피처 큰 나무 위에서 매복하고 있던 표범이 9~10 미터 아래의 그랜트 가젤을 공격하려다 실패해 죽는 모습.
아프리카 버펄로의 뿔에 찔려 죽은 사자부터 히말라야, 천산 산맥 등의 설산에서 눈 표범이 애써 잡은 푸른 양을 수십 미터 절벽 아래 함께 떨어져 죽어도 끝까지 물고 있는 모습 등등까지.. 포식자의 한 끼 식욕 충족은 자신의 생명 위험을 감수해야 하는 경우가 많다. 포식자의 그 한 끼는 피포식자의 죽음을 의미하기에 삶과 죽음은 본질적으로 다르지 않다.
인간도 동서고금을 막론하고, 오늘날에도 아프리카 등 저소득 국가에서 계속 진행 중인 자연재해, 전쟁, 내란, 정부의 무능과 실정 등으로 무수히 많은 사람이 굶어 죽었고, 또, 죽고 있다. 다른 지구촌 동료 생명체 멸종을 빛의 속도로 가속화하면서도 오히려 자신의 개체 수는 늘려가는 인간은 현대 사회에서 비만을 걱정해야 할 정도로 식욕 본능에서 다른 생명체보다 많이 자유로워진 것은 부인할 수 없지만,
본질적으로 먹지 않으면 죽는 사실은 변함이 없고, 각종 자연재해, 전쟁, 내란, 경제난 등으로 언제든 굶어 죽을 수 있기에 인간도 생명체의 기초 본능 중 하나, 생존 본능인 식욕에서 다른 생명체와 다를 바 없다. 따라서 우리 모두는 식욕의 본능과 자유도 다른 본능과 마찬가지로 존중해야 할 것이다. 지나친 식탐, 비만조차 사회 윤리, 자신의 건강에도 바람직하지는 않지만 존중해야 한다.
그 반대로, 평생 하루 한 끼, 혹은 두 끼만으로 식욕조차 절제하며 사는 삶 역시 인간 생래적, 정신적 자유 영역이니 당연히 존중되어야 한다. 생존 먹거리인 선택의 자유인 육식, 채식 등의 존중도 당연하지만, 법, 사회 규범이 허용하고 국가, 사회, 타인을 해치지 않는 한 술, 담배 등 개인의 기호 식품에 대한 자유와 존중도 마찬가지다.
추가하여, 보다 가치 있는 삶의 추구에서 평생 자기 절체, 타인 배려 등과 관련... 식욕은 평생 일관된 체중 유지 등 나이와 무관하게 언제나 이성에게 관심을 받고 있는 이유 중 하나이자 우리 애들의 질문인 신체 외면, 외관에 대한 답변과 관련돼 있기에 차후 조금 더 구체적이고 세부적으로 알아볼 것이다.
2023년 12월 13일에 모니터링된 자료.
2023년 12월 13일 부동산 단신 1.
최고가 대비 5억~6억씩 뚝뚝…지난 2021년 10월 서울 동작구 흑석동 흑석한강푸르지오 전용면적 84.98㎡ 18억원에서 지난달 13억원에 매매됐다. 또 지난 2021년 9월 26억5000만원에 팔렸던 송파구 방이동 올림픽선수기자촌 전용 100.82㎡도 지난달 20억3000만원에 거래됐다. 또, 서울 강동구 고덕그라시움. 올해 7월부터 이달까지 전체 거래는 70건에 그친다. 강북구 SK북한산시티 거래량도 10월부터 두 달 동안 거래량이 14건으로 급감했다.
갈아타기 실수요로 ‘양극화’ 발생... 서울 강남구 대치 래미안 대치팰리스 1차 전용면적 84㎡는 지난 10월과 11월 한 차례씩 33억원에 실거래됐다. “압구정 구현대나 신현대 작은 면적은 매물 구하기도 어려운 가운데 강남구 압구정 미성아파트 전용면적 105㎡ 타입이 10월 26일 법원경매에서 감정가의 105%인 34억7999만9000원에 낙찰됐다. 양천구 목동7단지 전용면적 101㎡는 지난해 4월 25억4000만원에서 올해 9월 24억5000만원에 거래됐다.
반면, 노원구 상계주공 9단지 전용면적 41㎡는 2021년 8월 6억2000만원에 최고가에서 지난 11월 3억7700만원으로 급락했다. 한편, 공사비 인상 등으로 서울 강남구 청담르엘, 송파구 잠실진주 재건축(잠실래미안아이파크), 노원구 상계뉴타운2구역 재개발 일정 차질로 일반분양이 내년으로 미뤄지는 곳이 많다. 한편, 부산 해운대 신시가지에서 가장 빠른 속도로 리모델링을 추진하고 있는 해운대 상록아파트는 곧 안전진단 결과가 발표될 전망이다.
분양가 인상 도미노… 이달 분양하는서울 성동구 용답동 '청계리버뷰자이' 전용 59㎡ 분양가가 10억4000만원대로 책정됐다. 지난 8월 바로 옆에 공급된 '청계SK뷰' 보다 7000만원 뛴 가격이다. 인근 대장주로 '래미안위브(2014년 10월 입주)' 전용 59㎡ 최근 실거래 가격이 9억9500만~10억5000만원과 비슷하다.
3월 동대문구 이문휘경뉴타운 '휘경자이 디센시아' 전용 59㎡는 7억7000만원에 공급됐으나 8월 '래미안라그란데'는 8억8000만원, 10월 '이문아이파크자이'는 9억4000만원에 분양했다. 경기도 광명시 철산동 '철산자이 더 헤리티지' 전용 59㎡ 분양가는 8억1000만원이었는데, 인근 '철산자이 브리에르'는 8억8000만원으로 올랐다. 광명뉴타운 '광명센트럴아이파크' 전용 84㎡ 분양가(12억7200만원)도 '광명자이더샵포레나(10억4550만원)'보다 2억3000만원 높았다.
서울 대부분 지역 '분상제 해제' 이후 '고분양가' 논란 지속...서울 강서구 내발산동 삼익더랩소디 전용면적 44㎡ 분양가는 10억5000만원(15가구)~11억원(30가구)이다. 인근 우장산힐스테이트 33평(전용 84㎡)은 지난달 11억8500만원에 거래됐다. 전용 84㎡ 분양가가 인 마포래미안푸르지오 올해 최저 실거래가(14억5000만원)보다 높은, 최대 15억9500만원에 책정된 마포구 마포푸르지오어반피스도 고분양가 논란을 피하지 못하고 있다.
분상제 적용 파주·검단 등 2기신도시 연말 막차 분양 잇따라..경기도.파주 운정신도시에서는 ‘힐스테이트 더 운정’과 '우미린 더 센텀'의 후속 단지 '파주 운정신도시 우미린 파크힐스'를 분양한다. 인천 검단신도시에서 AB20-2블록 ‘검단 중흥S클래스 에듀파크’, AA22블록 ‘제일풍경채 검단 4차’ 본 청약 예정이다. 경기 화성 '동탄레이크파크 자연앤 e편한세상'은 1순위에만 13만여 명이 청약했고, 파주 '운정3 제일풍경채'는 평균 371.64대 1의 1순위 경쟁률을 기록했다.
2024년 9월에 모니터링된 자료.
2024년 9월 1일 부동산 단신 2.
반포는 '국민평형'이 55억원...서울 서초구 반포 아크로리버파크 전용 84㎡가 지난 6월 50억원에 계약이 체결된데 이어 반포 래미안 원베일리 전용 84.96㎡는 지난달 18일 55억원에 역대 최고가로 거래됐다. 반포 '래미안 퍼스티지'의 경우 전용 84㎡도 지난 7월 24일 43억원에 신고가 기록했다.
서초구 ‘신반포2차’ 전용 137㎡가 지난달 28일 48억 원에 최고가를 넘었고, 강남구 ‘압구정현대6차’ 전용 196㎡,‘ 압구정신현대9차’ 전용 109㎡도 신고가를 경신했다. 서초구 ‘반포르엘’ 전용 97㎡형은 7월 41억 원에, 반포 자이 전용면적 84㎡는 39억8000만원에, 송파구 ‘리센츠’ 전용 84㎡는 지난달 7일 27억 5000만 원에 거래됐다.
서울 양천구 ‘목동신시가지4단지’ 전용 95㎡, 서대문구 ‘힐스테이트신촌’, 마포구 ‘마포래미안푸르지오’ 전용 84㎡도 신고가를 갱신했다. 강동구 둔촌주공 재건축 '올림픽파크 포레온' 84㎡가 최근 24억5177만원에 강동구 역대 최고가 기록을 썼고 고덕동 '고덕그라시움' 아파트 84㎡ 역시 7월 들어 20억1000만원에 거래됐다.
반면, 서울 노원구 ‘중계그린1단지’ 전용 59㎡는 2022년 3월 7억 6500만 원에서 지난달 10일 5억 8000만 원에, 관악구 ‘e편한세상서울대입구1단지’ 전용 59㎡는 2021년 12월 12억 원에서 올 7월 10억 500만 원에, 고양시 일산서구 ‘문촌마을16단지뉴삼익’ 전용 84㎡도 2022년 6월의 8억 8500만 원에서 최근 6억 4500만 원에 거래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