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글 본문내용
|
다음검색
부제 : 위기의 삼성·LG전자 TV가 살아남으려면... 어제 국내 언론들은, 신뢰성이 떨어지는 시장조사 업체의 자료를 가지고 자신들에게 유리한 부분만 인용해서 아래와 같은 기사를 실었다. (클릭)삼성전자 19년 연속 세계 TV 1위, LG전자는 OLED TV서 12년 연속 1위 제목만 보면, 삼성·LG전자 TV가 자랑스럽게 보일 진 몰라도, 속은 삼성·LG전자 TV가 하양 곡선을 타고 있어 1~2년 후엔 이러한 기사는 더 이상 보기 힘들 것으로 보인다. 만일 삼성·LG전자 TV가, 혁신(차별화) 없이 지금처럼 'OLED·AI' TV에 집중한다면, 3~4년 후엔, 30년간 TV시장을 주도하다 몰락한 일본 TV제조사들처럼 될 가능성이 높다. 해서 짚어 보았다. 위기의 삼성·LG전자 TV가, 저렴한 중국산 TV와 다른 혁신(차별화)의 TV가 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해 본다. 즉, 삼성·LG전자 TV가, 아래 7가지 사안들을 이행해 나간다면, 삼성·LG전자 TV는 앞으로도 지속적으로 세계 TV시장을 주도할 수 있겠지만, 그렇지 않고, 'OLED·AI' TV에 집중한다면, 삼성·LG전자 TV는 2~3년 내에 중국 TV제조사에 밀려 일본 TV제조사들처럼 몰락의 길로 접어들 것이다. 해서 삼성·LG전자 TV가, 그나마 브랜드 우위성이 있을때, 삼성·LG전자 TV 만의 혁신(차별화)을 이루고. AV관련 회사나 단체들과 협력하여, AV관련 표준을 변경 내지는 통일해서, 세계 TV시장을 주도해 나가야 할 것이다. |
▶삼성·LG전자 TV에 대한 혁신(차별화) 방안
구 분 | 삼성·LG전자 TV가 해야 할 혁신안(차별화) |
삼성·LG전자 TV가 할 수 있는 것 | Ⓐ21:9(5K/10K) TV 출시 |
ⒷTV패널 컬러처리 12bit'로 출시 | |
Ⓒ혁신(차별화) LCD(LED) TV 출시 | |
ⒹOLED TV 사업 정리 | |
삼성·LG전자 TV가 관련 업계 또는 단체와 협력해서 할 수 있는 것 | ⒺHDMI 전송량 120Gbps이상으로 높이기 |
Ⓕ다양한 규격을 하나로 통일 ①HDR방식 ②영상 압축 코덱 ※압축 컬러 : 'YCbCr→RGB'로 변경 ※압축 해상도 : '5K/10K' 추가 ③오디오(음향) 압축 코덱 ④방송방식 | |
Ⓖ콘텐츠 촬영-편집(저장)-제작(압축) 변경 | |
Ⓐ~Ⓓ 아래 글 참조 Ⓔ~Ⓖ 링크 글 참조 |
Ⓐ21:9(5K/10K) TV 출시 젊은 층을 중심으로 TV(방송) 자체를 보지 않거나, 기성세대들도 TV(방송) 보다는 스마트폰을 더욱 이용하고 있어, TV(방송)가 라디오처럼 되는 것은 이제 시간의 문제다. 해서 TV는 이제 그나마 TV를 시청하는 분들 기준에 맞추어 변화를 햐야만 살아 남을 것이다. 즉, 그나마 TV를 시청하는 분들이, 방송(16:9)보다는 OTT(영화/21:9)를 더 많이 시청한다는 점에서, TV나 방송의 화면비가 16:9였다면, 이제 TV나 콘텐츠의 화면비를 21:9에 맞추어 가야 한다고 본다, 즉, 영화를 주력으로 하는 OTT의 경우, 대다수의 콘텐츠가 21:9인데, 현재 출시되고 있는 TV는 모두 16:9밖에 없다보니, TV로 OTT 영화를 감상하게 되면, 화면 위아래가 검게나와 화면의 26%가 낭비되고 있다. 해서 이젠 TV도 21:9 화면비로 출시가 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특히 최근 방송 드라마 상당수도 21:9로 제작함으로서, 방송의 화면비도 21:9로 가야 한다고 본다. 물론 국제 방송 표준(16:9→21:9)을 바꾸는 것은 그리 간단한 문제는 아니다. 고로 당장 방송 화면비는 바꾸지 못하더라도, OTT(영화) 화면에 최적화된 21:9 TV는, 올해부터라도 출시를 할 수 있을 것이다. ☞현재 출시되고 있는 TV 화면비(16:9/1.78:1) *1,920 x 1,080(HD/2K TV) *3,840 x 2,160(4K TV) *7,680 x 4,320(8K TV) ☞향후 출시해야할 TV 화면비(21:9/2.37:1) *2,560 x 1,080(2.5K TV) *5,120 x 2,160(5K TV) *10,240 x 4,320(10K TV ⒷTV패널 컬러처리 12bit'로 출시 TV의 본질은 화질이다. 해서 그동안 TV는 패널 성능향상으로 TV의 화질을 발전시켜왔지만, 패널 성능 향상이 한계에 다다르면서 화질 향상에도 한계가 왔다. 즉, 현재 출시되고 있는 TV패널 컬러처리는 8(24)bit 내지는 10(30)bit로만 10년넘게 유지되고 있다. 이러한 TV패널의 성능을 향상시키려면, TV 패널의 컬러 처리를 12(36)bit로 향상 시켜야만, TV화질이 근본적으로 향상 될 수 있다. 아래 도표와 이미지는 8(24)bit, 10(30)bit 12(36)bit 컬러처리에 따른 화질 향상을 수치와 이미지로 비교해 본 것이다. |
▶컬러비트별 색 구현 단계와 구현 수
컬러 비트 | 컬러 구현 단계(색심도) | 컬러 구현 수 | 상용화 | |
8bit | 2^8=256 단계 | 2^8x3=2^24 =16,777,216 | 1,600만 컬러 | HDTV 2000년~ |
10bit | 2^10=1,024 단계 | 2^10x3=2^30 =1,073,371.824 | 10억 컬러 | 4K TV(SDR) 2013년~ 4K TV(HDR) 2016년~ 8K TV(8K/60Hz) 2019년~ |
12bit | 2^12=4,096 단계 | 2^12x3=2^36 =68,719,476.736 | 687억 컬러 | 8K TV(8K/120Hz) 2023년~ |
16bit | 2^16=65,536 단계 | 2^16x3=2^48= 281,474,976,710,656 | 281조 컬러 | 16K TV 2025년~(?) |
▶8-10-12bit 컬러의 차이
Ⓒ혁신(차별화) LCD(LED) TV 출시 LCD(LED) TV 시장을 주도하고 있는 중국 TV제조사들은, 2025년부터 RGB Mini LED TV(Hisense/TCL)로 TV시장을 주도하려하고 있다. 반면 삼성전자는 RGB Micro LED TV로 맞불을 놓으면서, 중국 주도의 LCD(LED) TV 시장에 제동을 걸고 있다. 하지만, RGB Mini LED TV와 RGB Micro LED TV는, 발광소자만 차이가 있을 뿐, 색상을 구현하는 원리는 동일하기 때문에, LED 사용수와 디밍존 수가 같다면, 두 TV의 화질은 대등소이하다고 본다. 다만, RGB Mini LED 소자와 RGB Micro LED 소자의 밝기에 따라 HDR구현 밝기는 차이가 있을 수 있어 RGB Micro LED TV가 다소 나을 것으로 보이지만, 가격적으로는 RGB Mini LED TV가 유리할 것으로 보인다. 문제는 RGB Mini LED TV든, RGB Micro LED TV가 OLED TV 수준의 화질을 구현하려면, 적어도 아래와 같은 조건을 갖추어야만 하는데, ①, ②안 기준에 맞는 RGB Mini LED TV 내지는 RGB Micro LED TV를 내 놓기는 쉽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
▶LCD(LED) TV 종류
발광 소자 | TV명 | 상용화 | |
색상 | 명 | 정확한 TV명 | |
단색 (White & Blue) | LED | LED TV 또는 LCD(LED) TV | 2009년 삼성전자 시작 대다수 TV제조사 생산 |
Mini LED | Mini LED TV 또는 LCD(Mini LED) TV | 2019년 TCL 시작 대다수 TV제조사 생산 | |
3색 (Red/ Green /Blue) | RGB Mini LED | RGB Mini LED TV 또는 LCD(RGB Mini LED) TV | 2025년 Hisense/TCL 공개→년 내 상용화 |
RGB Micro LED | RGB Micro LED TV 또는 LCD(RGB Micro LED) TV | 2025년 삼성전자 공개 →년 내 상용화 |
▶혁신(차별화)의 LCD(LED) TV 조건
☞LCD(LED) TV가 OLED TV 수준의 화질을 구현하기 위한 기준
구분 | 1개의 디밍존 구성(가로 12화소 x 세로 12화소 = 144화소) | |||||
①안 1:1 구성 (1개의 LED가 1개의 존) | ②안 1:4 구성 (1개의 LED가 4개의 존) | |||||
LED 사용수 | 디밍존 수 | 특징 | LED 사용수 | 디밍존 수 | 특징 | |
4K TV | 57,600 | 57,600 | 1개의 LED가, 1개의 디밍존(144화소)을 밝힌다(가로 12화소 x 세로 12화소 = 144화소는, 영문 한글자를 구현할 수 있는 화소). | 14,400 | 57,600 | 1개의 LED가, 4개의 디밍존(576화소)을 밝히지만, 1개의 디밍존은 144화소를 밝힌다. |
5K TV | 76,000 | 76,000 | 19,200 | 76,000 | ||
8K TV | 230,400 | 230,400 | 57,600 | 230,400 | ||
10K TV | 307,440 | 307,440 | 76,800 | 307,440 | ||
특기 사항 | ②안 1:4 구성에 비해 원가가 비싸고, 소비전력이 높지만, 1개의 LED가 죽으면, 1개의 존(144화소)을 밝힐 수 없다. | ①안 1:1 구성에 비해 LED 사용 개수가 1/4밖에 안되어, 원가가 저렴하고, 소비전력도 낮지만, 1개의 LED가 죽으면, 4개의 존(576화소)을 밝힐 수 없다. |
ⒹOLED TV 사업 정리 (삼성·LG전자가, OLED TV 사업을 접어야 하는 이유) ①4K OLED TV 지속은, 삼성·LG전자 TV의 미래를 어둡게 하고 있다. 삼성·LG전자가 8K OLED TV도 아닌 4K OLED TV를 대표 TV로 내세우고 있지만, 삼성전자는 TV의 98%를 LCD로 만들고 있고, LG전자도 TV의 85%를 LCD로 만들고 있다. 이러한 현상은, 삼성D·LGD가 LCD 생산을 종료하면서, 삼성D·LGD가 생산하는 TV용 OLED패널을 채용해서 4K OLED TV를 출시하고 있기 때문에, 4K OLED TV를 대표 TV로 내세우고 있는 것이다. 결국 LCD TV 비중이 절대적임에도 삼성·LG전자는 중국산 LCD패널을 사용하는 관계로 4K OLED TV를 대표 TV로 내세우고 있는 것이다. 문제는 삼성·LG전자가 대표 TV로 4K OLED TV를 내세우면서, 삼성·LG전자가 출시하는 모든 TV가격이 4K OLED TV 기준에 맞추어 출시가 되다보니, 4K OLED TV보다 원가가 더 저렴한 8K LCD(Mini LED) TV 가격을 4K OLED TV보다 비싸게 판매하는 모순을 낳고 있다는 점이다. 즉, 10년이 넘은 4K TV가, 8K TV로 발전해 나아가야 하는데, 그렇게 하질 못하고 있는 것이다. 다시 말해 삼성·LG전자가, TV의 발전을 위해 8K TV 중심으로 가고 싶어도 가질 못한다는 것이다. 이유는, 삼성·LG전자가 8K LCD(Mini LED) TV 가격을 4K OLED TV 가격과 같거나 저렴하게 내 놓는다면, 삼성·LG전자의 대표 TV인 4K OLED TV는 죽을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아무리 4K OLED TV의 화질이 좋다고 해도, 8K 화질은 구현하지 못하기 때문에, 급이 높은 TV가격이 저렴하거나 같아진다면, 4K OLED TV는 죽을 수밖에 없는 것이다. 그렇다고 삼성·LG전자가 4배나 비싸고 4배나 소비전력이 높은 8K OLED TV로 8K LCD(Mini LED) TV에 대응하기는 더 더욱 힘들다. 현실이 이러다보니, 삼성·LG전자의 8K LCD(Mini LED) TV 가격은 출시 6년이 지나도록 비쌀 수밖에 없고, 비싸기 때문에 팔리지 않고 있는 것이고, 8K TV가 성장하지 못함으로서, TV 시장이 10년이 넘도록 4K TV에 머물다보니, 4K TV기술이 평준화(정점)되어, TV의 미래마저 어둡게 하고 있는 것이다. 결국 중국 TV제조사들은, 삼성·LG전자 TV의 약점을 이용해서, 삼성·LG전자가 만들지 못하는 100인치 이상 4K-8K LCD(Mini LED) TV를 대표TV로 내세우면서, 삼성·LG전자의 4K OLED TV는 물론 8K OLED TV까지 무력화 시키고 있다. 해서 삼성·LG전자가 4K OLED TV를 대표 TV로 내세우면 내세울수록, LCD(Mini LED) TV를 대표TV로 내세우는 중국 TV제조사들만 좋아지면서, 삼성·LG전자 TV는 점 점 더 경쟁력에서 밀리는 상황이 되고 있는 것이다. ②비싼 OLED TV의 효용성이 떨어지고 있다 현재 우리가 쉽게 접할 수 있는 콘텐츠는, OTT와 방송, 블루레이 디스크 내지는 인터넷상에서 다운받은 콘텐츠가 대다수인데, 이러한 콘텐츠들이 아직도 90%가 HD이고, 4K UHD는 10%정도밖에 안 되고, 8K UHD콘텐츠는 사실상(상용화) 전무한 실정이다. 특히 이들 콘텐츠 질이 대다수 8/10bit에 YCbCr 4:2:0에 16Mbps 내외로 되어 있어, 이러한 콘텐츠 질이라면, 저렴한 4K LCD(LED/Mini LED) TV만으로도 충분하기 때문에, 고가의 '프리미엄(OLED) TV'는 사실상 의미가 없어, 비싼 OLED TV의 효용성이 떨어지고 있는 것이다. ③OLED 자체가 TV용으로는 적합하지 않다 유기물인 OLED는 그 자체만으로 한계성을 가지고 있다. 즉, OLED소자는 번인에 취약하고, 물리적 밝기가 300nit를 넘지 못하고, 5,000시간 정도 사용하면 밝기가 절반으로 떨어진다. 해서 3~4년 정도 사용하는 스마트폰용 OLED라면 몰라도 최소 5년 이상 사용하는 TV용으로는 적합하지 않다. 또한 고정화면이 많은 차량용이나 모니터용으로도 OLED는 그리 적합한 디스플레이는 아니다. 이런 연유로 삼성전자는 OLED TV를 다시는 만들지 않겠다고 해놓고, 삼성D가 LCD를 종료하고, 2022년부터 TV용 QD-OLED패널을 양산하기 시작하자, 삼성전자는 아무런 해명도 없이 2022년부터 OLED TV를 다시 만들어 판매하고 있다. LGD는, 2011년 한국전자전에서 "OLED는 청소년 정서에 악영향을 끼치는 디스플레이"라며, OLED디스플레이에 대한 회의론을 제기하였지만, LG 또한 그 어떤 해명도 없이 OLED를 대표로 모든 제품에 적용하고 있다. 당장 보여주는 화질만 좋으면, 내구성(번인현상/밝기저하)이 떨어져도, 돈만 벌면 된다는 그들에게 소비자는 영원한 봉(?)이 되고 있는 것이다. ④OLED TV가 '피크아웃'에 들어갔다 OLED TV가 2021년 650만대를 정점으로, 2022년부터 매년 15%씩 역성장을 이어감으로, OLED TV가 '피크아웃(Peak-outㆍ수요가 정점을 찍고 내려오는 현상)'에 들어섰다. 특히 2022년엔 삼성까지 OLED TV 사업에 참여를 하였지만, 삼성의 OLED TV 참여는 기존 OLED TV시장을 잠식하는 수준에 그치고 있다. 물론 삼성전자는 자사의 OLED TV가 성장을 하고 있다고 주장하고 있지만, 삼성전자의 OLED TV 성장은, 2022년부터 시작을 한 성장이고, 그 성장이 LG전자 또는 소니와 같은 기존 OLED TV 제조사들이 점유하고 있던 OLED TV 시장을 잠식하는 성장이기 때문에, OLED TV 전체 시장은 역성장을 하고 있는 것이다. 현재 LG전자를 비롯하여, 소니, 필립스 등은 이미 2022년부터 OLED TV 비중이 해마다 줄고 있어, 삼성전자의 OLED TV 성장도 2025년을 정점으로 2026년부터는 줄어들 것으로 보인다. ⑤미래 지향적이지 못하다(4K→8K) 8K OLED TV는, 4K OLED TV에 비해 4배 많은 발광 소자를 사용하여, 같은 사이즈에 비해 원가가 4배나 비싸고, 화소별로 자체 발광하여 소비전력이 4배나(1KW내외) 높기 때문에, 사실상 출시 6년이 넘도록 사양과 성능이 그대로이고, 가격도 그대로여서 수요도 거의 없다(77" 2천만원/88" 4천만원). 해서 OLED TV는 사실상 4K OLED TV까지가 한계이다 보니, OLED TV에 대한 미래가 없는 것이다. ⑥TV시장의 변화에 대응하지 못하고 있다 최근 TV시장은, 98"/100"(300만원)를 넘어 110"/115"(1~2천만원 LCD(Mini LED) TV)가, TV시장을 주도하고 있지만, OLED TV는 최대 97"(4천만원~)까지 나와는 있으나, 가격이 현실적이지 못해, 실 상용화 사이즈는 83"(500만원~)가 최대 사이즈다. 해서 OLED TV는 변화되는 사이즈에도 제대로 대응하지 못하고 있다. 현재 삼성D와 LGD가 가진 8.5세대 OLED라인으로는 사실상 100"이상은 대응하지 못한다. 반면 중국 TV제조사들은 10.5세대 LCD라인을 활용해서 120인치까지 대중화를 하고 있다. ⑦Micro LED TV의 성장은 OLED TV를 더욱 어렵게 하고 있다 현재 삼성전자는 Micro LED TV를 1억원대에 출시하고 있지만, 2~3년 안에, Micro LED TV 가격을 지금의 10분의 1 수준(OLED TV 가격 수준)을 목표로 하고 있어, 이러한 가격이 현실화 된다면 OLED TV는 사실상 설자리를 잃게 된다. 해서 삼성·LG전자는 이제 OLED TV 사업 자체를 접어야만, 삼성·LG전자 TV가 발전할 수 있고, 그래야만 세계 1~2위 자리도 지켜 나갈 수 있는 있을 것이다. |
첫댓글 티비 본지 기억없네요 다른분들은 뭘 보는지 궁금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