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도덕경본문 제26장 해설 -무거움은 가벼움의 뿌리가된다
重爲輕根, 靜爲躁君.是以聖人. 終日行, 不離輜重, 雖有榮觀, 燕處超然.奈
중위경근, 정위조군.시이성인. 종일행, 불리치중, 수유영관, 연처초연.내
何萬乘之主, 而以身輕天下. 輕則失根, 躁則失君.
하만승지주, 이이신경천하. 경즉실근, 조즉실군.
* 本文 第二十六章= 무거움은 가벼움의 뿌리가 된다 고요함은 조급함의 임금이 된다 이래서 성인이 하루동안 행함을 짐을 수레에 잔뜩 실어 무거웁듯이 그런 가짐을 지어선 그에서 떠나지 않는다 비록 영화로운 관람의 존재가 있어 연회의 자리가 있는 곳에 있더라도 그것을 뛰어 넘음이니(*超然=超越초연 초월), 내 어찌 만승의 나라 임금이 되었다 해서 (*譯者言= 옛적에 통치자는 실을 수 있는 것이 많은 것으로 崔權位(최권위)와 富强(부강)의 基準(기준)을 삼았는데 만승이란 그만큼 타고 실을수 있는 수레가 많다는 뜻으로 권위 와 부유함을 상징한다 할 것이다 = 天子(천자)를 상징하는 뜻 일수도 있다) 자신의 그러한 처지로서 천하를 가벼히 여긴다 할것인가? 가벼히 여긴즉 뿌리를 잃게되고 조급히 나댄즉 임금을 잃어 버리게 된다 할 것이다
* 무거움은 가벼움의 뿌리가 된다 고요함은 조급하게 나대려는 임금님을 위한다[소이 그래하지 못하게끔 진정시켜 도운다는 뜻] 이래서 성인 종일토록 치중 소이 무거운 처신을 떠나보지 않는다 비록 영화스런 관찰을 갖더라도 그러한 즐기는 곳에 초연한 모습을 보인다 [소이 그러한 것에 혹하여 빠져들지 않고 의젓한=의연한 자신이 지킬 품위를 지키면서 그 영화를 음미한다는 것이리라] 내어찌 만승의 주인이 되어선 몸의 품행으로서 천하를 가볍게 여길 것인가 [또는, 가볍게 처신함으로 천하에 임한다할 것인가] 가볍게 여긴즉 근본을 잃게되고 조급하게 나댄다면 그 천하를 다스리는 임금의 지위를 잃게 된다할 것이다
蘇註소주
凡物輕不能載重 小不能鎭大 不行者使行 不動者璪 故輕以重爲根 躁以
범물경불능재중 소불능진대 불행자사행 부동자제동 고경이중위근 조이
靜爲君 行欲輕而不離輜重 榮觀雖樂而必有燕處 重靜之不可失如此 人主
정위군 행욕경이불이치중 영관수락이필유연처 중정지불가실여차 인주
以身任天下 而輕其身 則不足以任天下矣 輕與躁無施而可 然君輕則臣知
이신임천하 이경기신 즉부족이임천하의 경여조무시이가 연군경즉신지
其不足賴 躁則君知其志於利 故曰 輕則失臣 躁則失君.
기부족뢰 조즉군지기지어이 고왈 경즉실신 조즉실군.
* 소씨는 주석하대. 물건이 가벼우면 무거움을 실는 수레를 잘 사용않하게 된다= 사용할 이유가 있겠는가? (* 소위 처신을 신중하게 하란 뜻임) (*작은 그릊이 큰 물건을 담거나 다룰수 없듯이 ) 작음이 큼을 잘 진압하지 못한다 실천함을 시킬 재질이 못 되는 자가 실천함을 시키고 (*행함을 시킬 자질이 아닌자 = 器局이 작은 사람이 행함을 시키고) 움직임을 시킬 자질이 못되는 자가 움직임을 제도하는지라 (*또 말을 바꾸어 실행치 못하는 것을 하여금 실행하고 움직이지 못할 것을 움직이는지라)
그러므로 가벼움으로써 무거움의 뿌리를 삼거나 조급함으로써 고요함의 임금을 삼거나 또 말을 바꾸어서 가벼움은 무거움으로서 뿌리를 삼고 조급함은 고요함으로서 임금을 삼는다 할진데 실천함을 가볍게 하고자 하여서 무거운 실음 가짐을 떠나지 못한다 할 것이라 (*譯者言= 안일을 추구키 위해 소임을 덜어 홀가분하게 벗어나겠다고 신중한 처신을 버리지 못 할 것이란 뜻임) 영화로움을 관람해서 비록 즐겁다 해도 반드시 연회의 자리에 있을 적에 신중하고 고요한 처신을 이같이 해서 잃치 않아야 된다는 뜻이다 사람을 다스리는 위치 임금된 몸으로써 천하의 막중한 소임을 맡아서 그 몸을 가볍게 처신하면 천하를 맡은 소임을 훌륭하게 해내지 못한다 할 것이라 가벼움과 더불어 조급한 처신은 배푸는 게 옳은 게 없다
그렇게 임금이 가볍게 처신하면 신하가 그 신하의 섬길 도리를 제대로 못 할 줄 알고 신하가 조급한즉 임금이 그 뜻이 사리사욕에 만 있는 줄 안다 그런 까닭에 말하건대 가볍게 처신한즉 신하를 읽게 되고 (*충성스런 신하가 가벼히 처신하는 임금님 밑에 붙어 있을리 만무하다) 신하가 조급하게 나대면 임금을 잃는다 함인 것이다 (*조급한 신하를 두면 일을 그릇칠 텐데 聖君이 그런신하를 召命(소명)해 쓰겠는가? 그러므로 그런 신하는 그 임금을 잃게 된다는 것이다) 譯者言=하필 주종관계에 있어서만이 아니라 누구던 사회생활에 있어서 있다고 거만하고 또 없어서 먹고 살겠다고 동동걸음만 친다면 서로 재질이 부족 한게 되고 불신이 쌓여 부실함을 맛보게 된다 할 것이다
여주
輕者先感 重者後應 應者感之所自生 則重爲輕之根矣 靜者役物 躁者役於
경자선감 중자후응 응자감지소자생 즉중위경지근의 정자역물 조자역어
物 躁常爲靜之所役 則靜爲躁之君矣 是以君子終日之間 其行爲可以約齎
물 조상위정지소역 즉정위조지군의 시이군자종일지간 기행위가이약재
矣 然猶不離輜重 則輕之不可以無重也 雖有榮觀 爲足以適矣 而必有超然
의 연유불이치중 즉경지불가이무중야 수유영관 위족이적의 이필유초연
之燕處 則躁之不可以無靜也 終日之行 與其榮觀 猶且如此 乎萬乘之主
지연처 즉조지불가이무정야 종일지행 여기영관 유차여차 황호만승지주
任重道遠 以觀天下 其可不靜且重乎 蓋迫而後動 感而後應 不得已而後
임중도원 이관천하 기가부정차중호 개박이후동 감이후응 부득이이후
起 則重矣 無爲焉 則靜矣 苟其動常在於得已之際 而不能無爲 則是以身
기 즉중의 무위언 즉정의 구기동상재어득이지제 이불능무위 즉시이신
輕天下而不重 不重則躁而不靜矣 故曰 上無爲也 下亦無爲也 是下與上同
경천하이불중 불중즉조이불정의 고왈 상무위야 하역무위야 시하여상동
德 下與上同德則不臣 下有爲也 上亦有爲也 是上與下同道 上與下同道則
덕 하여상동덕즉불신 하유위야 상역유위야 시상여하동도 상여하동도즉
不主 蓋輕則任臣之勞而代之 而臣則無爲 而與上同道 則不臣 不臣則是失
부주 개경즉임신지로이대지 이신즉무위 이여상동도 즉불신 불신즉시실
臣也 躁則忘君之逸而爲天下用 則君亦有爲 而與下同道 則不主 不主則是
신야 조즉망군지일이위천하용 즉군역유위 이여하동도 즉부주 부주즉시
失君也 故曰 輕則失臣 躁則失君 .
실군야 고왈 경즉실신 조즉실군 .
* 여씨 주석하대. 가벼운 것이란 먼저 느끼는 것이요 무거운 것이란 뒤에 상응하는 것이다 느낌이 절로 생기는 데에는 다 그만한 이유가 있으니 무거움이 가벼움의 뿌리가 됨에 서리라 고요한자는 사물을 부릴 위치에 서고 조급한 자는 여타사물에게 부림 받을 위치에 있게 된다 조급한 것이 늘 상 고요함을 위하여 일을 하는 것임엔 틀림없으니 고요함이 조급함의 임금이 됨에 서리라 이래서 군자 하루 동안이라도 實薦(실천) 가짐을 범절로서 묶어 단정하게 함인 것이다 그렇게 신중함에서 떠나지 않으면 재바른 행동을 할 것이 있음에서도 무거운 처신을 잃지 않게 되리라 비록 영화로움을 관람하는 위치에 있어서 여유있는 마음가짐을 가지며 (*유족하게 맞이함이 있어서), 필히 연회의 자리같은 곳에 있을 적에라도 의젓한 모습을 보이면 재바른 것에도 바르게 안존함이 없지 않을 것이다
하루를 행하는 영화로운 관람에서도 오히려 이와 같거늘 하물며 萬乘(만승)의 帝王(제왕)이 되어서 무거운 길 멀리 미치게 함을 맡음에야 천하를 관찰함으로써 그 바르게 고요하고 또 무겁게 처신하지 않는다 할 것인가? 대저 핍박(*충동. 곤란. 부딧침. 대임. 억압)을 받은 후에 움직이게 되고 감동한 후에 대응하게 된다 마지못해 한 후에 일어남인 것인즉 무거운 거동이리라 함이 없으면 곧 고요하다 진실로 그 움직임이 말려고(*고만둘려고) 하는 사귐에서 늘상 존재해서 함 없음(*무위=고만둠)을 잘못하게 된다 (*譯者言= 능동적인 것보다 피동적인 것에서 움직임의 시작이 일어나게 되므로 뭔가 하지 않을려 하는 것을 억제할 수 없다는 뜻이다
즉 爲的(위적)으로 하지 말아야하고 하지 않는 게 무위 자연을 추구하는 길의 원리인데 그렇게 할수 없는 것이 피동적 인것에 상존한다는 것이다 동요의 마음을 일게 하는 것이 대상인데 대상을 靜體(정체)로 봤다는 뜻이다 소위 역자가 말하는 움직이고자 함은 서고자 함에 있고 서고자 하는 것은 움직이고자 하는 속에 있으니 저 암석은 부숴 지고자 하고 저 흐르는 유수는 웅덩이 같은 곳에 담겨 쉬고자 한다 그런 속에 有爲(유위)가 있게된다 넓은 의미에선 무위 자연 또한 이 원리에서 벗어나지 못한다 할 것이다) 곧 이래서 몸으로써 천하를 가벼히 여겨서 소중하게 아니 여긴다 소중하게 아니 여기면 조급해서 고요치 못함이라 그러므로 말하길 위가 함이 없음 아래 역시 함이 없게 된다 이렇게됨 아래 위와 함께 덕이 같아지게 되고 아래가 위와 함께 덕이 같아지면 신하가 아닌 게 되고(*신하의 본연에 직분을 다하지 못하게 되고)
이와 반대로 아래가 함 있음 윗 역시 함있을 것이라 이렇게됨 위가 아래와 더불어 길이 같아지게 되고 위가 아래와 함께 길이 같아지면 임금이 아닌 것이 된다 (*임금의 직분이 없게된다) 대저 임금이 천하를 가벼히 여기면 소임을 신하가 맡게 해서 자신이할 수고로움을 대신하게 하고 신하인즉 정말로 자기가 맡은바 섬김의 직분을 다하지 못하게 되서 그렇게 됨 위와 더불어 같은 길이 되는지라 곧 신하 아닌 게 된다 신하 아닌 게 되면 이는 신하를 잃어 버린 게 되는 것이다
신하가 조급하면 임금을 섬기는 일을 잊음을 편히 여겨서 천하를 위하려는데 적용하려 든다 그러면 임금 역시 뭐 던 함이 존재케 해서 아래와 더불어 같은 길을 하게 되어 임금이 아닌 것으로 된다 (*임금의 지위가 유명무실해 진다는 뜻이리라) 임금이 아닌 것으로 되면 이는 임금을 잃어버리는 것이 되는지라 그러므로 말하길 처신을 가벼히 하면 신하를 잃고 조급하게 나대면 군주를 잃는다함이 이래서 하는 말인 것이다
朴註박주
凡物重者下 輕者上 是重爲輕根靜者 逸躁者勞是靜爲躁君以天下億兆之衆
범물중자하 경자상 시중위경근정자 일조자노시정위조군이천하억조지중
勞而居下則重者爲根而躁者制於靜矣 以人主一身之小逸而在上 則靜者爲
노이거하즉중자위근이조자제어정의 이인주일신지소일이재상 즉정자위
君而輕者託於重矣 行後終日不離輜重 輕不捨重 榮觀當前燕處 超然靜而
군이경자탁어중의 행후종일불이치중 경불사중 영관당전연처 초연정이
制躁 君子所貴者在此 奈何爲萬乘之主而以一身之小忽 億兆之衆悉行行不
제조 군자소귀자재차 내하이만승지주이이일신지소홀 억조지중실행행불
顧任智自用終取覆亡由其不知靜躁輕重之分故也 視下也 輕則失臣下之 心
고임지자용종취복망유기불지정조경중지분고야 시하야 경즉실신하지 심
爲上而躁 則失君上之體
위상이조 즉실군상지체
* 박씨 주석하대. 대저 물질이란 것이 무거운 것은 아래로 쳐지게 되고 가벼운 것은 위로 뜨게된다 이래서 무거움으로서 가벼움의 뿌리를 삼는 것이다 고요한 것은 편안하고 조급한 것은 수고롭다 이래서 고요함으로서 조급함의 임금을 삼는 것이다 천하 억조 창생들이 수고로움으로서 밑에 머무는 것은 곧 무거운 것을 뿌리 삼기 위함이며 조급한 자들을 고요함으로써 제도하기 위함인 것이다 사람의 주인되어서 일신의 안녕 만을 꾀하지 않음으로 위(上)에 있음은 고요한 것이 임금 된 것이고 가변운자를 무거움에 의탁한 게 되리라 이러함을 실천한 후에 종일토록 무거운 처신을 떠나보내지 않은 것이니 가볍게 신중함을 놓치 않음이다 (*譯者言= 소위 신중한 처신을 하여 윗사람이 모범을 보여야 아랫사람이 잘 따르게 된다 할 것이다.) 영화스럼을 관람할게 당도한 앞이거나 연회석상에서라도 의젓한 행동은 고요함으로 조급한 행동을 제압하는 것임이니 (*주위 조성되는 분위기가 밝지만 무거우면 감히 누가 경거 망동 하겠는가?) 군자가 귀하다 하는게 바로 이러함에 있는 것이다 6
내어찌 만승의 임금되어서 일신의 처지를 소홀히 하여 억조 창생들의 흩틀어진 삶을 돌아보지 않을 것인가? 함인 것이니 슬기로운 지혜로 소임을 맡아 스스로 써먹음에도 마침내 엎어지고 망함을 취하는 그 말미암은 것은 고요함과 조급함과 가벼움과 무거움의 분수를 모르기 때문에 그러함인 것이다 그런까닭에 임금이 내려보길 가벼히 하면 신하의 마음을 잃고 신하가 위를 위하대 조급하게 나댄즉 임금이란 윗된몸을 잃게 된다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