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일부 언론들이 아래와 같은 기사를 실었다. (클릭/국내)삼성전자, 2~3년후 진짜(자발광) QLED TV 상용화 (클릭/해외)삼성, '진짜' QLED TV 개발 박차
이 두 기사의 요지는, 삼성이 진짜(자체발광) QLED TV를, 2~3년 후인 2027~2028년에 OLED TV 후속으로 출시한다는 내용이다. 하지만, 삼성이 2027~2028년에 자체발광(진짜) QLED TV를 내 놓기는 쉽지 않아 보인다. 왜 일까?
삼성전자 TV가, 19년 연속 세계 1등을 할 수 있었던 원동력은 LED TV와 QLED TV가 있었기 때문이다. 하지만, LED TV와 QLED TV는, LCD패널에 LED를 백라이트로 해서 RGB컬러필터로 색상을 구현하는 LCD TV다. 해서 삼성전자 TV가 대표적으로 내세웠던 LED TV와 QLED TV는 모두 가짜 LED TV에 가짜 QLED TV라는 표현이 꼬리표처럼 따라붙어 다녔다. 해서 삼성은 이러한 가짜 꼬리표를 떼어내기 위해, 진짜(자체발광) QLED TV를 만들기 위해 지금까지 관련 업체를 인수하거나 개발비로만 수십조 원을 쏟아 부었지만, 지금까지 자체발광(진짜) QLED TV는 출시되지 못하였다.
결국 성과 없는 현실앞에 자신들조차 알 수 없는 것을 가지고 홍보용 기사부터 먼저 낸 것이다. 해서 삼성이 2027~2028년에 자체발광(진짜) QD디스플레이(TV)를 내 놓겠다는 발표가 전혀 신뢰가 가지 않고, 특히 2~3년 후에 Micro LED TV가 대중화된다면, 진짜(자발광) QLED TV도, OLED TV도 무의미한 TV가 될 것이다. ▶삼성 QD디스플레이 일지 *2013년 6월, 삼성전자 55" 곡면 HD OLED TV 출시 →4K LCD TV 등장으로 HD급 OLED TV에 대한 매력이 없고, 또한 55인치 곡면의 효용성도 떨어지는 상황에서, 1500만원 고가에 비해 내구성(소비전력/밝기저하) 마저 문제가 되고, 소비전력도 높아 출시 1년 만에 사실상 단종→삼성전자 다시는 OLED TV를 만들지 않겠다고 해놓고→삼성은 자체발광 QLED TV로 방향을 전환→하지만, 현실은 녹록하지 않아 결국... *2015년 2월 퀀텀닷 기술을 적용한 SUHDTV 출시 →LCD(LED) TV로 출시 *2016년 11월 삼성전자, 美 퀀텀닷 업체 'QD비전' 7천만 달러에 인수 →자체발광 QLED TV 개발을 위해 인수와 10조원 투자→성과가 없자 *2017년 SUHDTV→QLED TV로 개명 출시 →LCD(패널에 QD소재(QD시트/QD-RGB컬러필터)만 사용한 것을 자발광 TV인양 ‘QLED TV’로 판매→'가짜 QLED TV'라는 꼬리표 달리기 시작 *2019년 9월 20일 LG전자, “삼성 '가짜 QLED TV' 허위과장 광고” 공정위 신고 *2019년 10월 삼성, '퀀텀닷(QD) 디스플레이'에 13.1조원 투자 *2019년 11월 자발광 QNED 개발착수 *2021년 6월 자발광 QNED패널 완성 단계 →상용 출시 실패하자 *2022년 3월 자발광 QD-OLED TV 출시(해외 출시) →사실상 Blue-OLED TV(LG전자 White-OLED TV랑 발광소자 색상만 다를 뿐 기술적으로는 동일) *2022년 5월 자발광 QNED 양산 2025년 이후로 연기 *2023년 2월 삼성전자, 英 나노코와 QLED TV 특허소송 1900억원에 합의 *2024년 5월 삼성D, 퀀텀닷 이용 미래 자발광 기술 'QD-LED' 첫 공개 *2025년 3월 18일 삼성, 2~3년후 진짜(자발광) QLED TV 상용화 →삼성은 진짜(자발광) QLED TV라는 이름대신, EL-QD(QDEL) 또는 Nano LED, QD-LED로 부르고 있다. 이유는, 그동안 QLED TV가 LCD패널을 사용해 왔기 때문에, QLED TV라는 표현을 사용하지 않는 것이다. 여기서 EL-QD는, Electroluminescence Quantum Dot의 약자다.
QD란 ㎚(나노미터·10억분의 1m)크기의 QD소자가 빛을 내는 것이지만, 단색(Blue & White) QLED 소자+RGB컬러필터로 구현되는 준 자체발광 QLED TV인지. R/G/B 3색이 자체발광하는 진정한 QLED TV인지는 아직 알 수 없다.
만일 2~3년 후에 진짜(자발광) QLED TV가 상용화가 된다고 해도, 2~3년 후엔 Micro LED TV가 서서히 대중화가 될 것으로 보여, 자발광 QLED TV는 무의미 해질 가능성이 높다. 또한 삼성은 IT용 8.5세대 OLED에 이미 4.1조원을 쏟아 부어, 진짜(자발광) QLED TV에 투자할 여력이 없다.
특히 삼성은 이미 2019년에 개발에 착수하여 2021년에 진짜(자발광) QLED TV에 대한 상용화를 시도하였다가가 중단된 것을 재 추진하는 것이기 때문에, 이번 진짜(자발광) QLED TV는 홍보용으로 그칠 가능성이 높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