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도덕경 원본 제27장해설 -착한행실은 탈잡을게 없고...
善行, 無轍迹, 善言, 無瑕謫, 善數, 不用籌策.善閉, 無關楗而不可開, 善結,
선행, 무철적, 선언, 무하적, 선수, 불용주책.선폐, 무관건이불가개, 선결,
無繩約而不可解,是以聖人, 常善求人, 故無棄人, 常善救物, 故無棄物.是謂
무승약이불가해시이성인, 상선구인, 고무기인 상선구물, 고무기물.시위
襲明, 故善人, 不善人之師, 不善人, 善人之資,不貴其師, 不愛其資, 雖
습명, 고선인, 불선인지사, 불선인, 선인지자,불귀기사, 불애기자, 수
智大迷. 是謂要妙.
지대미. 시위요묘.
* 本文 第二十七章= 착한 행실은 찍히는 자취가 없고 착한 말은 탈잡을게 없고 잘하는 계산은 셈가지를 사용하지 않고 잘닫히는 문은 빗장질 아니해도 삐그덕 하게 열리지 않고 매듭이 잘 지어진 건 줄로 묶지 않아도 풀리지 않는다 이래서 성인이 늘상 착하게 사람을 구원하는지라 그런 까닭에 버려지는 사람이 없고 늘상 물건을 잘 구원하는지라 버려질 물건이 없다 이를 일러 밝음을 드리웠다(* 밝음속에 밝게 있다는 뜻)함인 것이다 그러므로 착한 사람은 착하지 않는 사람을 스승하고 착하지 않은 사람은 착한 사람의 도움을 준다 하니 그 스승된 위치가 귀하게 여기는 게 아니요 (*불선한걸 어찌 귀하다 할 것인가?) 그 도움되는걸 사랑하지 않는다 함인 것이니(* 역자 좁은 소견에 역설적으로 내 도움된다고 불선한게 자꾸만 생겨나라 할 순 없잖는가?) 비록 큰 혼미함이라 하더라도 이런데 묘한 요점이 되는걸 알게 된다 할 것이다
* 착한 행실은 수레바퀴 찍히는 것처럼의 자취가 없다 선한 말씀은 옥에 티를 말하는 것처럼의 그러한 꾸짓을 것이 없다 좋은 셈법은 주산과 산 가치를 쓰지 않어도 셈할수 있다 잘닫은 문은 빗장을 걸지 않아도 열리지 않는다 잘 매듭 지어진 것은 굳이 끈으로 묶지 않아도 풀리지 않는다 이래서 성인은 늘 상 좋게 사람을 구한다 그러므로 버릴 사람이 없다 늘 상 착하게 사물을 구원한다 그러므로 버릴 물건이 없다
이를 일러서 그 밝음이 스며들어 있다한다 그러므로 착한 사람은 착하지 못한 사람을 그 스승으로 삼는다 착하지 못한 사람은 착한 사람을 도우는 입장에 있게 된다 [*역설적 논리를 갖다가 부치는 모습이다 ] 착한 사람을 도와주대 그 스승을 귀하게 여기지 않게 하고 그도움을 사랑하게 하지 않는다 그러한 이치를 관찰컨대 비록 지혜가 너무나도 커 보이는지라 이래 되려 큰 혼미함으로 여겨진다 이를 일러선 요점의 묘결이라 하는 것이다 * 소이 나쁜 것도 내가 지향 할바의 他山之石(타산지석)이 되니 세상에 있는 모든 다른 것이야 말할 나위 있을 건가 이런 견해이리라
蘇註소주
乘理而行故無迹 時然後言 故言滿天下無口過 萬物之數 畢陳於前 不計而
승리이행고무적 시연후언 고언만천하무구과 만물지수 필진어전 불개이
知 安用籌算 同德之人 其於萬物 如母之於子 雖縱之而不去 故無關而能
지 안용주산 동덕지인 기어만물 여모지어자 수종지이불거 고무관이능
閉 無繩而能約 彼方挾策以計 設關以閉 持繩以結 其力之所及者少矣 聖
폐 무승이능약 피방협책이계 설관이폐 지승이결 기력지소급자소의 성
人之於人 非特容之 又善救之 我不棄人 而人安得不歸我乎 夫救人於危難
인지어인 비특용지 우선구지 아불기인 이인안득불귀아호 부구인어위난
之中 非救之大者也 方其流轉生死 爲物所蔽 而推吾至明以與之 使暗者皆
지중 비구지대자야 방기류전생사 위물소폐 이추오지명이여지 사암자개
明 如燈相傳相襲而不絶 則謂善救人矣 聖人無心於敎 故不愛其資 天下無
명 여등상전상습이불절 즉위선구인의 성인무심어교 고불애기자 천하무
心於學 故不貴其師 聖人非獨吾忘天下 亦能使天下忘我故也 聖人之妙 雖
심어학 고불귀기사 성인비독오망천하 역능사천하망아고야 성인지묘 수
智者有所不喩 故曰要妙.
지자유소불유 고왈요묘
* 소씨 주석하대. 이치를 깨우쳐서 실천함으로 찍힌 자욱이 없고 적절한 연후에 말하는지라 말씀이 천하에 가득해도 입을 허물잡지 못한다 만물에 수를 앞에 나열해서 계산치 않아도 아는데 뭘하러 셈 갓치를 쓸 것인가? 덕이 완전한사람은 그 만물에 있어서 어머니와 어린 자식간과 같다 할 것인데 비록 따로 세워 놓고 손떼지 못함과 같음이라 빗장 없어도 잘 닫히며 줄없이도 잘묶여 있는데 저- 방법을 쓰는 자와 셈 갓치를 가진자는 계산함을 써서 빗장을 만들어 문을 닫고 줄을 지녀 갖곤 묶어 재키나 그 역량을 끼치는 바는 작다
성인은 사람에 있어서 특별나게 거동치 않으셔도 구원하시길 잘하신다 내가 사람을 버리지 않는데 사람이 어찌 내게 돌아오지 아니하리요 함인 것이다 대저 사람을 위난가운데 구원하는 게 구원함의 큰 것은 아닌 것이다 바야흐로 나고 죽음이 흘러 궁글름이 물질의 폐단이 되는 것이라서 유추컨대 내 밝음에 다달은걸 더불게 하대 어두운자들로 하여금 다들 밝게 하길 등불같이 하여서 서로 전하고 서로 드리워서(*서로가 서로를 비추면 어둠이 물러간다는 뜻이리라) 끊어지지 않게 하면 이것이 곧 사람을 잘 구원하는 것이 된다 할 것이다
성인이 세속 사람과 같이 私利 營利追求(사리 영리추구)등 딴뜻을두어 가르침이 없는지라 그러므로 그 도움되는걸 사랑하지 않는다 천하가 딴뜻 없이 배움에 전념하는 연고로써 그 스승을 귀하다 않는다 성인이 유독 나로 하여금 천하를 망각케 않하고 역시 천하로 하여금 나를 잘 망각케 하는 이유는 성인의 묘한점은 비록 지혜 있는 자라도 깨우치지 못할 바가 있는지라 그러므로 말하건대 묘한 요점이라 하는 것이다 (*묘한걸 찾는 것이라 함인 것이다)
呂註여주
車行則有轍 徒行則 有迹 則行固不能無轍迹者也 知行之所以行 則行出於
차행즉유철 도행즉 유적 즉행고불능무철적자야 지행지소이행 즉행출어
不行 故曰善行無轍迹 知者不言 言者不知 則言固不能無瑕謫者也 知言之
불행 고왈선행무철적 지자불언 언자불지 즉언고불능무하적자야 지언지
所以言 則言出於不言 故曰善言無瑕謫 一與言爲二 二與一爲三 自此以往
소이언 즉언출어불언 고왈선언무하적 일여언위이 이여일위삼 자차이왕
巧歷不能算 唯得一而忘言者 爲能致數 致數則其計不可窮矣 故曰善計不
교력불능산 유득일이망언자 위능치수 치수즉기계불가궁의 고왈선계불
用籌算 天門無有闢闔 闢闔在我 我則不闢 誰能開之 故曰善閉無關楗而不
용주산 천문무유벽합 벽합재아 아즉불벽 수능개지 고왈선폐무관건이불
可開 天下有常然者 約束不以 索 因其常然而結之 故曰善結無繩約而不
가개 천하유상연자 약속불이묵색 인기상연이결지 고왈선결무승약이불
可解 故行而不以此 則行不能無轍迹 言而不以此 則言不能無瑕謫 計也閉
가해 고행이불이차 즉행불능무철적 언이불이차 즉언불능무하적 계야폐
也結也 而不以此 則雖用籌算而亂 雖有關楗而開 雖有繩約而解 所存於己
야결야 이불이차 즉수용주산이란 수유관건이개 수유승약이해 소존어기
者 不能無 何 人物之救哉 聖人唯能體道以善此五者 是以常善救人而
자 불능무폐 하하인물지구재 성인유능체도이선차오자 시이상선구인이
無棄人 常善救物而無棄物矣 何則 此五者性命之理所同然者也 唯聖人以
무기인 상선구물이무기물의 하즉 차오자성명지리소동연자야 유성인이
知常之明 而救之於所同然之際耳 行之言之計之閉之結之 而莫知其所以然
지상지명 이구지어소동연지제이 행지언지계지폐지결지 이막지기소이연
則其明襲而不可得見 故曰是謂襲明 唯其善救也 故善人不善人之師 不善
즉기명습이불가득견 고왈시위습명 유기선구야 고선인불선인지사 불선
人善人之資 明人之不善 何棄之有哉 雖然 祉者妄心 善人者雖不善人之
인선인지자 명인지불선 하기지유재 수연 지도자망심 선인자수불선인지
師 而吾不知其師之爲可貴也 不善人雖善人之資 而吾不知其資之爲可愛也
사 이오불지기사지위가귀야 불선인수선인지자 이오불지기자지위가애야
不貴其師 不愛其資 則雖智者有所不知而遠迷矣 夫唯以智求之而不得 此
불귀기사 불애기자 즉수지자유소불지이원미의 부유이지구지이부득 차
道之所以爲要妙也 故曰 雖智大迷 是謂要妙.
도지소이위요묘야 고왈 수지대미 시위요묘.
* 여씨 주석하대. 수레가 행하면 수레바퀴 자국이 나고 사람이 걸어가면 발자국이 난다 즉 실로 행해서 자취가 남지 않는 것이 없을 정도다 해야할걸 알아 행하면 행할게 하지 않을 것에서 나는 것이다 (* 따지고 보면 행할거와 행하지 않을걸 변별해서 하지 않을 것을 발판으로 해서 해야할걸 터득해서 하게되는지라 소위 밭이란 행치 못할 터요 씨앗의 발아는 행하는 것이다 ) 그래서 하지 않을 것에서 행할게 나온다 함인 것이다
그러므로 말하길 좋은 행실은 찍힌 자취가 없다는 것이다 (*譯者言= 사람이 또한 수모를 겪은 것은 머리에 오래 남지만 남에게 은덕을 입은 것은 오래 기리지 못하는 것이다 또 내가 베푼 것은 오랫동안 간직 생색거리가 되고 남에게 해로움을 입힌 것은 합리화를 성립시켜 금새 머리에서 떨쳐 버리고자 한다 할 것이다 ) 지혜로운 자는 말이 없고 수다쟁이는 슬기롭다 할수없다 말 자체론 실로 탈잡을게 없는 것이나 말할줄 알아서 말을 내는 것이라면 곧 말이란 것 또한 앞과 같은 논리에 의해 말하지 못할 것을 발판으로 해서 나오는지라
그러므로 말하길 ,좋은 말은 탈잡아 꾸짓을 게 없다는 것이다 하나(*壹)란게 말씀과 더불으면 둘이되고 { (*하나란 의미를 말씀이란 거와 연계시켜 합리화 시키면 (예로 하나란 길이요 생명이요 하늘에 말씀이다 하나란 하늘 님의 말씀을 대표한다 이런 논리전개) 둘이란 게 성립되고 즉 늘어난다.)} 이미 둘이란 의미를 이미 하나란 의미와 결부시키면 셋이 성립된다
(*譯者言= 소위 無極 太極 兩儀 方式과 가로세로 높이 방식의 時空원리일 뿐이다 三과四는 합하면 七인데 이는 짝수의 개념과 홀수의 개념에서 나왔다 홀짝이란 개념의 수합은 셋이되는 것이다) 이로 부터 지난 업적 쌓임을 재주가진 경력의 산술법으로선 능숙하게 계산할게 못되는 것이라 오직 하나의 도리를 깨우침을 얻어서야만 수다(言多)를 망각하는 것이라서 유능한 수셈을 이루고 수에 통달함에 이르면 그 계산하는 것에 그렇게 궁색하지 않는다 할 것이다 그런 까닭에 말하길 좋은 계산은 셈가지를 쓰지 않는다 함이니 하늘이 문을 여닫음이 없고 여닫음이 내게 존재한다 내가 곧 열지 않는다면 누가 능숙하게 열것인가? 그러므로 말하길 잘 닫히는 문은 빗장 없어도 삐금하게 열리지 않는다
천하에 떳떳함이 그렇게 존재하는 것은 약속을 줄로써 묶지 않아도 그 그렇게 떳떳한 매듭을 지음이라 그러므로 잘 맺친건 줄 없이 묶은 것이라도 그렇게 잘 풀리지 않는 것이다
그러므로 행함에 있어서 이러함을 쓰지 않으면 자국이 있게 되는 것이고 말씀에 있어서도 이러함을 쓰지 않으면 말함에 병탈이 잡히게 된다 계산 하는 것이나 닫는 것이나 매듭 짓는 것이나 등에 있어서도 이러함을 쓰지 않으면 비록 주산을 갖고 계산하더라도 어지러워 지고 빗장을 질르더라도 열리고 줄로 단단히 묶는것 같이 하더라도 풀릴 것이니 이렇게 몸에 존재하는 게 폐단이 있는데 어느 겨를에 딴 사람과 만물들을 구원한다 할 것인가? 성인은 오직 능숙하게 길을 몸 삼아서 이 다섯가지를 잘 행한다 이래서 늘 상 사람을 잘 구원해서 버려지는 사람이 없고 늘상 만물을 구원하길 잘해서 버려지는 물건이 없다
어떻게 하면 이 다섯가지가 본성에 부여된 이치와 그렇게 같이 잘 합할 수 있겠는가? 그것은 오직 성인의 늘 상 그러한 밝음을 알아서 구원함을 같이하는 사귐에 있을 뿐이다 (*소위 성인이 하시는 일에 동참하는 데에 있다는 뜻임) 실행하고 말씀하고 계산하고 닫고 매듭짓고 등에 있어서 그 그렇게 할 바를 모르면 그 밝은 빛 속에서도 바르게 봄을 얻을수 없다 그러므로 말하길 이를 일러 밝음을 드리우면 오직 그 잘 구원할수 있다 함인 것이다 그러므로 착한 사람은 착하지 못한 사람을 스승하고 착하지 못한 사람은 착한 사람을 도운다 함인 것이다
사람을 착하지 않는 것이라 하는것도 밝혀주는 것으로 되는데 뭘 버릴게 존재 할것인가? 비록 그렇더라도 길에 뜻을 둔자 마음을 망각하고 착한 사람이 비록 착하지 못한 사람을 스승한다 해도 내- 그 스승의 바르게 귀함 됨을 모른다 착하지 못한 사람이 비록 착한 사람을 도우는 주체라 해도 내- 그 도움을 바르게 사랑할 줄 모른다 그 스승을 귀히 여기지 않고 그 도움을 사랑하지 않을 것 이라면 비록 지혜 있는 자라 해도 알지 못할 바가 있어서 멀어 혼미한 듯 함이라 (*이것이 뭐가 뭔지 어덜떨 하다는 뜻이리라) 대저 결론컨대 지혜로 구함을 써도 얻지 못한다는 게 이 길의 묘한 요점이 된 바이라 할 것이다 그러므로 말하건대 비록 지혜 있더라도 크게 혼미함이니 이를 일러 묘한 찾음(*요점, 구함.)이라 함인 것이다
朴註 박주
轍迹瑕謫籌策關鍵繩約 五者皆言有爲而有迹也 無此則無爲而無迹矣 聖人
철적하적주책관건승약 오자개언유위이유적야 무차즉무위이무적의 성인
無爲常順 自然而不見其迹 故以此爲喩 聖人之於人物見其不善則常誘而導
무위상순 자연이불견기적 고이차위유 성인지어인물견기불선즉상유이도
之 使不善者化而爲善 有哀憫之心 而無賤惡之意 故善救而無所棄 包俱
지 사불선자화이위선 유애민지심 이무천오지의 고선구이무소기병포구
容而不見好惡之迹 襲明重明也 明而又明 猶言大明也 林氏曰襲者藏也 聖
용이불견호오지적 습명중명야 명이우명 유언대명야 임씨왈습자장야 성
人未嘗有 棄人棄物之心 和光同塵而與之爲一 故曰襲明亦通資資而爲善也
인미상유 기인기물지심 화광동진이여지위일 고왈습명역통자자이위선야
聖人善救人則不善人 是聖人之所資而爲善者也 愛惜也 不愛其資言不惜其
성인선구인즉불선인 시성인지소자이위선자야 애석야 불애기자언불석기
所資也 人但知不貴其師之爲大迷而不知不愛其資之爲不可 苟不愛其資則
소자야 인단지불귀기사지위대미이불지불애기자지위불가 구불애기자즉
雖賢智之人亦同歸於大達通乎 此者可謂能得要妙之道 此引不貴師以明不
수현지지인역동귀어대달통호 차자가위능득요묘지도 차인불귀사이명불
愛資之非結無棄人無棄物之意 孟子曰 中也 養不中才也 養不才如中也 棄
애자지비결무기인무기물지의 맹자왈 중야 양불중재야 양부재여중야 기
不中才也 棄不才則賢不肖之 相去其間不能以寸 老子之意 蓋猶此也 .
부중재야 기불재즉현불초지 상거기간불능이촌 노자지의 개유차야 .
* 박씨 주석하대. 자국과 말씀의 병됨과 주산으로 계산함과 빗장과 줄로 묶음등의 다섯가지 비유를 듦은 모두 함이 있음 자취 있음을 말함인 것이다 이러함 없으면 함이 없는 것이라서 자취가 없어지리라 성인은 하염없이 늘상 자연에 순응해서 그 자취를 볼 수 없는 지라 그러므로 이러함으로써 깨우쳐 고한다 성인은 사람과 만물에 있어서 그 착하지 못한걸 보면 늘 상 달래어서 인도 해감에 착하지 못한자로 하여금 변화하게 하여 착함을 위하니 슬퍼하고 불쌍히 여기는 마음맘 있지 천박시 보거나 미워하는 뜻은 없다
그런까닭에 잘구원해서 버려지는바가 없고 아울러 모든걸 용납하고 끌어안어서 좋아함과 미워함의 자취를 보이지 않는 것이다 밝음을 드리운다(*襲=습=엄습하다 불의에 쳐들어가다 잇다 계승하다 받다.)는 것은 밝음을 소중히 여긴다는 뜻이다 밝은게 또 밝으면 오히려 큰 밝음을과 같다 임씨가 말하길 襲이라하는 것은 藏=장=갈무린다는 뜻이다 성인이 일찍이 사람을 버리거나 만물을 포기할 마음이 있지 않았으니 화락한 빛이 티끌과 같이 해서 더불음은 하나가 되기 위함인지라 그러므로 말하건대 밝음을 드리운다 함과 뜻이 역시 통한다 할 것이다
(資=자) 즉 도와서 착하게 되게 함인 것이다
성인이 사람을 잘구원하면 착하지 못한 사람이 성인의 도우는 바로서 착한 자가 된다 愛(애)란 애석하게 여긴다 애낀다는 뜻으로도 쓴다 그 도움을 사랑하지 않는다는 것은 그 도움되는 바를 아끼지 않고 확연한 깨우침에 다달을 때까지 (*착함을 이룰 때까지) 미치는 영향력을 극대화해 쓴다는 뜻이다 사람이 다만 그 스승할게 크게 혼미해서 귀함되지 못함만 알고 그 도움되는 것이 옳치못한 것으로 이루어 졌음을 아끼지 아니 할 줄을 모른다 진실로 그 도움되는걸 아끼지 않으면 비록 어진 지혜를 가진 자라도 역시 한가지로 큰 혼미함에 돌아간다 할 것이다
이러한 이치를 통달한자 바르게 묘한 요점의 길을 잘 얻었다 할 것이다 이러함을 이끌어서 스승이 귀하지 않아도 밝음을 쓰는것이요 도움되는게 그릇된 맺침이라도 아끼지 않는것이니 사람을 버릴게 없고 만물을 버릴게 없다는 뜻이다 (* 譯者言= 소위 知彼知己면 백전 백승이라고 뭔가 알아보겠다고 뛰어든 것이 지나치게 휩쓸린게 되어 그만 물이 들게 되었다는뜻이다 그렇다면 깨침을 받을려 들어간게 도리혀 악의 구렁텅이로 떨어진것이되 지혜있는자라도 도리혀 혼미한 것이 되어진것이라 할 것이다 이것이 내 깨침에 도움이 되는것이라 해서 자제할줄 모르고 덤벙거리면 저쪽의 끌어당기는 힘이 셀 땐 물이 든다는 것이다
그런걸 조금 겪고 그런걸 아니하기 위해서 기르침 받을려 들어갔던 것이 도리혀 깊게 물이들어 나락에 떨어지면 그와 같이 혼미해졌다 할 수밖에 더 있겠는가? 가령 마약 단속반원이 마약 집단을 퇴치하겠다고 그 소굴에 들어가서 그하는 행위에 휩쓸리게 되어 손을 떼질못할지경에 이르렀다면 도리혀 이쪽의 정보를 저쪽의 보스에게 제공할것인데 어찌 혼미 한데 떨어졌다 아니할 것인가? 이상의 역자의 부언에 뜻도 좀 통한다 할 것이다) 맹자 말하길 맞음이 맞지 않는걸 맞게끔 길르고 재주 있는자가 재주 없는 자를 재주 있게 끔 길른다 할 것이니 만일 맞음이 맞지 안는것이라 해서 버리고 재주있는자가 재주 없는 것이라 해서 버린다면 어짊과 불초함이 서로 거리가 한마디도 잘 안될 것이라 하니 노자의 뜻은 대저 이와 같음을 뜻한다 할 것이다
* 역자 더부언 한다면 착하지 못한 사람이 착한 사람의 스승이란 뜻은 착한 사람이 착하지 못함을 보고 스스로가 그 불선함에 물들지 않는 것을 깨우침 받는건 둘째치고 그 착하지 못한 사람을 착함으로 이끄는데 미묘한 스승된 점이 있다는 뜻이다 즉 그러한 깨침이 있게된 원인제공자 였음으로 어떻게 되었던 (*내가 그를 선으로 이끌 그런 입지가 되었던간) 나에 스승이라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