찾아서 복사하는것이다 보니 꽤 기네요...
국보 1~100호
1호 남대문(숭례문)
서울 중구 태조5년(1396)에창건하였고세종30년(1448)에 개축 현존하는 이조 시대의 성곽 목조건물 중 최대이며 전형적인 다포 양식 대문이세워진
지 600여년
2호 원각사지 10층석탑
서울 종로구 종로2가(파고다공원내)세조 12년(1467)에 세운 원각사 탑으 로써 이조 시대의탑중에서 최우수 작품중의 하나이다. 석재는 대리석으로써 조각의 솜씨는 신의 경지에 이르렀다. 탑 높이 12m
3호 진흥왕북한산 순수비
서울종로구 세종로1가(경복궁내)신라 진흥왕이 자기가 넓힌 국경을 순 시하고 순수비를 세웠는데 그중 하나가 현존하는 북한산 순수비이다. 높이 1.54m 폭 0.7m 두께 0.16m
4호 고달사지 부도
경기도 여주군 북내면 상교리(고다리)신라 경문왕 때 입적한 원감대 사의 묘탑이라고 전한다. 신라 경덕왕 때 창건한 절로 이 사지를 살펴보면 상당히 큰 사절이었음을 알 수 있으며 많은 유물이 산재해 있다. 높이 3.4m
5호 법주사 쌍사자 석등
충북 보은군 내속리면 사내리-신라 성덕왕 19년에 건립한 작품으로 써 그 표현 기법이 대담무쌍하며 예술성이 특출하다. 사자가 양련성을 받치 고 서있는 모습은 무척 안정되어 있다.사자가 서있는 것은 복련석
6호 중원군 탑평리 7층 중앙 석탑
충북 중원군 가금면 탑평리- 통일신라때 국토의 중앙에 건립하였다 하여 중앙탑이라고도 하며 금생사자라고도 전한다. 현존하는 신라의 석탑중 에서 가장 웅대하다. 신라 문성왕 때 건립 하였다고 전한다. 높이 14.5m
7호 봉선 홍경사 비갈
충남 천원군성환읍 대흥리(홍경리)고려 현종12년(1201)에 창건한 홍 경사에 있던 사적비, 비갈이라는 말을 쓰는 경우는 극히 적으며 비문을 당시 에 지어놓고 그 후대에 그 비문을 가지고 세운비를 비갈이라고 한다.
8호 성주사 낭혜화상백월보광탑비
충남 보령군 미사면 성주리- 신라 애장왕 때 남혜화상이라는 고승의 행적을 가리기위하여 세운 탑으로써 진성왕 4년에 최치원 선생이 쓴 글, 주 위의 민가를 헐어 주위를 정화하였다.탑 뒤에 최치원 선생 유허비, 탑 높이
3.12m
9호 정림사지 5층 석탑
충남부여군 부여읍 동남리- 백제탑이라고 하며 당나라 소정방이 백 제를 평정한 기념으로 세운 경제탑이라고 불렀으나 옛부터 있던 탑신에다 전승 기록을 새긴 것이 판명되어 지금은 정림 사지 5층 석탑이라 부른다.
10호 실상사 백장암 3층 석탑
전북 남원군 산내면 대장리- 화강석으로 만든 삼층석탑으로써 통 일신라 시대으 작품이다. 이 탑이 풍기는 인상은 온화하고 아름다우며 어 느 탑도 마찬가지지만 독창적인 이 탑은 신라하반기의 대표적 탑이다. 높 이 5m
11호 미륵사지 석탑
전북 익산군 금마면 기앙리- 백제 무왕 때 사찰을 지었으며 신라 진 평왕은 석공을 보내어 이 역사를 도왔다고 삼국사기 적혀있다. 신라 성덕여 왕 때 벼락을 맞아 대파된 것을 왜정 때 시멘트를 발라서 볼품사납게 되어 버렸다.
12호 화엄사 각황전앞 석등
전남 구례군 마산면 황전리-이 석등은 통일 신라시대의 작품으로 현 존하는 석등 중 그 규모가 가장 크고 완전한 상태로 남아있는 유일한 석등 이며 화엄사는 신라 진흥왕5년(544)에 창건된 고찰이다. 높이 6.36m
13호 무위사 극락전
전남 강진군 성전면 월하리-무위사는 신라 진평왕 39년에 창건된 절 로써 여러번의 중창을 거쳐 오늘에 이른다. 1956년 보수 때 발견된 기록에 서1476년이전에 건립된 것임을 알았으니 500여년 전에 세워진 건물임을 알 수 있다.
14호 은해사 거조암 영신전
경문 영천군 정통면 신원동-거조암이라는 이름에서 풍기듯이 조실 스님들이 많이 거처하던 절이라고 전한다. 칡넝쿨이 절을 덮어서 임진왜란 의 전화를 면하였다고 전한다. 이 건물의 건립 연대는 고려말이나 조선초로 추정
15호 안동 봉정사 극락전
경북 안동군 서후면 태장동-신라 문무왕 때 의상대사가 세운 고찰 로써 고려말기에 지은 목조건물이며 웅장하지도 않고 화려하지도 않지만 아담한 건물이다. 고려시대의 건축 양식에대하여 많은 자료가 된다.
16호 안동 신세동 7층 전탑
경북 안동시 신세동-탑은 석탑과 전탑 2종으로 나누는데 석탑은 돌 을 다듬어 만든 것이고 전탑은 돌대신 납작한 기왓장같이 구운 얇은 회색 벽돌로 쌓아 만든 탑을말한다. 탑 높이 17m우리 나라 최고의 전탑이다.
17호 부석사 석등
경북 영풍군 부석면 북지리-신라 문무왕 16년(676)에 창간한 명찰 로써 여러 점의 문화재가 산재해있다. 화강암으로 만든 예술품으로 현재 남 아있는 신라 시대의 석등이며 으뜸으로 꼽는 걸작 중의 하나이다. 높이 2.97m
18호 부석사 무량수전
경북 영풍군 부석면 북지리-신라 문무왕 16년에 창건한 명찰로써 무 량수전은 부석사의 본전이다. 건물은 남향을 하였으며 우리나라 건축 양식의 특징인 주심포집의 기본을 잘남기고 있다.
19호 부석사 조사당
경북 영풍군 부석면 북지리-신라 문무왕이 의상대사에게 명하여지은 명찰로써 조사당은 부석사 본전 뒷산에 지은 작은 암자로써 부석사의 창설자 의상대사의 초상화를 안치하였다. 고려 때의 건물
20호 불국사 다보탑
경북 경주시 진현동(불국사경내)-통일 신라 때 작품으로 불국사 대웅 전 앞에 우뚝 솟은 두 개의 유명한 탑 중 하나로써 그 섬세하고 치밀한 선은 아름다움의 경지를 넘어 예술의 극치요 신기라고 할 수 밖에 없다. 높이 10.4m
21호 불국사 석가탑(무영탑)
경북 경주시 진현동(불국사 경내)-무영탑이라고도하는 석탑인데 탑을 세울 때의 전설로는 유명하며 다보탑과 함께 신라 석탑의 극치라고 할 수 있다. 특히 아름다운 상륜부가 거의 없어진 다른 탑들의 본보기가 될 것이 다. 높이 8.2m
22호 불국사 연화교 칠보교
경북 경주시 진현동(불국사 경내)-불국사는 김대성(700-774)에의하여 창건되었으며 불국사 전면 큰 석단의 서쪽 것을 연화교 칠보교라하며 칠보교 는 높이 4.06m 너비 1.16m이고 연교는 높이 2.31m 너비 1.48m
23호 불국사 청운교 백운교
경북 경주시 진현동(불국사경내)-불국사 전면의 돌계단 중에 동쪽의 것이 청운교백운교 인것이다.아래족 계단을 청운교 윗쪽을 백운교라고 하며 청운교의 높이 3.82m 너비 5.14m이며 백운교는 높이3.15m 너비 5.14m이다.
24호 석굴암
경북 경주시 진현동-토함산 중턱에 신라인의 국력과 예술의 극치를 응고시켰다고 볼만한 걸작품이다. 여래상의 온화한 얼굴표정 감은 듯 뜬 눈은 사바세계의 백팔번뇌를 제도하려는 것일까? 통일 신라 시대의 작품
25호 신라 태종 무열왕릉비
경북 경주시 서악동-신라 29대 태종 무열왕(김춘추)의 묘이다. 무열 왕릉비는 화강암으로만들었으며 거북이가 자고 있는 귀갑에 높이는 42cm 너비 33cm의 액을 만들고 여기에 태종무열왕릉비라고 새겨 놓았다.
26호 불국사 금동비로자나불좌상
경북경주시 진현동-통일신라시대의 작품으로써 불국사 극락전안에 안치되어있는 불상으로써 거대한 금동불상이다.이 부처님의 손모양을 지인 권의 결인이라고 하며 위엄과자비심이넘쳐 흐른다 높이 1.77m이다.
27호 불국사 금동아미타여래좌상
경북 경주시 진현동-국보 26호와 나란히 불국사 극락전에 안치되 어있는 불상이며 26호와같은 연대의 작품으로써 사실적 표현과 결까부좌한 양무릎이 넓어 안정감을 준다. 당당한 체구에서 풍기는 인자함과 위압감을 풍기는 걸작
28호 백률사금동약사 여래입상
경북 경주시 인왕동(경주박물관)-지금은 경주국립박물관에 보관되 어 있으며 백률사에 있어 약사여래상이다.백률사는 신라 법흥왕 때 이차 돈의 순교를 기념하기위해 창건 한 절이며 현재의 절은 조선조에 중건한 것이다.높이 1.77m
29호 성덕대왕 신종(에미레종)
경북 경주시 인왕동-경주박물관에 보관되어 있으며 경덕왕이 부 왕(성덕왕)의 넋을 위로하기위해 만들기시작하여 혜공왕7년(771)에 완성 한 종이다. 이 종을 만들 때 비화는 너무나 유명하다.높이 3.33m 밑지름 2.27m
30호 분황사 석전탑
경북 경주시 구황동-성덕대왕 2년에 세운 것으로 까만 돌을 납작 하게 다듬어서 만든 3층탑이다. 네 귀퉁이에 돌사자가 하나씩 있으며 첫 째층 사면에 문귀둥을 만들고 돌문두짝씩을 달아놓았다.높이 9.3m
31호 첨성대
경북 경주시 인왕동-성덕대왕 26년에 건립한 천문 관측대로써 동 양에서 최고이며 높이9.17m 윗지름 2.5m 아랫지름 5.17m 지대석의 한쪽 길이 5.35m 기단은 8석과 12석으로 되어있고 27단으로 쌓고 사용된 돌은 362개
32호 해인사 대장경판
경남 합천군 가야면 치인리-고려가 몽골 침입을 받았을 때 불교의 힘으로 몽고를 물리치기 위하여 고종 23년(1236)부터 16년간 걸쳐 만든 대장경 판목이다. 총 8만 1250장이다.
33호 창녕 진흥왕 척경비
경남 창녕군 창녕읍 교상동-신라 진흥왕22년(561)에 건립한 것으로 써 진흥왕이 국토를 넓힌 기념으로 세운 비석 중의 하나이다. 우리 나라에 있는 비석 중에서 가장 오래된 비석 이며자연석으로 높이 1.78m 너비 1.75m
두께 0.3m
34호 창녕 술정리 동3층석탑
경남 창녕군 창녕읍 술정리-신라 시대의 작품으로 이 탑은 기단의 중심으로 깔았으며 지대석과 하층기단면석은 하나로 다듬어져있고 하층기 단감석과 상층기단 명석등은 별석으로 구성되었다.
35호 화엄사 4사자 3층 석탑
전남 구례군 마산면 황전리-통일 신라 때 석탑으로 기단석 위에 4마리의 사자가 연화대를받든 위에 감석을 올렸고 그 위에 다시 기단석을 올리고 그 위에 3층 석탑을 올린 것으로 우리나라 석탑 중 유일한 것이다. 높이 5.5m
36호 상원사 동종
강원도 평창군 진부면 동산리-신라 성덕여왕 23년(724)에 자장율 사가 청건한 고찰로써 동종은 경주 에밀레종과 함께 신라의 종으로써 현 존하는 것은 둘뿐이다. 종은 너무 오래 되어칠수 없는 것이 애석하다
37호 경주 구황리 3층석탑
경북 경주시 구황동-신라 효조왕1년(692)에 건립된 탑으로써 2층 기단 위에 세운 3층석탑으로 기단은 지대석 면석을 8매 갑석을 4매씩 짰 으며 면석은 2주의 탱주를 두었고 옥개석은 한 개의 돌로 만들었다.
38호 고선사지 3층석탑
경북 경주시 인왕동-원래는 부도골에 있던 것을 보문 단지 조성으 로 수물을 피하여 경주 박물관으로 옮겼다.고선사에 원효대사가 일시 머 물렀다한다 건립연대는 신라 신문 왕때로 전하며석재는 화강암 높이 9m
기단너비24m
39호 월성 나원리 5층석탑
경북 월성군 현곡면 나원리-신라시대의 화강암 석탑이며 2층기단 으로 구성하고 상층 기단 전면은2개의 기둥과 탑신의 첫층에는 모서리 기 둥을 4매의 판석으로 면을 삼고 2층이상은 한 개의 돌로 되었다.
40호 정혜사 13층석탑
경북 월성군 안강읍 옥산리-이탑은 기단이 돌이 아닌 흙이란 점 이 특이하다. 첫째 탑신이 크고 2층 이상은 급격히 줄어들었으며 각종 옥신과 옥개석이 하나로 되어있다.
41호 청주 용두사지 철당간
충북 청주시 남문로2가-고려 광종 13년(962)에 제작된 것이다. 옛날에는 용두사가 있었겠으나 지금은 외로이 철당간만 서있다. 원래는 2개가 남아있었는데 하나는 프랑스인들이가져갔다. 지주높이 4.2m 철 간높이 12.7m 직경 0.4m
42호 송광사 목조 삼존불감
전남 승주군 송광면 신평리-불감은 나무나 옥, 상아 같은 것에 다 부처를 조각한 중앙이 있고 그 양쪽에 문짝을 달아서 필요에 따라 개폐할 수 있는 불상상자이며 일명 주파라고도한다. 높이 13.9m 지름 69cm 목조불감
43호 고려 고종 제서
전남 승주군 송광면 신평리- 고려 고종 1216년에 명주 두루마 리에 먹으로 쓴 글씨로써 조계산 전각국사 혜감에게 대선사의 호를 하 사한 제서로 우리나라에 있는 가장 오래된 붓글씨로 문서의 맨 끝에 제 가(制可)라는 글씨가 왕의 필적
44호 보림사 3층 석등·석탑
전남 장흥군 유지면 봉덕리-신라 경문왕 10년(870)에 세워진 석 조물로써 탑 및 석등이 완전한 상태로 잘 보존되어있다.탑의 이중계단의 구성은 다른 탑과 같지만 갑석이 얇은 것이 특징.북탑높이 5.9m 남탑높이 5.4m 석등 높이 3.12m
45호 부석사 소조여래좌상
경북 영풍군 부석면 북지리-신라 문무왕 16년에 의상대사가 창 건, 고려 정종 7년에 원흉국사가 중건하였다. 소조는 진흙으로 빚었다는 뜻이며 이불상이 주존으로 모시어져 있다.고려불상이 정석이다. 높이 2.78m
46호 부석사 조사당 벽화
경북 영풍군 부석면 북지리-고려 정종 7년(1317)에 원융국사가 중건할 때 그려진 것으로 밝혀졌으며 조사당 벽화는 사천왕상 각 1면과 보살상 2면으로 되어있으며 고려 시대의 그림 중에서 뛰어난 예술품 길이 2.05m 내외 폭 0.75m 내외
47호 쌍계사 진감선사 대공탑비
경남 하동군 화개면 운수리-전감선사는 애장왕5년에 당나라에 가서 불교 공부를 하고 흥덕왕5년에 귀국하여 문성왕 12년에 입적을 하였으며 비문은 최치원 선생의 글이다. 총 높이 3.63m 비석높이 2.02m 너비 1m
48호 월정사 8각 9층석탑
강원도 평창군 진부면 동산리-신라 신덕여왕 때 자장율사가 창 건한 명찰로써 이탑은고려 초기에 세워진 탑이다. 현존하는 탑중에서 가장 아름다운 탑중의 하나이다.이탑의 상륜부는 다른탑에서는 볼 수 없을 만큼 정교 수려하다.
49호 수덕사 대웅전
충남 예산군 덕산면 서천리-백제 법왕원년 신라의 중 지명법사가 창건했으며 대웅전은 고려 충렬왕 343년(1308)에 건립하였으며 1937년 수 리 때 확장하였으며 대웅전의 벽화는 승 담장대사의 작품이다.정면 3칸 측면 4칸
50호 월출산 도갑사 해탈문
전남 영양군 군서면 도갑리-도갑사는 신라 효공왕8년에 도선국 사가 창건한 명찰로 해탈문은 도갑사를 출입하는 대문이며 이조 성종4 년(1473)에 건립되었고 1960년에 수리하였다. 주심포와 다포집 양식을 혼용하였다.
51호 강릉 객사문
강원도 강릉시 용강동-고려 시대의 건물이며, 이 대문 외에는 다른 건물이 현재 남아있지 않음으로 그 구조는 알 수 없으나 객사의 구조는 대문을 들어서면 큰 집을 중심으로 좌우에 각 익실을 두고 정 면에는 중문을 두었다.
52호 팔만대장경 판고
경남 합천군 가야면 치안리-이조 초기(1488)의 건물로써 정면 15칸 측면 2칸의 우잔각 지붕 같은 규모와 양식으로 두 채의 건물을 남북으로 지었는데 북쪽집은 법보장 남쪽집을 수다라장이라고 한다.
53호 연곡사 동부도
전남 구례군 토지면 내동리-신라 법흥왕 4년(543)에 화엄종 조인 연기조사가 창건한 고찰로 임진왜란 때 전소된 것을 인조 때 태능조사 충견, 융회4년의병장 고광순이 임전하므로 왜병이 전소 1965년 중창 동부도 높이 3m
54호 연곡사 북부도
전남 구례군 토지면 내동리-연곡사 법당 뒤에 있으며 우리 나라에서는 스님의 사리를 넣는 돌중을 부도라 한다. 이 부도는 신라 말이나 고려초의 것으로 추측하며 그 형태가 우아하고 각부의 솜씨가 정교하다. 높이 3m
55호 법주사 팔상전
충북 보은군 내속리면 사내리-신라 진흥왕 14년 진표율사가 창건, 조선인조 2년(1626)에 재건하였으며, 건평 49평 높이 21m 기둥 561개 중앙의 중심기둥이 5층까지 한 개로 통해 있으며 지붕의 철기 둥은 피뢰침 역할을 한다.
56호 송광사 국사전
전남 승주군 송광면 신평리-신라말 혜인대사가 창건했고 고 려명종 29년(1197)에 수우승이 9년간에 걸쳐 중건, 수선사로 불리다 1208년 왕명으로 송광사로 개명하였다. 국사전은 조선초기의 건물. 정면 4칸 측면 3칸
57호 쌍봉사 철감선사탑
전남 화순군 이양면 증리-신라 경문왕 때 쌍봉사를 창건하 였으며 경문왕 8년(868)에 입적한 철감선사를 위하여 세운 탑으로 신라시대의 부도 중에서는 조각과 구성이 화려하여 최대 걸작품중에 속한다. 높이 1.4m
58호 장곡사철조약사여래좌상부석조대좌
충남 청양군 대치면 장곡리-신라 문성왕(850)년에 보조법사 가 창건한 가람으로 하나의절에 상대웅전과 하대웅전의 두 개의 대 웅전이 있다는 것이 특이하며 부처님 뒤의 광배는 나무로 정교하게 조작. 신라시대의 작품 높이 2.32m
59호 법천사지 지광국사 현모탑비
강원도 원성군 부론면 법천리-고려 선종 때 세운 현모탑이며 이 탑은 첫눈에 걸작품임을 알 수 있다. 섬세하고 정교한 솜씨는 타의 추종을 불허하는 명작이다.비문은 거북이 등위에 세웠고 정서향을 함. 총 높이 4.5m 비높이 2.97m
60호 청자사자누개항로
서울종로구 세종로(국립박물관)-고려청자로서 유약으로 생기는 식은테가 없어야 천하일품 사자를 앉힌 향로 뚜껑과 세 개의 짐승발로 받힌 화사로 되어있다. 연기는 사자몸통을 통하여 입으로 나오게 되어 있다. 높이21.2cm
61호 청자 비룡형 주전자
서울 종로구 세종로(국립박물관)-12세기 작품머리는 용 몸통은 물고기 몸체에 연꽃줄기모양의 손잡이뚜껑은 물고기 꼬리로 되어있는 주전자. 이런 작품은 전남강진도요지에서 많이 발견된다. 높이 24.4m 허리둘레3.5m
62호 금산사 미륵전
전북 김제군 금산면 금산리-백제 범왕 원년에 창건 임진왜란 때 불탄 것을 인조 4년(1626)에 중창 이 절이 유명한 것은 후 백제의 견훤이 그의 아들 신검에 의하여 이 절에 유패되었다. 넓이 80평 63호
도피안사 철조 비로자나불좌상
강원도 철원군 동송면 관우리-신라 경문왕 5년(865)에 도선국 사가 창건한 절로 현 건물은 1957년에 중창한 절이다. 비로자나불은 결기좌부한 철불로 불신 뒷면에 당나라 함통6년에 조성했다는 연대가 확실한 불상. 높이 91m
64호 법주사 석련지
충북 보은군 내속리면 사내리-신라 성덕왕 19년에 건립. 8각 의 지대석 위에 복련을 두고 그위에 석련지를 얹었드며 석련지 거죽 면에 연꽃을 조각하였으며 내부는그릇 모양으로 파서 물을 담게 되었 다. 높이 1.95m 둘레 6.65m
65호 청자 기린 뚜껑향로
서울 성북구 성북도(긴송미술관)-여기서 말하는 기린은 동물 원에 있는 기린이 아닌 용, 봉황과 같이 고대동인에게 상상적인 동 물을 상형화한 뚜껑과 수면의 삼족으로 화로를 받진 전형적인 고려청 자. 높이 17.5cm 지름 16cm
66호 청자 상감유죽연로원앙문 정병
서울 성북구 성북동(간송미수관)-정병이란 악을 정화시키는 병이 라는 뜻이며 이런 형식의 병은 절에서 비구니가 제약과 불선을 씻어 버리는 의식때 쓰이던 던 병 전남 강진 부안 가마터에 상감청 자의 파편이 많다. 높이 37cm
67호 화엄사 각항전
전남 구례군 마산면 황전리-신라 진흥왕 5년(544)에 연기조 사가 창건 문무왕 10년에 의상대사가 중창. 임진왜란때 병소 인조8 년(1703)에 우리나라의 사찰 건물로는 가장 웅대한 각황전 건립.
68호 청자 상감운학문병
서울 성북구 성북동(간송미술관)-원형은 송에서 유래하였지만 고려 화하여 예술의 극치를 이룬 걸작품이며 이 매병을 모델로 한 것이 하도 많아 서 누구에게난 친숙한 고려 청자이다. 높이 42.1cm 허리지 름24.5cm
69호 개국원 공신특권
부산시 서구 동대진동(동아대박물관)-조선조 이태조에 공을 세 운 공신들에게 공신도감(지금의 상훈국)에서 내린 녹권으로, 이것은 심지백에게 1397년에 내린 녹권으로 활자로 인쇄
70호 훈민정음
서울 성북구 성북동(간송 미술관)-훈민정음은 세종실록에 보면 대왕 이 친히 만드시어 28년 9월에 배포한 것을 알수 있으며 `훈민정 음'의 원본은 이책 하나밖에 남은 것이 없고 내용은 33매3부로 되어있 다. 세로 23.2cm 가로 16.5cm
71호 동국정문
성북동(간송미술관)세종29년에 편찬한 책이며 여섯권으로 되어 있으나 1권과 6권만 있고 훈민정음의자매편으로 한문자를 한글식 발음 으로 적은 것 이다. 가로 20cm 세로 33.8cm
72호 금동계미명삼존불상
구리로 만든 것에 금을 입힌 것으로 가운데는 석가여래 양쪽은 보살상 이며뒷면에 적힌 내용으로 보아 백제 위덕왕 10년 때의 것으로 추정 높이 17.5cm 광대높이 12.5cm
73호 금동삼존불감
서울 성북구 성북동(간송미술관)-불감이란 말은 호지불을 모시는 작은 불당이라는 뜻이다. 법당은 신라시대의 목조 법당 양식이며 그안에 봉안된 부처님과 조화를 잘이루며 고려초기 작품 높이 18cm 본존불 높이 10cm
74호 청자오리모양수적
서울 성북구 성북동(간송미술관)-오리가 연꽃 줄기를 물고 물위에 뜬 모습 의연적이며 오리의 등에 있는 연잎에 물을 넣는 구멍이 있고 부 리의 오른쪽에 물을 따르는 구멍이 있다.높이 8cm 길이 12.5cm
75호 표충사 청동함은향완
경남밀양군 단양면구천리-신라 흥덕왕 4년(829)에 황면선사가 창 건한 고찰이다. 서기 1177년(고려시대)에 구리로 만든 향로로 완은 무엇을 한다는 뜻이며 향로의 몸에 은입사한 글에 제작년대 표시 높이 27.5cm 구 경 26.1cm
76호 이충무공 난중일기·
서간첩·임진장초충남아산군 염치면 백암리-이 순신 장군이 임진왜란이 일어난 다음날부터 장렬한 전사를 하던 전날까지 쓴 진중일기. 친구 친척과의 편지, 전황보고서 초안, 시의 초안등이 적혀 있다.
77호 의성탑리 5층
석탑경북 의성군 금성면 탑리동-통일신라 시대의 작 품으로 기단은 단층이고 목조건축물을 모방하였으며 낙수면이 층층을 이룬 형태는 전탑과 같은 양식이다 이런 형태의 탑을 모전석탑이라고 부른다. 높이 9.6m
78호 금동미륵보살반가상
서울종로구 세종로(국립박물관)-삼국시대의 작 품이다. 반가라함은 한 다리 는내려뜨리고 한 다리는 내려뜨린 다리위에 올려 놓은 것을 말한다. 구리에다 금을 입힌 것으로 완전무결한 걸작품의 하나이다. 높이 80cm
79호 경주 구황동 금동여래좌상
서울 종로구 세종로(국립박물관)-통일신라
초기의 작품으로 높다란 연꽃좌대 위에 결가부좌한 불상이 높직하게 앉아있 는 순금제 불상으로 부처님은 복스런 얼굴을 하고 입가에는 미소를 띤 듯하 며 눈은 살짝 감았다. 높이 12.2cm
80호 경주 구황동 금동여래입상
서울 종로구 세종로(국립박물관)신라
성덕왕5년(706)에 제작된 것이며 여래입상은 79호인 금동여래좌상과 함께 경주 구황리 3층 석탑속에 안치되었던 사리함 속에서 1934년에 발견한 것 이다. 순금제 높이 14cm1호 감산사 석조미륵보살입상
81호 감산사 석조미륵보살입상
서울종로구세종로(국립박물관)-신라성덕여왕 19년(720)작품으로 불신 광배 대좌가 한 개의 돌에 새겼으며 8각의 대좌위에 꽃모양을 넣 은 양련을 다듬고 그 위에 풍만한 불상과 광배를 새겼다. 높이 1.83m
82호 감산사 석조아마타불입상
서울종로구 세종로(국립박물관)-신라 성덕왕 18년(719)에 김지 성이 성덕왕과 자기의 부모를 위하여 세운 절에 만들어 모신 불상으로써 신라석 불의 대표적인 것 중에 하나이다. 81호와 같은 제작수법 높이 1.74m
83호 금동미륵보살반가상
서울종로구세종로(국립박물관)삼국시대의 작품으로 반가상의 진수를 보여주고 있다. 삼국 시대의 불상 형태를 셋으로 크게 구분하는데 석가,여래 상보살상,반가상이다. 머리에 쓴 관을 삼산관이라고 한다.
84호 서산 마애삼존불상
충남서산군 운산면 용현리 -백제시대 작품으로 부처님의 조각 중에 가장 아름다운 걸작품 이다. 중앙은 석가여래이고 황해서 우측은 반가상 황해서 좌측은 여래상이다. 석가여래상 2.8m 반가상 1.6m 여래 상 1.7m
85호 신묘명 금동삼존입상
개인소장-고구려때의 작품으로 주불은 아미타불이고 협시불은 관세 음보살이며 오른쪽은 대세지보살이다. 광배에는 3구의 화불이 있고 불꽃무늬가 새겨져있다. 좌대가 없는 것이 아쉽다. 높이 15.5cm
86호 경천사 10층석탑
서울종로구세종로(경복궁) 고려 충목왕 4년(1349)에 제작된 것 으로 경기도개풍군 광덕면 경천사지에 있던 것을 일본인이 훔쳐간 것을 해방후 반환받은 것이다. 원각사지 10층석탑과 비슷한 미탑이다. 높이 13.5m
87호 금관총 금관
서울 종로구 세종로(국립박물관) 신라 왕관 이중관으로 이마에
얹는 대륜 둘레에 얇게 순금을 조각하였으며 좌우에 사슴뿔 두 개를 세
웠고 출(出) 자형식의 디자인을하였다. 150개의 구슬을 달고 57개의 고
리 구슬을달았다.
88호 금관총 과대요패
서울종로구 세종로-과대에는 허리띠이고 요패는 허리띠에다는 장식을 말한다.요패는 모두 17줄로 되어있으며 r 디자인이 모두 다르며 과대는 39개의 순금제판으로 경첩식으로 연결하였다. 길이 1.09m 요패 54.4cm
89호 금제교구
서울종로구세종로(국립박물관)-국보중 가장 오랜 낙랑시대 것 으로 금찬에 7마리의 용을 조각하고 그 위에 금사라기와 금살로 장식을 하고 물방울 모양의 많은 비취를 박았으나 7개만 남아있다. 길이 9.4cm 너비 6.4cm
90호 금제태완이식
서울종로구 세종로(국립박물관)경주보문리 고분에서 출토된 것 으로 순금귀거리읻. 길이가 각각 8.7cm인데 이렇게 큰 것을 어떻게 달 고 다니었는지? 혹시 패물로 간직한 것은 아닌지 궁금하다.
91호 도제가마 인물상
서울종로구 세종로(국립박물관)옛날 우리 선조들은 높은 사람 이 죽으면 종자들도 함께 묻었으나문명이 발달하며 사람대신 흙이나 사기로 만든 토우를 대신 묻었다. 신라시대의 작품으로 높이 23.4cm 너비 26.8cm
92호 청동제은입사 표류수금정병
서울종로구 세종로(국립박물관)고려시대으 작품으로 금속 공 예품중 가장 아름다운 예술품으로 친다. 억새풀이 있는 언덕위에 버드 나무, 그 밑엔 물위에 배가 떠 있고 하늘에는 기러기가 날며 먼산을 배 경으로 삼았다.
93호 백자철화포도문 항아리
서울종로구 세종로-이조 백자중에서 손꼽히는 작품 온아한 유배 색 유약 으로 칠하고 그 밑에 철재로 포도넝쿨을 그리고 포도넝쿨 사이에 원숭이가 놀고 있는 펴현은 달인의 경지에 이르렀다. 높이 30.8cm 입지 름 15cm
94호 청자소물과형병
서울종로구세종로(국립박물관) 경기도 장단군에 있는 고려 인종 의 장능에서 출토된 것으로 8개의 모서리로 된 참외 모양의 몸통을 치마 주름 모양의 굽다리가 받치고병입은 참외꽃 모양이다. 높이 22.8cm 입지 름 8.3cm 밑지름 7.5cm
95호 청자 칠보투각 향로
서울종로구 세종로(국립박물관)토끼 세 마리가 3족을 이루고 국 화앞 모양의 꽃받침 위에 겹양련 꽃잎으로 만든 화로에 공모양으로된 뚜 껑으로 구성되어있다. 고려청자의 진수라할 수 있다. 높이 15.3cm 최대 지름 11.2cm
96호 청자귀형수병
서울종로구 세종로(국립박물관)양련좌대 위에 거북이가 앉아있는 물병으로 거북이등에 6각의 귀문갑에 왕(王)자를 음각했고 등에 뚫린 구멍 으로 물을 넣으며 병잎은 연꽃잎으로만들었다. 높이 17cm 몸지름 20cm 밑 지름 10.3cm
97호 청자조음각 연화당초문매병
서울종로구 세종로(국립박물관)고려 청자 가장많은 모양이 이런 매병이며 매병 중에 최대의 걸작으로 친다. 자그마한 병잎에서 어깨를 거 쳐 굽다링 이르는 곡선은 부드럽고 풍만한 여성을 연상케한다. 높이43.9cm 입지름 7.2cm
98호 청자상감모란문 항아리
서울종로구 세종로-좌우의 손잡이는 짐승 얼굴 모양으로 되어잇고 몸통 앞뒷면에 장식한 모란가지를 시원하게 그리어 그릇에 잘 어울리며 자 질구레한 무늬는 일체 생략된 것이 특이하다. 높이 19.8cm 입지름 20.6cm 밑지름 14.8cm
99호 갈황사 3층 석탑
서울종록 세종로(국립박물관) 신라 경덕왕 17년(758)에 세운탑으로 경북 금룡군 남면 오봉리에 있는 갈황사지에있던 것을 국립박물관의 정문 옆으로 옳겨 놓은 것으로 동탑과 서탑으로 되어있다. 동탑높이 4.3m 서탑 높이 4m
100호 남계원 7층석탑
서울종로구 세종로(경복궁)고려시대 석탑의 특징을 잘 나타낸 작품 으로 각 측 몸돌과 지불돌이 하나로 다듬었고 뚜껑돌은 주녀가 두꺼워지고 완만한 곡선을 그리며 반전되듯이 내려왔다. 높이 7.5
1 서울숭례문(서울崇禮門) -- 국보 1호 서울 중구
2 원각사지십층석탑(圓覺寺址十層石塔) -- 국보 2호 서울 종로구
3 북한산신라진흥왕순수비(北漢山新羅眞興王巡狩碑) -- 국보 3호 서울 종로구
4 고달사지부도(高達寺址浮屠) -- 국보 4호 경기 여주군
5 법주사쌍사자석등(法住寺雙獅子石燈) -- 국보 5호 충북 보은군
6 중원탑평리칠층석탑(中原塔坪里七層石塔) -- 국보 6호 충북 충주시
7 봉선홍경사사적갈비(奉先弘慶寺事蹟碣碑) -- 국보 7호 충남 천안시
8 성주사낭혜화상백월보광탑비(聖住寺郎慧和尙白月보光塔碑) -- 국보 8호 충남 보령시
9 부여정림사지오층석탑(扶餘定林寺址五層石塔) -- 국보 9호 충남 부여군
10 실상사백장암삼층석탑(實相寺百丈菴三層石塔) -- 국보 10호 전북 남원시
11 미륵사지석탑(彌勒寺址石塔) -- 국보 11호 전북 익산시
12 화엄사각황전앞석등(華嚴寺覺皇殿앞石燈) -- 국보 12호 전남 구례군
13 무위사극락전(無爲寺極樂殿) -- 국보 13호 전남 강진군
14 은해사거조암영산전(銀海寺居祖庵靈山殿) -- 국보 14호 경북 영천시
15 봉정사극락전(鳳停寺極樂殿) -- 국보 15호 경북 안동시
16 안동신세동칠층전탑(安東新世洞七層塼塔) -- 국보 16호 경북 안동시
17 부석사무량수전앞석등(浮石寺無量壽殿앞石燈) -- 국보 17호 경북 영주시
18 부석사무량수전(浮石寺無量壽殿) -- 국보 18호 경북 영주시
19 부석사조사당(浮石寺祖師堂) -- 국보 19호 경북 영주시
20 불국사다보탑(佛國寺多寶塔) -- 국보 20호 경북 경주시
21 불국사삼층석탑(佛國寺三層石塔) -- 국보 21호 경북 경주시
22 불국사연화교칠보교(佛國寺蓮華橋七寶橋) -- 국보 22호 경북 경주시
23 불국사청운교백운교(佛國寺靑雲橋白雲橋) -- 국보 23호 경북 경주시
24 석굴암석굴(石窟庵石窟) -- 국보 24호 경북 경주시
25 신라태종무열왕릉비(新羅太宗武烈王陵碑) -- 국보 25호 경북 경주시
26 불국사금동비로자나불좌상(佛國寺金銅毘盧舍那佛坐像) -- 국보 26호 경북 경주시
27 불국사금동아미타여래좌상(佛國寺金銅阿彌陀如來坐像) -- 국보 27호 경북 경주시
28 백률사금동약사여래입상(栢栗寺金銅藥師如來立像) -- 국보 28호 경북 경주시
29 성덕대왕신종(聖德大王神鐘) -- 국보 29호 경북 경주시
30 분황사석탑(芬皇寺石塔) -- 국보 30호 경북 경주시
31 경주첨성대(慶州瞻星臺) -- 국보 31호 경북 경주시
32 해인사대장경판(海印寺大藏經板) -- 국보 32호 경남 합천군
33 창녕신라진흥왕척경비(昌寧新羅眞興王拓境碑) -- 국보 33호 경남 창녕군
34 창녕술정리동삼층석탑(昌寧述亭里東三層石塔) -- 국보 34호 경남 창녕군
35 화엄사사사자삼층석탑(華嚴寺四獅子三層石塔) -- 국보 35호 전남 구례군
36 상원사동종(上院寺銅鐘) -- 국보 36호 강원 평창군
37 경주구황리삼층석탑(慶州九黃里三層石塔) -- 국보 37호 경북 경주시
38 고선사지삼층석탑(高仙寺址三層石塔) -- 국보 38호 경북 경주시
39 월성나원리오층석탑(月城羅原里五層石塔) -- 국보 39호 경북 경주시
40 정혜사지십삼층석탑(淨惠寺址十三層石塔) -- 국보 40호 경북 경주시
41 용두사지철당간(龍頭寺址鐵幢竿) -- 국보 41호 충북 청주시 상당구
42 목조삼존불감(木彫三尊佛龕) -- 국보 42호 전남 순천시
43 고려고종제서(高麗高宗制書) -- 국보 43호 전남 순천시
44 보림사삼층석탑및석등(寶林寺三層石塔및石燈) -- 국보 44호 전남 장흥군
45 부석사소조여래좌상(浮石寺塑造如來坐像) -- 국보 45호 경북 영주시
46 부석사조사당벽화(浮石寺祖師堂壁畵) -- 국보 46호 경북 영주시
47 쌍계사진감선사대공탑비(雙磎寺眞鑑禪師大空塔碑) -- 국보 47호 경남 하동군
48 월정사팔각구층석탑(月精寺八角九層石塔) -- 국보 48호 강원 평창군
49 수덕사대웅전(修德寺大雄殿) -- 국보 49호 충남 예산군
50 도갑사해탈문(道岬寺解脫門) -- 국보 50호 전남 영암군
51 강릉객사문(江陵客舍門) -- 국보 51호 강원 강릉시
52 해인사장경판전(海印寺藏經板殿) -- 국보 52호 경남 합천군
53 연곡사동부도(연谷寺東浮屠) -- 국보 53호 전남 구례군
54 연곡사북부도(연谷寺北浮屠) -- 국보 54호 전남 구례군
55 법주사팔상전(法住寺捌相殿) -- 국보 55호 충북 보은군
56 송광사국사전(松廣寺國師殿) -- 국보 56호 전남 순천시
57 쌍봉사철감선사탑(雙峰寺澈鑒禪師塔) -- 국보 57호 전남 화순군
58 장곡사철조약사여래좌상부석조대좌(長谷寺鐵造藥師如來坐像附石造臺座) -- 국보 58호 충남 청양군
59 법천사지광국사현묘탑비(法泉寺智光國師玄妙塔碑) -- 국보 59호 강원 원주시
60 청자사자유개향로(靑磁獅子유蓋香爐) -- 국보 60호 서울 종로구
61 청자비룡형주자(靑磁飛龍形注子) -- 국보 61호 서울 종로구
62 금산사미륵전(金山寺彌勒殿) -- 국보 62호 전북 김제시
63 도피안사철조비로자나불좌상(到彼岸寺鐵造毘盧舍那佛坐像) -- 국보 63호 강원 철원군
64 법주사석연지(法住寺石蓮池) -- 국보 64호 충북 보은군
65 청자기린유개향로(靑磁麒麟유蓋香爐) -- 국보 65호 서울 성북구
66 청자상감유죽연로원앙문정병(靑磁象嵌柳竹蓮盧鴛鴦文淨甁) -- 국보 66호 서울 성북구
67 화엄사각황전(華嚴寺覺皇殿) -- 국보 67호 전남 구례군
68 청자상감운학문매병(靑磁象嵌雲鶴文梅甁) -- 국보 68호 서울 성북구
69 개국원종공신록권(開國原從功臣錄券) -- 국보 69호 부산 서구
70 훈민정음(訓民正音) -- 국보 70호 서울 성북구
71 동국정운<권1,6>(東國正韻<卷一,六>) -- 국보 71호 서울 성북구
72 금동계미명삼존불(金銅癸未銘三尊佛) -- 국보 72호 서울 성북구
73 금동삼존불감(金銅三尊佛龕) -- 국보 73호 서울 성북구
74 청자압형수적(靑磁鴨形水滴) -- 국보 74호 서울 성북구
75 표충사청동함은향완(表忠寺靑銅含銀香완) -- 국보 75호 경남 밀양시
76 이충무공난중일기부서간첩임진장초(李忠武公亂中日記附書簡帖壬辰狀草) -- 국보 76호 충남 아산시
77 의성탑리오층석탑(義城塔里五層石塔) -- 국보 77호 경북 의성군
78 금동미륵보살반가상(金銅彌勒菩薩半跏像) -- 국보 78호 서울 종로구
79 경주구황리금제여래좌상(慶州九黃里金製如來坐像) -- 국보 79호 서울 종로구
80 경주구황리금제여래입상(慶州九黃里金製如來立像) -- 국보 80호 서울 종로구
81 감산사석조미륵보살입상(甘山寺石造彌勒菩薩立像) -- 국보 81호 서울 종로구
82 감산사석조아미타불입상(甘山寺石造阿彌陀佛立像) -- 국보 82호 서울 종로구
83 금동미륵보살반가상(金銅彌勒菩薩半跏像) -- 국보 83호 서울 종로구
84 서산마애삼존불상(瑞山磨崖三尊佛像) -- 국보 84호 충남 서산시
85 금동신묘명삼존불(金銅辛卯銘三尊佛) -- 국보 85호 경기 용인시
86 경천사십층석탑(敬天寺十層石塔) -- 국보 86호 서울 종로구
87 금관총금관(金冠塚金冠) -- 국보 87호 경북 경주시
88 금관총과대및요패(金冠塚과帶및腰佩) -- 국보 88호 서울 종로구
89 금제교구(金製교具) -- 국보 89호 서울 종로구
90 금제태환이식(金製太環耳飾) -- 국보 90호 서울 종로구
91 도제기마인물상(陶製騎馬人物像) -- 국보 91호 서울 종로구
92 청동은입사포유수금문정병(靑銅銀入絲蒲柳水禽文淨甁) -- 국보 92호 서울 종로구
93 백자철화포도문호(白磁鐵畵葡萄文壺) -- 국보 93호 서울 종로구
94 청자소문과형병(靑磁素文瓜形甁) -- 국보 94호 서울 종로구
95 청자칠보투각향로(靑磁七寶透刻香爐) -- 국보 95호 서울 종로구
96 청자귀형수병(靑磁龜形水甁) -- 국보 96호 서울 종로구
97 청자음각연화당초문매병(靑磁陰刻蓮花唐草文梅甁) -- 국보 97호 서울 종로구
98 청자상감모란문항(靑磁象嵌牡丹文缸) -- 국보 98호 서울 종로구
99 갈항사삼층석탑(葛項寺三層石塔) -- 국보 99호 서울 종로구
100 남계원칠층석탑(南溪院七層石塔) -- 국보 100호 서울 종로구
보물1~50호
보물 01호 서울흥인지문 -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6가 69
보물 02호 서울보신각종 - 서울특별시 종로구 세종로1-57 국립중앙박물관
보물 03호 대원각사비 -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2가 38 탑골공원
보물 04호 중초사지당간지주 - 경기도 안양시 만안구 석수동 212-1
보물 06호 고달사원종대사혜진탑비귀부및이수 - 경기도 여주군 북내면 상교리 417-3
보물 09호 서봉사현오국사탑비 - 경기도 용인시 수지읍 신봉리 산111
보물 10호 강화하점면오층석탑 - 인천광역시 강화군 하점면 장정리 산193
보물 12호 광주춘궁리오층석탑 - 경기도 하남시 춘궁동 466
보물 14호 창성사진각국사대각원조탑비 - 경기도 수원시 팔달구 매향동 13-1
보물 15호 법주사사천왕석등 - 충청북도 보은군 내속리면 사내리 209 법주사
보물 16호 억정사대지국사비 - 충청북도 충주시 엄정면 괴동리 360
보물 17호 정토사법경대사자등탑비 - 충청북도 충주시 동량면 하천리 177-1
보물 18호 정산서정리구층석탑 - 충청남도 청양군 정산면 서정리 16
보물 24호 금산사혜덕왕사진응탑비 - 전라북도 김제시 금산면 금산리 39 금산사
보물 28호 금산사당간지주 - 전라북도 김제시 금산면 금산리 39 금산사
보물 30호 만복사지오층석탑 - 전라북도 남원시 왕정동 481
보물 32호 만복사지당간지주 - 전라북도 남원시 왕정동 537-1
보물 33호 실상사수철화상능가보월탑 - 전라북도 남원시 산내면 입석리 50 실상사
보물 35호 실상사석등 - 전라북도 남원시 산내면 입석리 50 실상사
보물 36호 실상사부도 - 전라북도 남원시 산내면 입석리 50 실상사
보물 38호 실상사증각대사응료탑 - 전라북도 남원시 산내면 입석리 50 실상사
보물 40호 실상사백장암석등 - 전라북도 남원시 산내면 대정리 975 실상사 백장암
보물 41호 실상사철제여래좌상 - 전라북도 남원시 산내면 입석리 50 실상사
보물 42호 용담사지석불입상 - 전라북도 남원시 주천면 용담리 292
보물 45호 익산연동리석불좌상 - 전라북도 익산시 삼기면 연동리 산220-2
보물 46호 익산고도리석불입상 - 전라북도 익산시 금마면 동고도리 400-2
보물 48호 대흥사북미륵암마애여래좌상 - 전라남도 해남군 삼산면 구림리 산9 대흥사
보물 49호 나주동문외석당간 - 전라남도 나주시 성북동 108-1
보물 50호 나주북문외삼층석탑 - 전라남도 나주시 과원동 109-5
사적1~100호
사적 01호 경주포석정지 - 경상북도 경주시 배동 454-3
사적 02호 김해봉황동유적 - 경상남도 김해시 봉황동 253번지외
사적 03호 화성 - 경기도 수원시 장안구 연무동 190
사적 04호 부여성흥산성 - 충청남도 부여군 임천면 군사리 산1-1
사적 05호 부여부소산성 - 충청남도 부여군 부여읍 쌍북리 산4
사적 06호 황룡사지 - 경상북도 경주시 구황동 320-1
사적 07호 망덕사지 - 경상북도 경주시 배반동 956
사적 10호 서울성곽 - 서울특별시 종로구 누상동 산1-3외
사적 11호 광주풍납리토성 - 서울특별시 송파구 풍납동 72-1외
사적 12호 공주공산성 - 충청남도 공주시 산성동 2외
사적 13호 공주송산리고분군 - 충청남도 공주시 금성동 산5-1
사적 14호 부여능산리고분군 - 충청남도 부여군 부여읍 능산리 15
사적 15호 경주흥륜사지 - 경상북도 경주시 사정동 281-1
사적 16호 경주월성 - 경상북도 경주시 인왕동 387-1
사적 17호 경주남고루 - 경상북도 경주시 황오동 21-1외 77필
사적 18호 경주임해전지 - 경상북도 경주시 인왕동 26
사적 19호 경주계림 - 경상북도 경주시 교동 1
사적 20호 신라무열왕릉 - 경상북도 경주시 서악동 842
사적 21호 김유신묘 - 경상북도 경주시 충효동 산7-1
사적 23호 신라경덕왕릉 - 경상북도 경주시 내남면 부지리 산8
사적 24호 신라진덕여왕릉 - 경상북도 경주시 견곡면 오류리 산48
사적 25호 경주부산성 - 경상북도 경주시 건천읍 송선리 산195
사적 26호 경주괘릉 - 경상북도 경주시 외동읍 괘능리 산17
사적 27호 경주구정리방형분 - 경상북도 경주시 구정동 산41
사적 28호 신라성덕왕릉 - 경상북도 경주시 조양동 산8
사적 29호 신라헌덕왕릉 - 경상북도 경주시 동천동 80
사적 30호 신라흥덕왕릉 - 경상북도 경주시 안강읍 육통리 산42
사적 31호 경주감은사지 - 경상북도 경주시 양북면 용당리 55-1
사적 32호 독립문 -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현저동 941
사적 33호 영은문주초 -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현저동 945
사적 34호 부여청마산성 - 충청남도 부여군 부여읍 능산리 산1-1
사적 37호 오대산사고지 - 강원도 평창군 진부면 동산리 산1
사적 38호 경주노동리고분군 - 경상북도 경주시 노동동 261
사적 39호 경주노서리고분군 - 경상북도 경주시 노서동 104
사적 40호 경주황남리고분군 - 경상북도 경주시 황남동 6-1
사적 41호 경주황오리고분군 - 경상북도 경주시 황오동 102-3
사적 42호 경주인왕리고분군 - 경상북도 경주시 인왕동 669-1
사적 43호 경주금척리고분군 - 경상북도 경주시 건천읍 금척리 192-1
사적 44호 부여군수리사지 - 충청남도 부여군 부여읍 군수리 19
사적 46호 경주원원사지 - 경상북도 경주시 외동읍 모화리 2
사적 55호 소수서원 - 경상북도 영주시 순흥면 내죽리 1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