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름다운 우정
고려말기에 이당(李唐; ?~1369은 광주(廣州)고을 관아의 아전 출신으로 원님의 딸과 결혼했던 신분이 기록에
남아있어서 광주 이씨의 중시조로 모셔지고 있습니다.
이당은 아들 다섯을 두었는데 5명의 아들이 모두 과거에 급제하는 영광도 누렸습니다.
이당의 아들 이집(李集; 1327~1387)에게는 최원도(崔元道)라는 친구가 있었는데,
영천출신으로 과거에 합격하자 개성으로 올라와 이집과 어울리며 살았습니다.
이집과 최원도는 함께 동문수학하였으며 벼슬길에 나아가서도 둘사이의 우정은 아주 돈독하였다고 전해집니다.
그런데 그 시기는 공민왕(恭愍王; 1330~1374)이 개혁을 위해서 등용한 요승 신돈(辛旽; ?~1371)이 절대권력을
휘두르자 점차 타락하여 세상이 어려운 시대였습니다.
최원도는 공민왕 때 대사간(大司諫)을 지냈는데 여러 번 신돈의 전횡을 비판했지만 받아들이지 않자, 그 꼴을 참지
못하고 벼슬을 버리고 영천으로 낙향을 해버렸습니다.
이집도 벼슬을 버리고 대로의 벽면에 신돈을 비난하는 대자보도 붙였으며, 군중들을 모아 놓고 신돈을 신랄하게
성토하였습니다. 그리고 한양의 변두리 지금의 둔촌동 고향집으로 내려갔습니다.
그러자 일은 크게 벌어졌습니다.
당시 공민왕으로부터 절대 권력을 위임받은 신돈의 무리들이 그를 잡아 죽이려고 한양골을 수색하며 돌아다녔습니다.
(둔골이다, 둔촌(遁村) 이집(李集) 선생이 숨어살던 굴)
이집은 자신이 숨어서 은둔하던 둔골마저 드러날 것이 분명해지자, 급한 마음에 늙은 아버지(이당)을 등에 업고
줄행랑을 쳤습니다.
그러나 어디에도 숨어 지낼 곳이 없던 이집은 고민하다가 경상도 영천 땅의 친구 최원도를 찾아 떠났습니다.
몇 달 만에 최원도의 집에 도착하였습니다.
마침 그의 생일날이라 인근 주민들이 모여 잔치가 한참 벌어지고 있었습니다.
이집은 최원도의 집 문간방에 아버지를 내려놓고 피곤한 몸을 쉬면서 하인들에게 그가 왔음을 전했습니다.
친구 최원도는 소식을 듣고 순식간에 문간방으로 뛰어나왔습니다.
이집은 자신을 최원도가 반기는 줄 알고 얼른 최원도의 손을 잡으려는데 뜻밖에도 친구 최원도는 크게 노한
목소리로 소리를 지르는 것이었습니다.
"망하려면 혼자 망할 것이지 어찌하여 우리 집안까지 망치려 하는가?
친구에게 복을 전해 주지는 못할 망정 화를 전하려 이곳까지 왔단 말이냐?"
사태가 이렇게 되자, 이집은 당황스러웠습니다. 매우 난처해하며,
"여보게! 몸을 의탁하러 온 것은 아니니 먹을 것이나 좀 주게나~"
그러나 최원도의 태도는 더욱 격노하면서 하인들을 시켜서 이집 부자를 동네 밖으로 내몰았습니다.
더구나 최원도는 이집 부자가 잠시 앉았다 떠난 문간 사랑채를 역적이 앉았던 곳이라 하여 생일잔치에 모였던
사람들이 보는 데서 불태워 버렸습니다.
한편 이집은 최원도에게 쫓겨나 정처 없이 떠나면서 곰곰히 생각해보니 자칫하면 멸문의 화를 입을 수도 있기 때문에
최원도의 태도가 조금은 이해되면서 평소에 신의가 확실하던 그의 진심은 그렇지 않을 것이라고 굳게 믿고 다시
최원도의 집 부근으로 가서 덤불에 몸을 숨기고 밤이 되길 기다리고 있었습니다.
최원도 또한 이집이 자기를 이해해 줄 것이라 믿고 동네사람들 모르게 이집이 꼭 다시 찾아오리라고 생각하면서
날이 어두워지자 혼자서 집 주위를 뒤져보면서 조용히 불렀습니다.
"친구 어디에 있는가? 나는 원도일세~!"
두 친구는 반갑게 만나게 되었습니다. 이렇게 하여 이집 선생은 최원도의 집 다락방에서 4년 동안의 세월을 보내게
되었습니다.
며칠 뒤에 이집을 잡아 죽이려는 신돈의 무리들이 이집의 친구 최원도가 살고있는 영천고을에 들이 닥쳤는데 물 한
그릇도 주지 않고 둔촌 이집을 내치는 것과 역적이 앉았던 사랑채를 불태웠던 장면을 목격한 마을 사람들의 증언 등으로
무사할 수가 있었습니다.
그런데 다락방 생활이 그렇게 쉬운 것이 아니었습니다. 오로지 최원도 혼자만 알고 가족에게도 비밀로 하자니 여간
힘이 들지 않았습니다.
우선 밥을 고봉으로 눌러 담고 반찬의 양을 늘려도 주인 혼자서 다 먹어 치우는 것이 시중드는 몸종과 부인에게는
매우 이상하게 느껴졌습니다. 그렇게 가져온 밥상은 세 사람이 나누어 먹었다.
낮이면 다락에 숨어 지내다 밤이 되면 한 이불을 덮고 세 사람이 함께 잤습니다.
그런데 최원도의 집에 연아((燕娥, 제비연/예쁠아)라는 얼굴도 이름도 예쁜 19살 계집종이 있었는데, 어느 날 궁금증을
이기지 못한 그녀는 주인이 그 음식을 다 먹는지를 직접 눈으로 확인하려고 문틈으로 엿보다가 깜짝 놀라고 말았습니다.
처음 보는 사람들 둘과 함께 세 명이 식사를 하고 있기 때문이었습니다.
몸종은 최원도의 부인에게 고하였고, 부인은 친구의 부자(父子)라고 생각치 못하고 첩이라도 둔 걸로 생각하고,
“벽장 속에 사람이 있으시면 말씀을 하실 것이지 숨겨 놓으십니까?”라고 하자,
최원도는 친구 부자가 숨은 것을 아는 걸로 착각하여 큰 일이라 생각하여 부인과 몸종에게 사실을 이야기하고 만약에
이 사실이 밖으로 새어 나가면 두 집 가솔들 모두가 멸문의 화를 당할 것이라고 심각한 표정으로 말하였습니다.
한편 연아는 자기의 실수로 주인집이 멸문을 당한다는 것은 도저히 할 수 없는 짓이라고 몇 날을 고민하다가 결국 스스로
자결을 택하고 비밀을 지켰습니다.
최원도 부부는 몸종 연아의 죽음을 안타까워하면서 아무도 모르게 연아를 뒷산에 묻어 주었습니다.
다락방에 은거생활이 1년이 채 되기 전에 이집의 아버지(李唐)가 별세했습니다.
이집의 아버지를 극진히 봉양하던 최원도는 장례를 준비하고 슬퍼함에 있어서도 친부모와 다름없이 하였습니다.
최원도는 자신이 사용하려던 수의를 이당의 시신에 입히고, 자신의 선영에 모셨던 모친의 옆에 이당을 모셨습니다
경상북도 영천시 북안면에 있는 광주이씨 시조 이당(李唐)의 묘가 있습니다.
한편 부패한 신돈이 대중들에게 죽임을 당하고 조정에서는 최원도와 이집을 중용하고자 여러차례 불렀으나 두 친구는
벼슬길에 응하지 않았습니다
각자의 길을 택해서 조용히 학문을 닦으면서 여생을 마쳤습니다.
이집은 경기도 여주로 내려와 이포 강가에서 살면서 시를 지으며 일생을 마쳤습니다.
많은 사람들과 교류하였는데 특히 목은 이색, 포은 정몽주, 도은 이숭인, 김구용 등과 친분이 두터웠습니다.
그리고 신돈의 세력을 피해서 이집 선생이 잠시 머물렀던 둔골은 오늘날 서울 둔촌동의 유래가 되었다고 합니다.
그 후에 세월은 흐르고 흘렀지만 양쪽 가문의 우정은 이어졌습니다.
이집의 후손들이 산 밑에 보은당(報恩堂)이라는 집을 지어 놓고 최원도의 은혜를 추모했다고 합니다. 조선 중기에 영의정을 지낸 한음 이덕형은 선조를 도왔던 최원도 선생께 감사하면서 경상도 도체찰사로 재임시에
위토를 마련하여 두 어르신의 제사를 같은 날 지낼 수 있도록 하였는데, 이런 연유로 600년이 지난 지금까지도 음력
10월 10일이 되면 영천의 나현(蘿峴)에서는 양가가 같은 날에 묘제를 지내면서 서로 상대방의 조상에게도 잔을
올리고 참배합니다.
이당의 묘지 부근에 최원도의 몸종, 연아(燕娥)의 묘와 묘비가 세워졌고, 양쪽 집안 조상의 묘제 때는 비밀을 지키기
위해서 자결한 연아의 무덤인 ‘연아총(燕娥塚)’에도 함께 제사를 지내 주고 있습니다.
참으로 아름다운 우정이죠?
멸문지화의 위험을 무릅쓰면서도 지켜가는 인간의 도리, 이해관계에 따라서 이합집산이 이뤄지는 세태에서 인간이
추구하는 참다운 도리가 무엇인지 돌아보게 만드는 전설같은 실화입니다.
광주이씨 시조공 묘역 (영천시 북안면 도유리산85) 2020년 1월20일
광주이씨 시조공 묘소재실
묘역 전경
최원도 어머니묘
광주이씨고려생원 본조증자헌대부이조판서휘당지묘
광주이씨 시조묘
앞에묘는 광주이씨시조묘
뒷에묘는 최원도 어머니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