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에 대한 요약 : 아님. 되려 건강하다
무수한 사람들이 비만=건강나쁨으로 생각해서 들고온 기사글들이야
☞ 첫번째 기사글
“아시아인 「114만명」 을 대상으로 시행된 「대규모 비만연구」에서 「BMI 22.8~27.5 사이에서 사망률이 가장 낮았다」는 결과를 비춰볼 때 국내 비만기준 BMI를 재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다만 BMI가 27 이하라도 이상지혈증, 고혈압, 당뇨병 등 개인 질병유무나 건강상태에 따라 식사, 운동, 행동수정을 포함한 비만관리는 필요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http://m.docdocdoc.co.kr/news/articleView.html?idxno=173305
☞ BMI 지수
정상체중 범위가 23까지인데
(키-100)*0.9 해서 나오는 결과값이
정상체중 혹은 정상체중보다 좀 낮음
기사에 있는 BMI 27은 경도 비만이 포함된 단위
즉 아시아인은 정상체중에서 가장 높은 무게 ~ 경도 비만까지 사망률이 낮아
☞또 다른 기사
뚱뚱할수록 치매에 안걸린다?…BMI 20 이하 가장 위험
참고 : 서양연구인데 이것도 사망관련 연구가 있음
내용
체중과 알츠하이머 치매 사이에는 역관계가 존재함을 보여주는 대규모-장기간의 조사결과가 나왔습니다.
(생략)
조사시작 때 연령이 45~66세이고 치매증세가 없었던 「195만 8천191명」을 대상으로 「평균 9년에 걸쳐」 진행한 조사분석 결과 이 같은 사실이 밝혀졌다는 것입니다.
조사기간 중 약 4만 5천 명이 치매 진단을 받았습니다.
치매 발생률이 가장 높은 그룹은 BMI가 20 이하인 사람들이었습니다.
이들은 BMI가 정상범위(20~24.9)인 그룹에 비해 치매 발생률이 평균 34% 높았습니다.
BMI 20이하 그룹은 또 BMI 26~27로 가벼운 과체중에 속하는 그룹과 비교했을 때 치매 발생률이 64%나 높았습니다.
치매 발생률은 BMI가 올라 갈수록 점점 낮아져 BMI가 40이상으로 초고도 비만에 해당하는 그룹은 BMI가 정상범위인 그룹에 비해 29% 낮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생략)
이는 비만이 치매 위험을 높이는 것으로 나타난 많은 다른 연구결과들과는 어긋나는 것이지만, 지금까지 나온 결과들은 이번보다 10배 이상 적 은 사람들을 대상으로 한 것인데다 증거가 약하고 일관성이 없다는 사실을 키질바시 박사는 지적했습니다.
그는 또 이 연구결과가 연령, 성별, 흡연, 음주, 뇌졸중 또는 심근경색 병력, 고혈압, 고지혈증 등 다른 많은 치매 위험요인들을 고려한 것이라는 점을 강조했습니다.
그의 연구팀은 이와 함께 체중과 사망률의 관계도 분석했습니다.
그 결과 저체중 그룹이 사망위험이 가장 높았고 그다음이 초고도 비만 그룹이었습니다.
또 약간 과체중인 그룹이 정상체중 그룹에 비해 사망위험이 조금 낮았습니다.
BMI가 26인 그룹이 사망위험이 가장 낮았습니다.
https://www.mk.co.kr/news/it/view/2015/05/417026/
☞ 또 다른 기사
또 다른기사 ▷
체질량지수(BMIㆍBody Mass Index)가 사람의 전반적인 건강을 결정하는 방법으로는 정확하지 못하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이 때문에 미국에서만 BMI가 높은 것으로 나온 5400만명이 넘는 사람들이 '건강하지 못한' 것으로 낙인이 찍혀 보험료 등 건강관리 비용에서 손해를 본다는 것이다. BMI는 체중(㎏)을 키의 제곱(㎡)으로 나눈 값이다. 지난 160년간 비만도를 판단하는 주요 기준으로 사용되어 온 BMI는 저체중(18.5 미만), 정상 체중(18.5~22.9), 과체중(23~25), 비만(25 이상)으로 분류된다.
미국 캘리포니아대학교 로스앤젤레스 캠퍼스 연구팀은 최근 미국에서 실시된 국민건강영양조사를 토대로 자료를 분석했다. 그 결과, BMI에 따라 3440여만 명이 '과체중'으로 1980여만 명이 '비만'으로 분류됐지만, 이들은 건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팀은 “여기에 ‘정상’ 판정을 받은 사람들 중 30%가 혈압이나 혈당, 콜레스테롤, 중성지방 수치를 고려했을 때 건강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연구팀의 자넷 토밀야마는 “많은 사람들이 비만을 사망 선고로 보는 경향이 있다”며 “하지만 연구결과, 과체중이나 비만 판정을 받은 수천만 명의 사람들이 완벽하게 건강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말했다.
http://kormedi.com/1217765/bmi는-엉터리-뚱뚱-판정-5천만-완벽-건강/
동양이든 서양이든 과체중이 건강한걸로..
물론 이는 수많은 사람들이, 보편적으로 그렇단거지 모두가 그렇단말은 아님
그리고 이건 꽤 아는 사람들이 있는말이고
위의 치매 기사에도 일부 나온말같지만
저체중보단 초고도가 건강함
그러므로 굳이 남의 건강에 입을 대고 싶다면
살찐것보단 마른걸 걱정해야되는게 일반적이지만
현실은 비만한 여성이 싫은건지 비만만 자꾸 건강 운운함
아! 참고로 당뇨의 경우 슬픈 사실은
아시아인들중엔 살이 잘찌지 않는 체질이 많아서
서양인들은 당뇨로 가기전 신체 방어기제로 살이 찌는데
아시아인들은 살찌는 과정없이 당뇨로 널뛰는 사람이 많대 바로 나빠진단 소리임
첫댓글 ㅇㅋㅇㅋ나 그래서 건강
나 오래살겠네
ㅇㅋ 일단 살 빼는 거 보류
적당한 지방은 진짜 필요해 몸에ㅠ 너무 많은 건 당연히 건강에 안 좋지만
ㅅㅂ뭔짓을해도 살이 안찜..ㅠ
하, 뿌듯한 뚱이. 잘 살아왔네!
삭제된 댓글 입니다.
ㄱㅆ 댓쓴이의 댓글이 "내경우는 이렇고 모든 사람들이 비만일때 건강한건 아니"란 소리였으면 당연히 지나쳤겠지만 본인케이스로 제목에 아예 동의 못한단말 같아서 댓글 달아!
기사글도 그렇고 내가 마지막에도 적었지만~ 모두가 아니라 수많은 사람들이 통계상 보편적으로 경도비만까지 건강할거란거지 어떻게 다 그렇다고하겠어 본인 얘기를 하니까 나도 내얘기를 말하면 내주변에선 살찌고 미용상 마음은 불편하지만 최고 건강하다고 가지고있던 증상들이 신기하게 사라졌다고 그런애들이 있어
아ㅇㅋ 유지한다
나 정상체중에서 적은편이고 지방률이 비만 간당하게 안되는 경도비만인데 그것도 약간 살빠졌을 때 잰거라 한참 먹을 때로 치면 비만 초반 찍을거 같은데 나 같은 경우는 저기에 정상체중 범위에 안들고 걍 건강 안좋은건가?...ㅜ
아니 저는 좀 빼면 딱 좋겠는데요 고체중정도면 딱이라는데 왤케 안빠져 ㅅㅂ
여성에게만 강요되는 다이어트라거나 건강나쁘단걸 비만에게만 씌우는 현상이 우려되는거지
통계가 모든 사람을 말하는건 아니니까! 나처럼 말랐다고 모두 건강이 안좋은건 아닐거라고 생각해 뭐든지 사바사잖아 정확한건 의사와 기계나 본인이 더 잘알거라고 생각해!
ㅈㄴ ㄹㅇ 걍 뚱뚱한여자가 싫은거임 비만율기사는 있어도 저체중율 기사는 잘 안쓰임 나 키163에 51인데 정상체중 근데 내 몸은 갈비뼈 드러나고 365일 빈혈임 근데 사람들에게 몸무게 예기하면 생각보다 많구나 ㅇㅈㄹ
마른건데 많다니 요즘 진짜 각박하다 모델을 원하나 생각보다 마른건 또 뭐래 별걸 다 따지는 프로까탈러네 근데 나도 솔까 날때부터 저체중이지만 비만율 기사만 넘실거리고 비만인 여성들한테만 가스라이팅 쩔어서 분노해 저체중은 어쩌다가 뭐라해봤자 좋다해주는 사람들이 더 많아 비만은 뭐라하는 사람들이 너무 많아서 공식적인 수준이고 쉴드도 없어 쉴드래봤자 순수 쉴드인지 기분나쁜 동정인지 걸러내면 있긴하는지 긍정적인 얘기는 기대도 할수없어 비만에 긍정적인 얘길하면 반박들이 쏟아지지만 비만이 나쁘단말엔 반박이 없어 진짜 존나 환멸나 본문 기사글은 표본도 존나 많고 동양서양 다 있는거라 들고온거야 널리 알려지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