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뉴타운 사업 추진현황 및 계획(05. 9. 2. 현재) |
뉴타운 사업 추진현황 및 계획 |
|
- 목 록 - |
1차 뉴타운지구별 전략사업 - 시범뉴타운
2차 뉴타운지구별 전략사업
3차 뉴타운지구별 전략사업
|
|
|
|
사업 유형 |
위 치 |
주거 중심형 |
성북구 길음동 624번지 일대(95만㎡) |
도 심 형 |
성동구 상왕십리동 440번지 일대(32만 4천㎡) |
신시가지형 |
은평구 진관내·외동, 구파발동 일대(359만 3천㎡) | |
|
|
|
리조트같은 생태전원도시 |
이 지역은 지난 30여년간 개발제한구역 및 군사시설 보호구역으로 지정되어 주거환경이 열악할 뿐 아니라 도시기반시설이 절대적으로 부족하여 종합적이고 계획적인 개발이 필요했던 곳입니다. 이제 주거·업무·문화·공공시설 등을 고루 갖춘 신 시가지형 뉴타운으로 새롭게 변신합니다. | |
|
■ 위 치 : 은평구 진관내 · 외동, 구파발동 일대 ■ 면 적 : 349만 5천㎡(105만5천평) ■ 건립예정 : 14,000가구, 39,200명 ■ 지역특성 : 개발제한구역, 자연녹지지역, 군사시설보호구역 ■ 사업기간 : 2002.10 ~ 2008.12 ■ 개발방식 : 도시개발법에 의한 도시개발사업(공영개발) ■ 개발방향 : 주거·생태·문화·상업 등의 복합도시기능을 가진 환경친화적인 리조트형 생태전원도시로 조성
■ 추진계획 ○ 전체를 3단계로 구분, 단계별로 시행 ○ 우선 시행 구역(1구역 75만㎡) 계획 : 4,375가구 공동주택 4,304가구, 단독 71가구, (12,600명) 건립
■ 추진경위 ○ 뉴타운사업지구 결정 : 2002. 10. 18 ○ 개발기본구상(안) 발표 : 2003. 4. 14 ○ 주민공정회 개최 : 2003. 7. 11 ○ 도시개발구역지정 승인(건설교통부) : 2003. 12. 30 ○ 개발제한구역 해제고시(서울시) : 2004. 2. 10 ○ 도시개발구역 지정고시 : 2004. 2. 25 ○ 은평뉴타운 홍보전시관 개관 : 2004. 3. 24 ○ 1구역 보상계획 공고 : 2004. 6. 24 ○ 이주대책기준 공고 : 2004. 10. 19 ○ 1지구 협의보상 : 2004. 10. 29 ~ 12. 3 ○ 1지구 부지조성공사 착공 : 2004. 12. 23 ○ 2지구 보상계획 공고 : 2005. 3. 29 ○ 1지구 주택건설업체 선정 : 2005. 4. 6 ○ 2지구 주택건설업체 선정 : 2005. 6. 21
■ 향후 추진일정 ○ 2지구 주택건설사업계획 승인 : 2005. 9. ○ 3지구 보상계획공고 : 2005. 10. ○ 3지구 실시계획인가 : 2005. 12. ○ 1지구 분양계획 공고 : 2006. 2. ○ 3지구 주택건설사업계획 승인 : 2006. 4. ○ 1지구 주택건설사업 준공 : 2007. 6. ○ 2지구 주택건설 준공 : 2008. 7. ○ 3지구 주택건설 준공 : 2008. 12.
■ 개발효과 ○ 개발제한구역내 낙후지역 시가지를 종합적으로 개발ㆍ정비하여 쾌적하고 편리한 생활환경 조성 ○ 임대주택 공급 등을 통한 서민 주거생활 안정기여
※ 현장사무소 및 홍보관 개관 운영 - 개관일 : 2004.3.24 - 장 소 : 구파발삼거리 환승 주차장 내 - 홍보내용 : 개발모형, 은평역사문화 등 뉴타운관련 홍보자료 전시 - 운영현황 : 관람자 12,815명, 민원방문자 5,728명, 전화민원 34,945건 ※ 뉴타운사업1반 : (100-110)서울시 중구 덕수궁길 15(서소문동 38) 문의전화 6321-4357~8 |
|
 |
|
|
|
보행중심의 쾌적한 녹색타운 |
길음 뉴타운은 뉴타운지구 지정 이전부터 재개발 사업이 활발하게 이뤄지고 있던 지역입니다. 인수로 중심의 생활권을 유지하기 위해 주거와 저층의 상가가 복합된 연도형 상가를 조성할 계획이며, 재개발 사업구역별로 부대복리시설, 근린생활시설을 집중 배치하는 한편, 대형 가로공원이 조성됩니다. 보행 중심의 녹색타운으로 조성되는 길음 뉴타운은 사업 완료 후 쾌적한 주민 커뮤니티로 다시 태어 납니다. | |
|
■ 위 치: 성북구 길음동 624번지, 정릉 170번지 일대 ■ 면 적: 95만㎡(28만 7천평) ○ 9개 재개발구역(완료 3, 시행중 5, 미시행 1) ■ 건립규모 : 14,100가구, 39,500명 ■ 사업기간 : 02.10 ~ 08.12
■ 사업방식 ○ 도시기반시설 설치 : 공공 ○ 주택재개발 사업 : 민간 ※ 미시행 구역에 대하여 시·구가 구역지정(사업)계획 수립 지원
■ 도시기반시설 지원 내용 ○ 서경대 진입로 확장(B=8m ~ 15m, L=740m) ○ 학교부지 1개소 확보(신설학교) ○ 소공원(4개소) |
■ 추진경위 ○ 뉴타운개발 계획 수립 : 2002. 10 ~ 2003. 10 ○ 개발계획(안) 주민설명회 개최 : 2003. 8. 26 ○ 도시및주거환경정비 기본계획고시 : 2004. 2. 5 ○ 도시계획시설 보상업무 착수(성북) : 2004. 2. 29 ○ 길음뉴타운 착공행사 실시(5구역 재개발사업현장) : 2004. 3. 25 ○ 길음 2·4구역 준공 입주(4,231세대) : 2005. 4. 20 ⇒ 뉴타운 최초 ○ 길음 7·8·9구역 정비구역지정 : 2005. 5. 12 |
 | |
■ 향후 추진일정 ○ 서경 진입로 보상 및 공사 : 2004. 7 ~ 2005. 12 ○ 재개발아파트 건립 추진 : 2005. 1 ~ 2008. 12
■ 사업효과 ○ 도시기반시설 확충으로 주거환경개선 및 생활편익 도모 ○ 재개발 사업기간 최대한 단축
※ 길음재개발 2·4구역 준공 입주 ⇒ 서울시 뉴타운 최초 - 준공일시 : 2005. 4. 20 - 준공 대상 : 2개 구역 4,231세대 · 길음2구역 (2, 3단지) : 36동 2,350세대 (대우아파트) · 길음4구역 (4 단지) : 26동 1,881세대 (대림아파트) - 행정센터 개관 : 동사무소, 어린이 집 - 특징 · 보행 중심의 녹색타운 ⇒ 단지간 수림대 및 녹도 조성 · 지표차를 이용한 자연 산책로, 벽천, 인공폭포 등 설치 · Total Design 개념을 도입한 경관과 미관을 갖춘 타운 조성 ※ 뉴타운사업1반 : (100-110)서울시 중구 덕수궁길 15(서소문동 38) 문의전화 6321-4357~8 |
|
 |
|
|
|
청계천과 조화를 이루는 친환경적 도심커뮤니티 |
왕십리 뉴타운은 지형을 따라 자연발생적으로 형성된 길과 저층, 고밀도의 다세대, 다가구 및 노후 불량주거지가 위치하여 주거환경 개선이 시급히 필요한 지역으로 최근 청계천 복원 계획구간과 연접하고 있어 개발에 대한 필요가 더욱증대되어 왔습니다. 왕십리 뉴타운은 내외부가 상호개방되고 청계천과 중앙보행몰, 내부순환 가로공원, 상왕십리역을 이어 주는 보행녹도, 입체 녹화된 건물을 중심으로 도심속의 전원도시로 개발됩니다. | |
|
1. 지역현황 및 특수성 |
|
■ 지역현황 ○ 위 치 : 성동구 하왕십리동 440번지일대(33만 7천㎡, 10만 2천평) ○ 인 구 : 5,000세대(세입자 3,620세대), 14,000명
■ 지역의 특수성 ○ 토지이용 및 공간구조 불합리 - 지구 외곽은 노선상업지역(12m)으로 상업용지 역할 미흡 - 주거ㆍ상업ㆍ공업용도가 불합리하게 혼재 - 기계/금속업종 660여개 업소 밀집 ○ 재개발여건 미흡 - 호수밀도가 61~71호/ha에 불과(법정기준 : 70호/ha이상) - 거주자 중 세입자 비율이 80%로 사업성 낮음 |
|
2. 개발방향 |
|
■ 주거ㆍ상업ㆍ업무 기능이 복합된 도심형 주거단지 조성 ○ 내부 주거단지, 외곽 상업ㆍ업무시설, 중앙 연도형 상가
■ 다양한 계층, 다양한 세대가 더불어 사는 커뮤니티 조성 ○ 다양한 주거유형과 공공시설 복합화
■ 지역특성에 맞는 환경 친화적 개발 ○ 옛길을 재생한 생활 녹도, 보행몰 설치 등 |
|
3. 개발계획의 주요내용 |
|
■ 계획지표 : 5,000세대, 14,000명 ○ 주거단지 : 5 ∼ 25층, 용적률 220%, 4,700세대 ○ 상업용지 : 15 ∼ 25층, 용적률 600%, 300세대(주상복합)
■ 공공시설 설치계획 ○ 학 교 : 초등학교와 중ㆍ고등학교 각 1개교(도심형 학교) - 학교내 수영장, 체육관, 정보화도서관 등 시설복합화 설치 ○ 지구복합센터 설치 - 행정지원시설 : 동사무소, 파출소, 우체국 - 주민복지시설 : 어린이집, 유치원, 주민자치쎈타 ○ 공원과 녹지 네트워크 - 중앙 가로공원 : 폭 16m, 길이 500m - 지구순환 보행녹도 : 폭 8m, 길이 1,500m - 어린이공원, 쌈지공원 : 7개소
■ 건축계획 ○ 주거단지 - 용 적 률 : 220%(주택재개발기본계획상 용적률 적용) - 층 수 : 5층 ∼ 25층 - 중정형, 탑상형, 연도형, 주상복합등 다양한 주거형태 도입 ○ 상업용지 - 용 적 률 : 600% - 층 수 : 왕십리길 15층 ∼ 20층, 청계천변 20 ∼ 25층 ○ 경관계획 - 청계천변 수면측 연계배치 - 왕십리길 보행 축 형성, 차폐율 계획 - 주거단지에서 열린 경관조망 축 설정
■ 주상복합 건립계획 ○ 규 모 : 지하4층, 지상25층, 용적율 567.5% ○ 임대주택69세대, 오피스텔 28unit, 근린생활시설 ○ 사업기간 : 2004. 4 ~ 2007. 11
■ 역세권 개발계획 ○ 규 모 : 20층이상, 용적률 500%내외 ○ 용 도 : 판매시설, 운동시설, 문화시설, 업무시설 ○ 공개공지 및 광장을 통해 지하철역과 지구내 보행녹도와 연계 |
|
4. 추친경위 |
|
■ 개발기본계획 구상(안) 주민설명회 개최 : 2003. 8~9(3회) ■ 개발기본계획 확정 및 발표: 2003. 10. 29 ■ 도시계획위원회개최(지구단위계획구역 지정, 용도지역 변경) : 2004. 2. 4 ■ 도시관리계획 결정고시 : 2004. 4. 10 (제1종 지구단위계획 구역지정 , 용도지역 변경) ■ 주상복합건물 공사착공 시공사 선정 : 2004. 4. 15 ■ 지구단위계획 결정 : 2004. 5. 31 (1종 지구단위계획) ■ 재개발 추진위원회 설립승인 (3구역) : 2004. 2 ~ 8 ■ 주상복합건물 착공 : 2004. 11. 12 ■ 2·3구역 정비구역 지정 신청 : 2004. 12 ~ 2005. 3. |
|
5. 향후 추진일정 |
|
■ 정비구역 지정(1·2·3구역) : 2005. 12. ■ 재개발아파트 건립추진 : 2005. 1 ~ 2008. 12 ■ 사업지역 신축 : 2005. 1 ~ 2008. 12 |
|
※ 뉴타운사업1반 : (100-110)서울시 중구 덕수궁길 15(서소문동 38) 문의전화 6321-4357~8 |
|
|
 |
|
|
|
|
|
구분 |
전략 정비사업 |
전략 도시계획시설사업 |
사 업 명 |
시행면적 |
사업방식 |
시설명 |
사업개요 |
계 |
18개 구역 |
1,326천㎡ |
|
|
8개소 |
교 남 |
교남1구역 |
152 |
도시환경정비 |
공원조성 |
1개소, A=10.6천㎡ |
전 농 |
전농2구역 |
151 |
주택재개발 |
도로확장 |
B=18~26m, L=458m |
전농4구역 |
147 |
주택재개발 |
미 아 |
강북5구역 |
70 |
주택재개발 |
도로개설 |
B=12m, L=420m |
강북6구역 |
76 |
주택재개발 |
산책로조성 |
B=8m, L=480m |
가 좌 |
가좌1구역 |
20 |
주택재개발 |
- |
- |
가좌2구역 |
26 |
주택재개발 |
아 현 |
아현2구역 |
57 |
주택재건축 |
도로확장 |
B=20m, L= 45m |
아현3구역 |
210.7 |
주택재개발 |
공덕5구역 |
41.5 |
주택재개발 |
신 정 |
신월1구역 |
235.6 |
주택재건축 |
도로확장 |
B=25m, L= 55m |
영등포 |
영등포 2구역 |
5 |
도시환경정비 |
- |
- |
영등포 4구역 |
58 |
도시환경정비 |
영등포22구역 |
5 |
도시환경정비 |
노량진 |
노량진1구역 |
17.6 |
주택재개발 |
공원조성 |
1개소, A=4천㎡ |
신노량진시장 |
6 |
시장재개발 |
천 호 |
천호1구역 |
38 |
도시환경정비 |
도로신설 및 확장 |
B=15m, L=64m |
천호2구역 |
10 |
주택재건축 | |
|
<촉진지구별 전략사업> |
구분 |
전략 정비사업 |
전략 도시계획시설사업 |
사 업 명 |
시행면적 |
사업방식 |
시설명 |
사업개요 |
계 |
11개 구역 |
480.6천㎡ |
|
|
3개소 |
청량리 |
청량리구역 |
25 |
도시환경정비 |
도로확장 |
B=8~32m, L=226m |
전농구역 |
31 |
도시환경정비 |
미 아 |
강북1구역 |
4.5 |
도시환경정비 |
도로확장 |
B=6→15m, L=226m |
강북2구역 |
19.5 |
도시환경정비 |
성북1구역 |
15.8 |
도시환경정비 |
성북2구역 |
23.6 |
도시환경정비 |
홍 제 |
홍제1구역 |
36 |
도시환경정비 |
|
|
홍제2구역 |
4 |
도시환경정비 |
홍제3구역 |
6.3 |
도시환경정비 |
합 정 |
합정1구역 |
35.9 |
도시환경정비 |
|
|
가리봉 |
가리봉구역 |
279 |
도시환경정비 |
도로확장 |
B=25m, L=272m | |
|
|
|
□ 사 업 개 요 |
|
○ 위 치 : 종로구 평동 164일대( 200천㎡) ○ 건립규모 : 2,315호 ( 6,500명) |
|
□ 개 발 계 획 - 계획정비(83%), 계획관리(6%), 자율정비(11%) |
 |
|
□ 전 략 사 업 |
|
구 분 |
사업명(구역명) |
면적(천㎡) |
정비사업 |
도시환경정비사업(교남1) |
152 전체면적의 76% 계획정비의 92% |
공공지원기반시설 |
기상관측소주변 공원조성 |
10.6 (사업비 : 260억) | |
|
|
|
□ 사 업 개 요 |
|
○ 위 치 : 동대문구 전농1·4동, 답십리 1·3·5동( 904천㎡) ○ 건립규모 : 13,900호 ( 34,900명) |
|
□ 개 발 계 획 - 계획정비(50%), 계획관리(25%), 자율정비(25%) |
 |
|
□ 전 략 사 업 |
|
구 분 |
사업명(구역명) |
면적(천㎡) |
정비사업 |
주택재개발(2구역) |
151 |
전체면적의 76% 계획정비의 92% |
주택재개발(4구역) |
147 |
공공지원기반시설 |
도로확장 |
폭=18~26m, 길이=458m (사업비 : 30억) | |
|
|
|
□ 사 업 개 요 |
|
○ 위 치 : 강북구 미아동 1268일대( 606천㎡) ○ 건립규모 : 11,444호 ( 28,000명) ※ 정비사업구역내 : 4,100호(12,788명) |
|
□ 개 발 계 획 - 계획정비(38%), 자율정비(62%) |
 |
|
□ 전 략 사 업 |
|
구 분 |
사업명(구역명) |
면적(천㎡) |
정비사업 |
주택재개발(강북5) |
70 |
전체면적의 24% 계획정비의 63% |
주택재개발(강북6) |
76 |
공공지원기반시설 |
도로개설(지구단위이면) |
폭=12m, 길이=420m (사업비 : 94억) |
산책로 조성 |
폭= 8m, 길이=480m (사업비 : 13억) | |
|
|
|
□ 사 업 개 요 |
|
○ 위 치 : 서대문구 남가좌·북가좌동 일원 (1,070천㎡) ○ 건립규모 : 20,540호 ( 52,800명) |
|
□ 개 발 계 획 - 계획정비(53%), 계획관리(17%), 자율정비(30%) |
 |
|
□ 전 략 사 업 |
|
구 분 |
사업명(구역명) |
면적(천㎡) |
정비사업 |
주택재개발(가좌1구역) |
20 |
전체면적의 4% 계획정비의 8% |
주택재개발(가좌2구역) |
26 | |
|
|
|
□ 사 업 개 요 |
|
○ 위 치 : 마포구 아현동 633번지 일원 ( 1,088천㎡) ○ 건립규모 : 12,355호 ( 45,000명) |
|
□ 개 발 계 획 - 계획정비(48%), 계획관리(10%), 자율정비(42%) |
 |
|
□ 전 략 사 업 |
|
구 분 |
사업명(구역명) |
면적(천㎡) |
정비사업 |
주택재건축(아현2) |
57 |
전체면적의 28% 계획정비의 59% |
주택재개발(아현3) |
210.7 |
주택재개발(공덕5) |
41.5 |
공공지원기반시설 |
도로개설(아현동 291-8) |
0.9(폭=20, 길이=45) (사업비 : 60억) | |
|
|
|
□ 사 업 개 요 |
|
○ 위 치 : 양천구 신월2동 612, 신월6동 555일대 ( 700천㎡) ○ 건립규모 : 11,650호 ( 32,600명) |
|
□ 개 발 계 획 - 계획정비(54%), 계획관리(13%), 자율정비(33%) |
 |
|
□ 전 략 사 업 |
|
구 분 |
사업명(구역명) |
면적(천㎡) |
정비사업 |
주택재개발(신월1) |
235.6 전체면적의 34% 계획정비의 63% |
공공지원기반시설 |
도로개설 |
1.7(폭=25, 길이=55) (사업비 : 130억) | |
|
|
|
□ 사 업 개 요 |
|
○ 위 치 : 강서구 방화동 609 일대 ( 490천㎡) ○ 건립규모 : 7,530호 ( 19,350명) |
|
□ 개 발 계 획 - 계획정비(7%), 계획관리(75%), 자율정비(18%) |
 |
|
□ 전 략 사 업 |
|
구 분 |
사업명(구역명) |
면적(천㎡) |
정비사업 |
주택재건축(긴등마을) |
33 전체면적의 7% 계획정비의 100% | |
|
|
|
□ 사 업 개 요 |
|
○ 위 치 : 동작구 노량진 1·2동, 대방동 일대 ( 762천㎡) ○ 건립규모 : 13,500호 ( 31,000명) |
|
□ 개 발 계 획 - 계획정비(10%), 계획관리(55%), 자율정비(35%) |
 |
|
□ 전 략 사 업 |
|
구 분 |
사업명(구역명) |
면적(천㎡) |
정비사업 |
주택재개발(노량진1) |
17.6 |
전체면적의 4% 계획정비의 35% |
주택재건축(은하연립) |
3 |
시장재개발(신노량진시장) |
6 |
공공지원기반시설 |
송학근린공원 조성 |
4 (사업비 : 78억) | |
|
|
|
□ 사 업 개 요 |
|
○ 위 치 : 영등포구 영등포동 2가·5가·7가일대 ( 228천㎡) ○ 건립규모 : 2,200호 ( 6,160명) |
|
□ 개 발 계 획 - 계획정비(100%) |
 |
|
□ 전 략 사 업 |
|
구 분 |
사업명(구역명) |
면적(천㎡) |
정비사업 |
도시환경정비사업(2블럭) |
4.6 |
전체면적의 30% 계획정비의 30% |
도시환경정비사업(4블럭) |
58.5 |
도시환경정비사업(22블럭) |
4.6 | |
|
|
|
□ 사 업 개 요 |
|
○ 위 치 : 강동구 천호동 362-60일대 ( 412천㎡) ○ 건립규모 : 6,400호 ( 16,000명) |
|
□ 개 발 계 획 - 계획정비(12%), 계획관리(56%), 자율정비(32%) |
 |
|
□ 전 략 사 업 |
|
구 분 |
사업명(구역명) |
면적(천㎡) |
정비사업 |
도시환경정비사업(1구역) |
38 |
전체면적의 12% 계획정비의 100% |
주택재건축(2구역) |
10 |
공공지원기반시설 |
도로개설(천호동 373-1) |
1.0(폭=15, 길이=64) (사업비 : 32억) | |
|
|
|
□ 사 업 개 요 |
|
○ 위 치 : 동대문구 용두·전농동 일대 (376천㎡) ○ 시설계획 : 업무,판매,문화,주거,의료 복합개발 |
|
□ 개 발 계 획 - 계획정비(46%), 자율정비(54%) |
 |
|
□ 전 략 사 업 |
|
구 분 |
사업명(구역명) |
면적(천㎡) |
정비사업 |
도시환경정비사업(청량리) |
25 |
전체면적의 12% 계획정비의 32% |
도시환경정비사업(전농구역) |
31 |
공공지원기반시설 |
도로확장(전농동625-3) |
폭=8~32m, 길이=226 (사업비 : 190억) | |
|
|
|
□ 사 업 개 요 |
|
○ 위 치 : 성북구 하월곡동 88일대 및 강북구 미아동 70일대(478천㎡) ○ 시설계획 : 상업,업무,문화,주거 복합개발 |
|
□ 개 발 계 획 - 계획정비(21%), 계획관리(47%), 자율정비(32%) |
 |
|
□ 전 략 사 업 |
|
구 분 |
사업명(구역명) |
면적(천㎡) |
정비사업 |
도시환경정비(강북1구역) |
4.5 |
전체면적의 13% 계획정비의 100% |
도시환경정비(강북2구역) |
19.5 |
도시환경정비(성북1구역) |
15.8 |
도시환경정비(성북2구역) |
23.6 |
공공지원기반시설 |
미아로~종암로 연결도로 확장 |
폭 : 6m → 15m 길이 : 275m (사업비 : 85억) | |
|
|
|
□ 사 업 개 요 |
|
○ 위 치 : 서대문구 홍제동 330번지 일대(187천㎡) ○ 시설계획 : 상업, 업무, 문화, 주거 복합개발 |
|
□ 개 발 계 획 - 계획정비(40%), 계획관리(16%), 자율정비(44%) |
 |
|
□ 전 략 사 업 |
|
구 분 |
사업명(구역명) |
면적(천㎡) |
정비사업 |
도시환경정비사업(홍제1) |
36.0 |
전체면적의 25% 계획정비의 100% |
도시환경정비사업(홍제2) |
4.0 |
도시환경정비사업(홍제3) |
6.3 | |
|
|
|
□ 사 업 개 요 |
|
○ 위 치 : 마포구 합정동 419번지 일대(298천㎡) ○ 시설계획 : 상업, 업무, 문화, 주거 복합개발 |
|
□ 개 발 계 획 - 계획정비(16%), 계획관리(16%), 자율정비(68%) |
 |
|
□ 전 략 사 업 |
|
구 분 |
사업명(구역명) |
면적(천㎡) |
정비사업 |
도시환경정비사업(합정1) |
35.9 전체면적의 12% 계획정비의 100% | |
|
|
|
□ 사 업 개 요 |
|
○ 위 치 : 구로구 가리봉동 125번지 일대(279천㎡) ○ 시설계획 : 상업, 업무, 문화, 주거 복합개발 |
|
□ 개 발 계 획 - 계획정비(100%) |
 |
|
□ 전 략 사 업 |
|
구 분 |
사업명(구역명) |
면적(천㎡) |
정비사업 |
도시환경정비사업(가리봉구역) |
279 계획정비의 100% 전체면적의 100% |
공공지원기반시설 |
도로확장(디지털단지로) |
폭 : 25m 길이 : 272m (사업비 : 110억) | |
※ 남부순환도로 지하화 : 별도검토 |
|
|
|
|
|
- 뉴타운 9개소(2개소는 추후 별도선정), 촉진지구 3개소 추가 선정으로 - 강북 등 낙후지역 균형발전과 난개발 방지 및 고품격의 주거환경 토대 조성
■ 서울시는 ‘05년 3월까지 각 구청으로부터 접수한 38개 3차 뉴타운 및 촉진지구에 대하여 ○ ‘05. 5. 30일 까지 전 지구에 대해 관계 전문가, 유관부서 등 합동으로 현장을 실사하고 ○ ‘05. 7. 5일 부터 ’05. 8. 26일 까지 전문가 등으로 구성된 지역균형위원회에서 3회에 걸친 장시간 마라톤 토론과 심도있는 심사를 거쳐 ‘05. 8. 29(월) 후보지를 선정·발표하게 되었다.
■ 후보지 선정기준으로 ○ 뉴타운 지구는 - 개발잠재력이 높고 지구지정 후 조기에 사업이 계획대로 실현되는데 가장 적합한 지구를 선정하기 위하여 - 개발가능면적 비율, 노후도, 접도율, 도시 및 주거환경정비 기본계획 반영면적 비율 등 객관적이고 계량적 인 기준과 함께 - 지구의 정형성, 공공기반시설 설치 수요, 계획적인 도시관리의 필요성 등 정성적인 여건을 종합검토 하였 고, ○ 균형발전촉진지구는 개발잠재력, 중심지 체계, 용도지역 현황 등을 종합적으로 평가하여 결정하였다
■ 금번 후보지 선정결과 ○ 3차 뉴타운 후보지로 - 종로구 창신, 노원구 상계, 은평구 수색, 서대문구 북아현, 금천구 시흥, 영등포구 신길, 동작구 흑석, 관 악구 신림, 송파구 거여·마천 등 9개 지구는 우선 발표하고 - 2개 지구(후보지를 2개소 이상 신청한 동대문구와 성북구 각 1개소)는 현장의 특성을 보다 면밀하게 비교 검토하는데 시간이 더 필요하여 추후 별도 발표할 계획이다. ○ 2차 균형발전촉진지구는 광진구 구의지구중심, 중랑구 망우지역중심, 강동구 천호지역중심 등 3개소가 선정 되었다.
■ 향후 계획 ○ 해당 자치구는 지역주민의 의견을 충분히 수렴하고 개발구상안을 마련하여 서울시에 뉴타운 지구지정 신청을 하게 되며, 신청안에 대해 지역균형발전위원회의 심의 등을 거쳐 지정 여부를 최종 결정하게 된다. - 지정 신청은 준비된 자치구부터 9월부터 신청할 것으로 예상되며, 금년 내에 지정을 모두 완료하고 내년 중반기까지 개발기본계획을 수립할 계획이다. - 금번에는 개발기본계획은 지구 주변 지역을 포함하여 생활권 단위로 계획을 수립토록 하되 지구의 정형성, 생활권등을 종합 감안하여 필요한 경우 지구경계를 합리적으로 재조정토록 하거나 주변 자연경관과 어울 리는 건축계획을수립토록 하는 등 후보지 선정조건을 부가하여 지구지정의 합리성을 높이도록 하였다.
■ 개발이익 환수 및 부동산 투기방지 대책 ○ 뉴타운 사업은 개발이익 환수를 전제로 충분한 공공용지를 확보(평균26%)하게 되므로 기존의 개별 재개발/ 재건축사업 보다 개발부담이 과중한 실정이었으나 ※ 기존 평균 공공용지율 : 재개발 15%, 재건축 5% ○ 금번 새로 지정하는 3차 뉴타운부터는 개발이익을 보다 적극적이고 형평성있게 공공이 환수하고 과도한 지가 상승을억제하기 위하여 - 사업초기 기준으로 지구(구역)별 예상되는 개발이익을 산정하고 - 기준 개발이익을 초과 할 것으로 예상되는 지구에 대해서는 공공용지를 보다 많이 확보하거나 임대아파트 건립규모를 증대토록 할 계획이다. ※ 이와 별도로 고품격 도시 건설에 필요한 공공시설을 충분히 확보하느라 개발이익이 적정수준에 미달되는 지역은 적극적인 공공지원으로 사업을 촉진시키는 등 개발이익 배분의 균형을 유지할 계획임. ○ 강북 등 낙후지역의 종전 지가가 현저히 낮은 상황을 고려할 때 ※ 주거지역 평균지가(평당) : 강남구 1,139만원, 강북구 355만원, 금천구 333만원 - 고품질의 개발에 대한 기대가치로 어느 정도의 지가상승은 불가피하나 과도한 지가상승은 원활한 사업시행 에 결정적인 걸림돌이 되는 등 문제를 유발하게 되므로 ○ 뉴타운 지구내 토지에 대해서는 토지거래허가제도가 내실있게 운영될 수 있도록 모든 토지에 대하여 거래허 가를 받도록 하고(정부에 기건의) - 투기지역, 주택거래 신고지역 지정 등에 의한 투기감시 활동과 함께 조세정책 등을 총동원하여 투기를 방 지할 계획이다.
■ 뉴타운 지구 내 우수고교 유치 적극 추진 ○ 강북지역의 교육환경을 개선하기 위해 뉴타운 사업과 연계하여 자립형 사립고를 적극 유치할 계획이다. - 우선 3개 권역별(서북권, 서남권, 동북권)로 나누어 자립형사립고 3개교 정도를 조속히 설치하여 고교 평 준화보완책으로 활용하고 - 기타 지역도 우수고(특목고 등)를 단계적으로 추가 확대하기 위해 교육청 등 관련기관과 최대한 긴밀히 협 조해 나갈 계획이다. ○ 우수고 유치촉진을 위해서 - 학교 설립비용 50% 국고지원, 지방자치단체장에게 학교설립·운영권 부여, 공유지의 무상 또는 장기저리 임대 등 우수사립고 지원근거를 마련하면서 (정부와 지속 협의 뉴타운특별법 조속 입법화) - 특별법 제정과 별도로 관련 법령인 지방재정법시행령 및 학교 설립·운영규정(대통령령) 개정도 아울러 병 행 추진할 계획이다.
■ 서울시는 앞으로 ○ 뉴타운 사업과 같은 지역균형발전사업을 통해 강북 등 낙후지역을 주거는 물론 교육, 문화 등 각종 도시환경 을 강남지역 수준 이상으로 개발하여 ○ 궁극적으로 강남에 집중되는 고품질의 주택수요를 상당부분 흡수하여 주택시장을 안정시키는 것은 물론, 시민 삶의 질 향상과 도시의 경쟁력을 지속적으로 높여 나갈 계획이다. 〔후보지 지역여건 현황〕
후 보 지 |
지 역 여 건 |
비 고 |
종 로 구 창신 1,2,3 동 숭인1동 일대 |
· 면 적 : 839,966 ㎡ · 여 건 : 노후불량주택 밀집 및 도시기반시설 열악지역 노후불량주택 63%, 접도율 29.3% |
주거 + 중심형 |
노 원 구 상계 3, 4 동 일 대 |
· 면 적 : 613,000 ㎡ · 여 건 : 주택재개발사업이 진행되고 있는 노후불량주택 밀집 지역 노후불량주택 67.8% |
주 거 중심형 |
은 평 구 수색동 36-67 일 대 |
· 면 적 : 755,000 ㎡ · 여 건 : 도시및주거환경정비기본계획에 6개 구역 반영된 노후불량주택 지역 노후불량주택 54.9% |
주 거 중심형 |
서 대 문 구 북아현1동 170-1 일대 |
· 면 적 : 815,983 ㎡ · 여 건 : 도시및주거환경정비기본계획에 6개 구역 반영된 노후불량주택 지역으로 도시 기반시설 열악 지역 노후불량주택 50.4%, 접도율 26.5% |
주 거 중심형 |
금 천 구 시흥동 966 일 대 |
· 면 적 : 484,291 ㎡ · 여 건 : 시계경관지구 해제지역으로 노후지역에 대한 체계적인 정비필요 지역 노후불량주택 57.5% |
주 거 중심형 |
영 등 포 구 신길동 236 일 대 |
· 면 적 : 1,469,910 ㎡ · 여 건 : 도시및주거환경정비기본계획에 11개 구역 반영된 불량주택 밀집지역 |
주 거 중심형 |
동 작 구 흑석동 일대 |
· 면 적 : 840,399 ㎡ · 여 건 : 도시및주거환경정비기본계획에 6개 구역 반영된 노후불량주택 지역 노후불량주택 51.4% |
주 거 중심형 |
관 악 구 신림동 1514 일대 |
· 면 적 : 643,700 ㎡ · 여 건 : 노후불량주택 밀집 및 도시기반시설 열악지역 |
주 거 중심형 |
송 파 구 거여동 202 일대 |
· 면 적 : 905,390 ㎡ · 여 건 : 국민임대주택단지와 인접하고 상대적으로 노후 불량주택 밀집 및 도시기반 시설 열악지역 노후불량주택 58.8% |
주 거 중심형 | |
|
서울시 3차 뉴타운 후보지 2개소 추가 선정 |
|
■ 서울시는 지난 ‘05. 8. 29(월) 3차 뉴타운 후보지 9개소에 이어 8. 31(수) 추가로 2개소를 선정·발표하였다.
- 이는 지난 발표에서 예고한 바와 같이 지역균형발전위원회에서 후보지를 2개소 이상 신청한 동대문구와 성북 구의 경우는 물리적 여건이 유사함을 감안하여 지역특성을 잘 아는 자치구에서 각 1개 지구를 선정토록 심의 되었기
- 자치구 의견을 종합적으로 검토하여 ○ 동대문구는 이문·휘경지구를 선정 하였고, ○ 성북구는 장위지구를 최종 선정 하였다. 〔후보지 지역여건 현황〕
후 보 지 |
지 역 여 건 |
비 고 |
동대문구 이문동 144, 휘경동 170 일 대 |
· 면 적 : 1,026,520 ㎡ · 여 건 : 도시및주거환경정비기본계획에 50%이상 반영된 노후 불량주택 지역 |
주 거 중심형 |
성 북 구 장위동 일대 |
· 면 적 : 1,830,250 ㎡ · 여 건 : 도시및주거환경정비기본계획에 6개 구역 반영된 노후 불량주택 밀집지역 |
주 거 중심형 | |
|
 |
| |
첫댓글 뉴타운 아닌데가 없는것 같네여 ^^;; 흐흐흐흐
2차뉴타운중 한남뉴타운은 어떻게 진행되고 있는지...?
좋은 게시물이네요. 스크랩 해갈게요~^^
좋은 게시물이네요. 스크랩 해갈게요~^^
좋은 게시물이네요. 스크랩 해갈게요~^^
좋은 게시물이네요. 스크랩 해갈게요~^^
좋은 게시물이네요. 스크랩 해갈게요~^^
좋은 게시물이네요. 스크랩 해갈게요~^^
좋은 게시물이네요. 스크랩 해갈게요~^^
너무나 조은정보 감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