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덕경 본문제29장 해설-장차 천하를 취하려는 자는..
將欲取天下而爲之, 吾見其不得已.
장욕취천하이위지, 오견기부득이.
天下神器, 不可爲也, 爲者敗之, 執者失之.
천하신기, 불가위야, 위자패지, 집자실지.
故物, 或行或隨, 或 或吹, 或强或羸, 或挫或 ,
고물, 혹행혹수, 혹구혹취, 혹강혹리, 혹좌혹휴,
是以聖人去甚, 去奢, 去泰.
시이성인거심, 거사, 거태.
* 本文 第 二十九章 = 장차 천하를 취하려 하는 자는 내 부득이함을 보았다 천하에 신성한 그릇은 그렇게(바르게) 하지 않는다 (* 有爲的으로)하는자는 패하게 되고 잡아 지니려는 자는 (*언젠가는)잃어버린다 그럼으로 사물이 혹두 행하고 혹여 쫓고 혹두 숨을 들이쉬고 내쉬고 혹두 강하고 파리하고(굳세고 여위고) 혹두 실어쌓고 무너 트린다 이래서 성인이 열심히 하는 걸 버리고 사치함을 버리고 無事安逸(무사안일) 태평 스러움을 버렸다 [*역자부언 그러니까 中庸(중용)의 길을 행하고 지나침을 삼가 했다는 뜻이다]
장차 천하를 취코자하여 위하려 드는 자는 내 그 부득이함을 보았도다
천하라 하는 것은 신성한 그릇이나니 그렇게 위하려 든다 할 수 없다 위하려 드는 자는 패퇴함을 맛보게 될 것이고 잡아 쥐려는 자는 잃어버림을 맛보게 될 것이다 그러므로 사물 됨됨이가 혹두 행하여 보기도하고 혹두 그 쫓아 보기도하고 혹두 그 들여 마셔 보기도하고 혹두 그 내불어 보기도하고 혹두 강력하게 나대 보기도 하고 혹두 그 파리해진 모습을 드러내 보여 주기도 하고 혹두 그 좌절을 맛보기도 하고 혹두 그 무너지기도 하여본다 이래서 성인은 그 너무 심악하게 나대는 것을 버리고 낭비사치 이딴 것을 버리고 태평 무사안일 함을 버리게된다
蘇註 소주
聖人之有天下 非取之也 萬物歸之 不得已而 受之其治天下 非爲之也 因
성인지유천하 비취지야 만물귀지 부득이이 수지기치천하 비위지야 인
萬物之自然 而除其害耳 若欲取而爲之 則不可得矣 凡物皆不可爲也 雖有
만물지자연 이제기해이 약욕취이위지 즉불가득의 범물개불가위야 수유
百人之聚 不循其自然而妄爲之 必有齟齬不服者 而 天下乎 雖然 小物寡
백인지취 불순기자연이망위지 필유저어불복자 이황천하호 수연 소물과
衆 猶有可以力取而智奪者 至於天下之大 有神主之 不待其自歸則叛 不聽
중 유유가이역취이지탈자 지어천하지대 유신주지 불대기자귀즉반 불청
其自治則亂矣 陰陽相 高下相傾 大小相使 或行於前 或隨於後 或 而
기자치즉난의 음양상탕 고하상경 대소상사 혹행어전 혹수어후 혹구이
暖之 或吹而寒之 或益而强之 或損而羸之 或載而成之 或 而毁之 皆物
난지 혹취이한지 혹익이강지 혹손이이지 혹재이성지 혹휴이훼지 개물
之自然 而勢之不免者也 世之愚人 私己而務得 乃欲拒而違之 其禍不覆則
지자연 이세지불면자야 세지우인 사기이무득 내욕거이위지 기화불복즉
折 唯聖人則知其不可逆 順以待之 去其甚去其奢去其泰 使不至於過而傷
절 유성인즉지기불가역 순이대지 거기심거기사거기태 사불지어과이상
物 而天下無患矣 此不爲之至也 堯湯之於水旱 雖不能免 而終不至於敗者
물 이천하무환의 차불위지지야 요탕지어수한 수불능면 이종불지어패자
由此故也 易之泰曰 后以財成天地之道 輔相天地之宜 以左右民 三陽在內
유차고야 역지태왈 후이재성천지지도 보상천지지의 이좌우민 삼양재내
三陰在外 物之泰極矣 聖人懼其過而害生 故裁成而輔相之 使不至於過 此
삼음재외 물지태극의 성인구기과이해생 고재성이보상지 사부지어과 차
所謂去甚去奢去泰也.
소위거심거사거태야.
* 소씨 주석하대. 성인은 천하의 존재함의 있어서뭘 취하려 들려는건 아니나 만물이 돌아 옴에 부득이 해서 받아 들임이다 그천하 다스림을 하질 않음이나 만물과 자연적인 연관 관계에 의해서 그해로움을 덜어 내려 할 뿐인 것이다 만약상 취하고자 해서 한다면 얻을수 없다 하리라 대저 만물들이 뭘 한다곤 할수없으나 비록 일백사람이 긁어 모은다 해도 그자연의 순리에 따르지 않고선 망녕됨을 하는 것이니 필이 어긋남이 있어 복종치 않으려 함이 있을 것인데 하물며 천하일을 놓고 보는것이야 말할나위 있을 건가? 비록 물건이 적은 것이거나 무리가 작은 것이라 할지라도 오히려 힘으로 취하려 들고 빼앗으려 드는 것이 있음인데, 천하의 광대함에 이르러선 신성한 주관자가 존재 할것인데 그스스로 돌아옴을 기다리지 않고 취하려 든다면 모반이 되는 것이고 그스스로 다스림의 치적을 들리게 아니함인즉 어지러움을 짓는 것이 되리라
음양이 서로 들끓고 높낫이가 서로를 기울기며 크고 작음이 서로 부리어서 혹은 앞에서 행하고 혹은 뒤에서 쫓으며 혹은 숨을 들이 쉬어선 따뜻한 온기가 감돌게 하며 내불어선 찬기운이 돌게 하며 혹은 더해서 굳게하고 혹은 덜어서 나약하게 하고 혹은 실어쌓아 이루고 혹은 헐어 무너 트리고 등이 모두 만물이 자연 그러한 운세를 면치 못하는 것이니 세상에 어리석은 사람이 사리 사욕에서 얻음을 힘씀에 자연순리에 저항코자 해서 자연 지세를 어기려 드나 그 앙화로 엎어지지 않으면 끊겨 진다 오직 성인께선 그 거스리지 못할 것을 아시는 지라 순유 함으로 응대하고 열심히 하는 활동을 버리고 사치함을 버리고 무사 안일함 또한 버려서 지나치게 해서 만물을 손상시키는데 까지 이르지 아니 하시어 천하의 근심이 없음인 것이다
이는 하지 않음의 극한 경계라 할 것이다 요임금 탕임금이 천재지변을 비록 잘 면해진 못했어도 마침내 실패함에 이르지 아니 하신 것은 이러한 연고를 말미암았기 때문이다 주역 泰卦(태괘) 괘사에 이르길 임금께서 하늘땅의 길로 재물을 이루어서 하늘땅 마땅함을 보필해서 좌우 백성들 쓰게 했다 함이니 (* 천지 자연의 도를 순리 대로 받아들여서 재물등의 업적을 쌓아 백성을 윤택케 했다는뜻) 세 개의 양획은 안에 있고 세개의 음획은 밖같에 있는 것이 사물의 지극한 태평스런 모습인 것이다 성인께서 그과오로 삶에 있는 물사들을 해칠 것을 두려워 하시므로 잘헤아려 이루시고 도우시샤 하여금 지나침에 이르지 아니하셨으니 이는 이른바 열심히함을 버리고 사치적인 요소를 버리고 무사 안일 태평함을 버리셨다는 뜻이다
呂註여주
聖人抱樸以治天下 故大制不割 則其取天下常以無事而已 取之也者 得天
성인포박이치천하 고대제불할 즉기취천하상이무사이이 취지야자 득천
下之心使之不去者也 則將欲取天下而爲之者 非所以取天下也 非所以取而
하지심사지불거자야 즉장욕취천하이위지자 비소이취천하야 비소이취이
取之 吾是以見其不得也 形而上者謂之道 形而下者謂之器 天下之爲器 神
취지 오시이견기부득야 형이상자위지도 형이하자위지기 천하지위기 신
器也 唯神道可以御神器 神 無思也 無爲也 而爲之則御之非其道矣 故不
기야 유신도가이어신기 신 무사야 무위야 이위지즉어지비기도의 고불
可爲也 爲者所以求成 而適足以敗之 執者所以求得 而適足以失之也 堯非
가위야 위자소이구성 이적족이패지 집자소이구득 이적족이실지야 요비
有人非見有於人 巍巍乎舜禹有天下而不與焉 凡此者眞知所以取天下者也
유인비견유어인 외외호순우유천하이불여언 범차자진지소이취천하자야
非爲而執之者也 是以凡物有行則有隨 有 則 有吹有强則有羸 有載則有
비위이집지자야 시이범물유행즉유수 유구즉 유취유강즉유리 유재즉유
事勢之相生 不得不然也 則安可以執而爲之哉 是以聖人去甚去奢去泰
휴 사세지상생 부득불연야 즉안가이집이위지재 시이성인거심거사거태
凡以輔萬物之自然而已 其敢爲也哉.
범이보만물지자연이이 기감위야재.
* 여씨 주석하대. 성인이 질박함을 끌어안아 천하를 다스림으로 큰 제도라서 베어 넘길게 못될 것이라면 곧 그 천하의 늘상 그렇게 되어 돌아감을 취하여서 일없을 따름이시라 취하여 간다는 것은 천하의 마음을 얻어 하여금 버리지 않는다는 것이다 나아가 장차 천하를 취하려 하는자 천하를 취하지 못하게 되는 것은 취하지 못할걸 취하려 들기 때문이다 내 이래서 그 얻지 못함을 보았다 함인 것이다 형체지어 윗된 것을 길이라 하고 형체지어 아랬된 것을 그릇이라 한다 천하의 그릇 모습은 신성한 모습이니 오직 신성한 길이라야만 바르게 신성한 그릇을 이어 받들어 나갈수 있는것이다
그러므로 한다고 하는게 옳치 아니함인 것이다 해서 된다고 하는자는 찾아서 이루는것이라서 넉넉하게 맞으면 그다음은 실패를 이루게 되고 지니려고 하는자 찾아 얻는것이라서 넉넉하게 맞은다음은 버림을 쓰게 되는 것이다 옛적의 요임금은 사람이 갖지 않아야할 것을 사람에게서 갖은걸 보지 못했다 하고 높고 높도다 순임금이시여 우임금에게 천하를 가지게 하고도 주지 아니하였다 했으니 무릇 이러한자 참으로 천하를 취하는바를 안다 할 것이다 천하에것이 핸다고 해서 지닐수 있는 것이 아니다
이래서 무릇 물사가 앞서거니 뒷서거니 함이 있고 들이쉬고 내쉼이 존재하고 강약이 있고 실려 쌓인 곳이 있음 헐어 무너지는 곳이 있어 사물세력이 서로 그렇게 생김이라 부득불 (*아니함을 얻지못해) 그러함인데 뭘 바르게 지니어서 해간다 할것인가? 이래서 성인이 열심히 함을 버리고 사치함을 버리고 무사 태평을 버리고 만물의 자연 그러함을 도우실 따름이니 그 구태여 한다 할 것인가? 했다
朴註박주
神器猶言大物也 欲取天下而以有爲爲之者 必不可鎰天下 天下不可以有
신기유언대물야 욕취천하이이유위위지자 필불가이득천하 천하불가이유
爲爲之而得故爲之者 敗其事執之者 失其物行隨猶先後也 羸弱也 載當作
위위지이득고위지자 패기사집지자 실기물행수유선후야 리약야 재당작
成字相似而有誤也 言凡物之有行隨 吹强羸成 八者本出於自然之理 勢
성자상사이유오야 언범물지유행수구취강리성휴팔자본출어자연지리 세
不可强而治之也 强而治之則 必有失敗之患 是以聖人之於天下也 物各付
불가강이치지야 강이치지즉 필유실패지환 시이성인지어천하야 물각부
物而 一任其自然但去其泰甚者而已 奢亦過也 曰甚曰奢 曰泰 皆過當之名
물이 일임기자연단거기태심자이이 사역과야 왈심왈사 왈태 개과당지명
此聖人之所以無爲而治也 觀乎此則 老子之所謂無爲者可知矣 豈不事事之
차성인지소이무위이치야 관호차즉 노자지소위무위자가지의 기불사사지
謂也哉.
위야재.
* 박씨 주석하대. 신성한 그릇이란 큰 물사를말한다 천하를 취할려 해서 함을두어 하여 가는자 필히 천하를 얻음을 옳게 못할 것이다 (*반드시 천하를 얻지 못할 것이다) 천하함이 존재해서 했다 해서 얻어지는건 아니다 그러므로 하여 가는자 그일을 패하게 되고 잡아 지니려는자 그물건을 잃어 버리게된다 행하고 쫓는건 앞서거니 뒷서거니와 같고 羸(리)란 약하다는 뜻이다 載(재)란 마땅히 成字(성자)를 이루어야 한다 성자와 서로 같이 쓴다 해도 오판할 우려가 있다 무릇 사물의 행하고 쫓고 들이쉬고 내쉬고 강하고 파리하고 이루고 무너지고등의 여덟가지는 본래 자연의 다스려지는 세력(*理勢=이세) 에서 나오는것이라 그렇게 억지로 다스려 지는건 아니다 억지로 다스리려 들면 필히 실패의 근심이 존재 케 된다
이래서 성인이 천하에 있어서 사물을 각각 사물에 의지케 하여서 한결같이 그자연에 맡긴다 다만 그안일 태평과 너무 열성적인 것을 버릴따름이고 사치함 역시 지나침인 것이다 열성적임과(*열성적인 것은 심의피로를 가져와 금새 지치던가 권태 금새 식어 진다) 사치함과(*사치 허영은 낭비를 조장 물사의 궁핍을 가져온다) 안일태평(* 게을름은 도태함의 시초다 심신의 해이해짐은 발전의 저해를 가져온다)은 다 지나침에 상당하는 대표적인 명분이다 이는 성인의 하염없이 해서 다스림을 쓰는 바 논리이니 다스림을 이렇게 관찰한다면 노자의 이른바 주장하는 함이 없다는 뜻을 가히 알 수 있으리니 어찌 일하지 않는 일을 가르킨다 할 것인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