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사진=정월대보름 보름나물 사진=온라인커뮤니티 |
[서울뉴스통신=디지털뉴스팀] 정월대보름에 잡곡밥과 9가지 나물을 먹는 이유는 나무 아홉 짐을 하고 밥 아홉 그릇을 먹는다. 한가할 때 잘 먹어두어 그 해 일년 일할 것에 대비한다는 뜻이기도 하며 성씨가 다른 집에서 오곡밥을 얻어오라는 것은 남의 집 곡식을 고루 먹어 비타민 결핍증과 과다증이 걸리지 않도록 한 선조들의 지혜이다.
오곡밥에 마른 나물을 먹는것은 봄, 여름, 가을 중에 나오는 나물(고사리, 취나물, 참나물, 묵나물, 호박고지, 무시래기, 토란대 )등을 미리 말려 준비해 두었다가 한 해를 시작하는 정월에 오곡밥과 산나물을 먹어 원기를 돋우고 껍질이 딱딱한 견과류나 콩을 먹는 풍습이 있는데 이것을 부럼 깬다고 한다. ■ 동일하게 들어가는 양념: 간장 3수저, 참기름 2수저, 다진마늘 2분의 1수저, 다진파, 설탕 2분의 1수저, 후추가루, 깨소금
■ 고사리나물 부드럽게 잘 말려진 거라면 팔팔 끓는 물에 살짝 데치기만 하시고 약간 질긴 고사리라면 처음부터 같이 넣고 10여 분 정도 더 삶아준다. ■ 고구마줄기나물 물을 충분히 붓고 센불에서 한 번 끓으면 중불에서 더 끓여 손으로 만졌을때 말랑해 질때까지 삶아야 한다.
■ 가지나물 가지나물도 너무 삶으면 물러지니 팔팔 끓어 5분 정도 지난 뒤 만져봐서 말랑하면 꺼내야 한다.
■ 호박고지나물 연한것이므로 끓는 물에 살짝 한 번 데치거나 미지근한 물에 담가두고 물만 몇 번 갈아야 한다.
■ 토란대나물 역시 된장을 한 주저 풀고 물을 넉넉히 잡아 30분 이상 삶아주고 손으로 만졌을때 말랑해야 합니다.
■ 토란잎나물 너무 삶으면 으깨지니 넓은 잎에 찰밥을 싸 먹으려면 질기지만 않게 삶고 된장 한 수저를 넣고 삶아야 한다.
■ 무청시래기 다른 나물보다 물을 더 많이 붓고 끓기 시작하면 중불또는 약불에서 1시간여 정도 삶아 중간에 만져보시고 질기다 싶으면 더 삶아야 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