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험생들의 기억에 의해 복원이 된 문제입니다.
실제와 조금 다를 수도 있습니다. 참고하세요....
(03-03-16 선관위 기출문제) - 행정고시학원 신동수 제공
1. 다음 중 어법에 맞는 문장은? (정답 2)
① 할머니는 나이에 비해 귀가 밝다.
② 할아버지, 아버지가 방금 들어왔어요.
③ 미루었던 일을 다하고 나니 자정이 넘겼다.
④ 짐승은 은혜를 알거늘, 하물며 사람이 은혜를 알아야 한다.
2. 국어의 특질 중 옳지 않은 것은? (정답 4)
① 교착어로서 문법적 관계를 나타내는 조사와 어미가 발달되어 있다.
② 상하관계를 존중하던 사회구조 때문에 높임법이 발달되었다.
③ 서술어가 문장 끝에 오는 어순이라 끝까지 들어야 뜻을 제대로 알 수 있다.
④ 음절 끝에 오는 자음도 음절의 첫소리와 같이 모두 제 음가대로 발음되어야 한다.
3. 밑줄친 서술어의 자릿수가 다른 하나는? (정답 3)
① 철이는 사과를 맛있게 먹었다.
② 그는 이제 더 이상 어린애가 아니었다.
③ 나는 지금도 너를 제일 친한 친구로 여기고 있다.
④ 이 고장의 온화한 기후는 농사짓기에 정말 적합하다.
4. 다음 중 한자어의 독음이 모두 올바른 것은? (정답 4)
① 구연, 배안, 원해, 정곡, 나재민 ② 구연, 배안, 손해, 의곡, 이재민
③ 강연, 배치, 손해, 의곡, 이재민 ④ 강연, 배치, 손해, 왜곡, 이재민
5. 다음 중 의미가 다른 하나는? (정답 4)
① 嚆矢(효시) ② 濫觴(남상) ③ 萌芽(맹아) ④ 白眉(백미)
6. 낱말의 뜻풀이가 옳지 않은 것은? (정답 3)
① 후생가외(後生可畏) : 뒤따라오는 젊은 후배들이 자기를 앞지르는 무서운 존재라
는 뜻의 말
② 팽배(澎湃) : 어떤 기세나 사조가 맹렬한 기세로 일어남
③ 자문(諮問) : 어떤 일에 대해 그 방면의 전문가가 내놓은 의견
④ 최고(催告) : 재촉하는 뜻으로 내는 통지, 또는 상대방에게 일정한 행위를 청구하
는 일
7. 다음 밑줄 친 부분의 문맥적 의미로 알맞은 것은? (정답 3)
[일년에 한두 번 방학 때만 오래간만에 만나는 터이나, 이 두 청년은 입심자랑이나
하듯이 주고받는 말끝마다 서로 비꼬는 수작밖에 없건마는, 그래도 한 번도 정말 노
해 본 일은 없는 사이다. 중학에서 졸업할 때까지 첫째, 둘째를 겯고 틀던 수재이고,
비슷비슷한 가정 사정에서 자라났기 때문에 어린 우정일 망정 어느덧 깊은 이해와
동정은 버리려야 버릴 수가 없는 것 이었다.]
① 사이좋게 나누어 가지던 ② 비틀던 ③ 지지 않으려고 다투던 ④ 만들던
8. 다음 외래어 표기법 규정에 맞게 쓰인 것은? (정답 2)
① leadership 리더쉽 ② coffee shop 커피숍 ③ television 텔레비젼 ④ boat 보
우트
9. 밑줄 친 곳의 띄어쓰기가 바르게 된 것은? (정답 2/3)
① 국가를 당사자로 하는 계약에 관한 법률 제 11 조
② 총무과에서 다음과 같이 통보하여 온 바 이를 알려 드리니 업무에 참고하시기 바
랍니다.
③ 소득을 정확하게 계산하여 신고하였는지의 여부를 자세히 검토하여야 한다.
④ 여야는 초당적으로 협조 한다는데 의견을 같이했다.
10. 밑줄 친 말 중에서 잘못 쓰인 것은? (정답 2)
① 나는 요즘 새로운 사업을 벌이느라 바빴다.
② 우리 부서는 인원을 늘일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
③ 막내는 어제 양복을 맞추러 나갔다.
④ 정답을 맞힌 사람이 매우 적었다.
11. 다음 제시문과 진술 방식이 같은 것은? (정답 2)
[우리나라 사람들이 도박형태의 유흥으로 여가를 보내는 경우가 많은 것은 여러 가
지 이유가 있을 것이다. 먹고 마시고 노름하는 이외의 -후략-]
① 한국어, 몽골어, 틍구스어, 터키어 등을 계통상 알타이어족에 속한다.
② 컴퓨터는 본체, 모니터, 키보드, 그리고 프린터의 네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③ 한반도는 마치 맹호(猛虎)가 발을 들고 대륙을 향해 덮치려는 듯한 형상을 하고
있다.
④ 시(詩)란, 인간의 심상, 감정을 상상력을 발휘하여 함축적이고, 운율적인 언어로
압축하여 표현한 운문 문학이다.
12. 글의 바로 뒤에 올 내용은? (정답 3)
[개인의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애로가 따른다. -중략-
그야말로 정보의 홍수시대이니, 이것을 모조리 보관하는 사람은 존경 받을 수 있지
만 현명한 일이라 할 수 없는 상황이 되었다.]
① 많은 자료를 수집할 수 있는 방법 ② 자료를 효과적으로 처분하는 방법
③ 자료를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방법 ④ 자료를 오랫동안 간직할 수 있는 방
법
13. 다음 중 연결어가 바르지 못한 것은? (정답 1)
[자식을 획득하는 방법을 생각해 보기로 하자. 가장 초보적이요 원시적인 방법은, 체
험(體驗) 으로써 지식을 얻는 일이다. 불을 만져 보고 뜨거움을 느끼게 되면, 불은 뜨
거운 성질(性質), 즉 열을 가지고 있는 물질이라는 것을 알게 되니, 이 체험으로 한
가지 지식을 배운 것이다. 또 얼음을 만져 보고 차가움을 느끼게 되면, 얼음은 차가
운 성질을 가졌다는 지식을 얻게 되는 것이다. 인간은 이와 같이 실제의 체험으로써
일생 동안 많은 지식을 배우게 된다. ㉠그리고 지식은 그 종류와 양이 무한하다. 오
늘날까지 인류가 알아 낸 지식은, 한 개인이 한평생 체험을 거듭할지라도 그 몇만 분
의 일도 배우기 어려운 것이다. ㉡또, 지식 중에는 체험으로써 배우기에는 너무 위혐
한 것도 많다. ㉢가령, 콜레라균은 사람을 죽일 수 있는 무서운 독성(毒性)을 가진 미
생물(微生物)인데, 이것을 어떠한 개인이 먹어 보아서 그 성능을 증명하려 하면, 그
사람은 그 지식을 얻기 전에 벌써 죽어 버리고 말게 될 것이다. ㉣그러므로 체험만으
로써 모든 지식을 얻으려는 것은 매우 졸렬(拙劣)한 방법(方法)일 뿐 아니라, 거의
불가능(不可能)한 일이라 하겠다.]
① ㉠ ② ㉡ ③ ㉢ ④ ㉣
14. 다음 밑줄 친 부분이 어법에 맞게 사용된 문장은? (정답 1)
① 삼국은 안으로 서로 대립하거나 연맹관계를 맺고, 밖으로는 중국세력과 평화적
교섭을 하거나 전쟁을 치르면서 통일의 길로 나아갔다.
② 구성원들은 소외 의식을 느끼지 않고 자기가 속한 집단의 문제 해결과 한번 결정
한 것을 실천하기 위해 적극적으로 나설 수 있을 것이다.
③ 그 나라 주민과의 충돌이나 민족의 정체성을 상실하는 등의 문제가 발생되기도
한다.
④ 대학은 모든 시대와 나라에서 형성된 가장 심오한 진리탐구와 치밀한 과학정신
을 배양 형성하는 도장입니다.
15. 다음 중 ( ) 들어갈 말로 가장 적절한 것은? (정답 4)
[외나무다리 위로 조심조심 발을 내디디며 만도는 속으로‘이제 새파랗게 젊은 놈이
벌써 이게 무슨 꼴이고? 세상을 잘못 타고나서 진수 니 신세도 참 똥이다 똥!’
이런 소리를 주워섬겼고, 아버지의 등에 업힌 진수는 곧장 '나꺼정 이렇게 되다니 아
부지도 참 복도 더럽게 없지. 차라리 내가 죽어 버렸더라면 나았을 낀데…!하고 중얼
거렸다.
만도는 아직 술기가 약간 있었으나, 용케 몸을 가누며, 아들을 업고 외나무다리를
무사히 건너가는 것이었다. 눈앞에 우뚝 솟은 용머리재가 이 광경을 가만히 내려다
보고 있었다.]
① 무척 황송한 듯 ② 걱정스런 마음으로
③ 원망스러운 눈빛으로 ④ 미안스러운 얼굴을 하며
16. 다음 글의 논지 전개 과정으로 올바른 것은? (정답 4)
[어떤 심리학자는 ‘언어가 없는 사고는 없다’ 우리가 머릿속으로 생각하는 것은 소리
의 언어일 뿐이다‘ 라고 하여 언어가 없이는 사고가 불가능하다는 이론을 폈으며, 많
은 이가 이에 동조했다. 그러나 -중략- 이런 사실로 미루어 볼 때 언어와 사고가 불
가분의 관게에 있는 것은 아니다.]
① 주장-상술-부연 ② 문제제기-논거-주장
③ 전제-주지-부연 ④ 주장-반대논거-반론
17. 표준발음이 아닌 것은? (정답 없음)
① 통닭이[통달기] ② 맑고[말꼬] ③ 활용[화룡] ④ 끊기다[끈키다]
18. 다음 글에서 말하는 ‘꿈’과 그 의미가 가장 비슷하게 쓰인 것은? (정답 1)
[사람은 무엇을 위하여 사는가? 이상(理想)을 위하여 산다. 이상을 위하여 산다는 것
은 오직 인간만이 누릴 수 있는 특권(特權)이다. 여타의 동물은 이상이라는 것이 없
다. 다만, 현실(現
實)만을 위하여 살고, 살기 위하여 먹는다. 그러나 인생은 그렇지가 않다. 먹기도 해
야 하겠지만, 먹는 것만으로는 만족하지를 않는다. 그리하여 사람은 빵만으로 사는
동물이 아니라고
하였다.
이상을 위하여 산다는 것은, 어떠한 꿈을 그리며 산다는 말이 된다. 이 꿈이란 것
은, 현실이 아니란 말이다. 현실 이상의 것, 초현실적(超現實的)인 것을 의미한다. 그
런데 꿈과 이상은 꼭 같지가 않다. 꿈은 허탄(虛誕)한 가공(架空)의 환상(幻像)을 가
리키는 일이 많다. 그러나 이상은 결코 허망한 망상(妄想)이 아니다. 초현실적인 것,
따라서 비현실적(非現實的)인 점에서는 이상과 꿈이 상통하는 면이 있다고 하겠지
만, 그러나 이상은 실현의 가능성(可能性)이란 것을 수반하는 사고 작용(思考作俑)
이다. 이상은 비현실적인 것, 초현실적인 것이란 점에서 우리 현실의 권외(圈外)에
있으면서도, 이것을 추구(追求)하기 위하여 연구하고 노력하면 도달할 수도 있다는
점에서 꿈과 다르고, 따라서 공상(空相)이 아니다. 꿈과 이상(理想)은 이와 같이 정
신 세계(精神世界)의 차원이 다르다.]
① 여보게, 친구! 이제 꿈에서 깨어나 현실을 좀 똑바로 보게나
② 그는 정치가가 되겠다는 꿈을 결코 버린 적이 없다.
③ 젊은이는 모름지기 큰 꿈을 가져야 하네
④ 그녀는 아직도 꿈에서 덜깬 얼굴로 나를 쳐다보았다.
19. 다음 글의 ㉠과 ㉡에 들어갈 가장 적절한 한자는? (정답 4)
[농사일은 파종에서 수확에 이르기까지 하나의 일관된 노동입니다. -중략-
요컨대 젊은이들은 노동을 ㉠ (이)라고 생각합니다. 시간의 ㉠ , 에너지의
㉠ , 이라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이점에서 노동을 ㉡ (으)로 인식하는 노인들의 사고와 정면에서 대립하고 있습니
다.
① 浪費 - 投資 ② 苦生 - 果實 ③ 消費 - 生業 ④ 浪費 - 成長
20. 다음 중 문맥적 의미가 이질적인 것은? (정답 1)
[선진국의 특징은 있는 것을 아끼고, 있는 것에 새로운 이론과 기술을 끌어들여서
~ -중략-
수학문제의 답을 찍기식으로 맞추는 것과 같다. 금방 한계가~ ]-지문 부족
① 기술 ② 기본 ③ 토대 ④ 원리
첫댓글 9번 답은 3번인거 같아여.... 2번은 '한글맞춤법 100제'에 의하면 '통보하여 온바'라고 분명히 나와있거든여...'바'가 의존명사가 아니라 'ㄴ바'로 쓰여서 띄어쓰는 거 아니라고....
동수.. 겨울나무.. ^^
아직 논란의 여지가 있는거라.. 9번은 3번은 확실히 맞는거라고는 하던데.. 2번도 허용되는거라고 하는듯 싶군용.. 저는 2번으로 풀어서.. ㅡㅡ;; 둘다 맞길 바래야죠..^^;;
15번에 무척황송한듯 아닌가? 기본서에서 그렇게 본거같은데.......ㅡ,,ㅡ
17번 문제 '정답없음'은 그럼 어떻게 되는건가요? -ㅁ-;;
15번 문제 저두 확인했는데요... '무척 황소한 듯'으로 나와있던데요...
기본서에 수난이대 전체 지문이 실려있는데 '곧장 미안스러운 얼굴을 하며' 라고 나와있는데요... http://cerra.infomail.co.kr/sunan2.htm <-여기 전체 지문 있는 곳
17번은 다 맞는거 아닌가요. 문제오류라고 생각하는데... 뭐 문제낸 사람들 절대 문제 공개 안하니까...이런경우 피해는 수험자 몫!
17번 통달기 화룡.. 둘중에 하나 고른다고 몇분 허비했는데 정답없음이라니.. 역시 조선공무원은 대단혀~
19번답이여 소비하구 생산인에.. 원본 찼아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