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말 문제풀이
1. 한글날은 조선 제4대 왕인 세종이 1443년(세종 25년) 창제하여 1446(세종 28년) 반포한 한글의 보급,
연구를 장려하기 위하여 정한 날이다. 그렇다면 이번 10월 9일은 몇 돌이 되는 한글날인가?
① 558돌 ② 559돌 ③ 560돌 ④ 561돌
2. 현대 국어에서 쓰고 있는 한글 모음자의 총수는?
① 10개 ② 11개 ③ 21개 ④ 28개
3. 다음 가운데 순 우리말은?
① 형편(일이 되어가는 상태) ② 손방(아주 할 줄 모르는 솜씨)
③ 촌지(마음이 담긴 작은 선물) ④ 총각(결혼하지 않은 성년 남자)
4. 다음 예에서 밑줄 친 말이 순 우리말이 아닌 것은?
① 인이 박인 담배를 끊기가 쉽지 않다.
② 아이가 들어오지 않아 애가 탄다.
③ 언니는 예쁘게 꾸미고 선을 보러 나갔다.
④ 요즈음은 사는 낙이 없다.
5. 다음은 순 우리말들이다. 이 가운데 사람을 가리키는 말이 아닌 것은?
① 몽치 ② 안다니 ③ 어정잡이 ④ 손대기
6. 다음에서 밑줄 친 말은 모두 어떤 물건의 수효를 묶어서 세는 단위로 쓰인다.
이 가운데 가장 큰 수효를 세는 단위로 쓰이는 말을 고르시오.
① 북어 한 쾌 ② 오이 한 거리
③ 바늘 한 쌈 ④ 감 한 접
7. “네가 왜 따따부따 남의 일에 참견이냐?”에서 ‘따따부따’의 바른 의미는?
① 바쁘거나 급해서 몹시 서두르는 모양
② 미운 사람의 불행을 고소하게 여길 때에 내는 소리
③ 딱딱한 말씨로 따지고 다투는 소리
④ 보기만 하고 간섭하지 아니하는 모양
8. 다음에 제시된 말은 관용구로 볼 수 있다. 여기에서 ( ) 안에 공통으로 들어갈 수 있는 말은?
낯도 ( )도 모르다.
( ) 값을 하다.
① 코 ② 눈 ③ 입 ④ 귀
9. 한자 성어나 속담에서 ‘사흘[三日]’은 ‘작심삼일(作心三日)’, “조정 공론 사흘 못 간다”처럼 ‘비교적 짧은 시간’을
뜻하는 게 일반적이다. 그러나 ‘사흘’이 반드시 그런 뜻만을 가지는 건 아니다.
다음 속담 가운데 ‘사흘’이 ‘비교적 짧은 시간’을 뜻하는 것으로 볼 수 없는 것은?
① 고려공사 사흘
② 사흘 굶어 도둑질 아니 할 놈 없다.
③ 들은 귀는 천 년이요 한 입은 사흘이라.
④ 사흘 살고 나올 집이라도 백 년 앞을 보고 짓는다
10. 다음 끝말잇기에서 ( )에 들어갈 적당한 글자를 고르시오.
감자―자전거―거지―지아비―비늘―늘보―보리( )―( )이랑―낭군―군기침―침낭
① 떡 ② 밥 ③ 밭 ④ 쌀
11. 다음에서 옛말과 현대어의 연결이 바르지 않은 것은?
① 가람(아래아 있는 가임) - 강(江) ② 미르 - 용(龍)
③ 불휘 - 뿌리 ④ 솝 - 솜
12. 우리나라에서 음력 팔월 보름날을 가리키는 명절의 이름은 ‘추석(秋夕)’이다.
다음에서 ‘추석’을 달리 이르는 말이 아닌 것은?
① 가우일(嘉優日) ② 대보름날
③ 한가위 ④ 가배절(嘉俳節)
13. 우리말에서 ‘설레이다’는 ‘설레다’의 잘못이다. 그렇다면 다음 가운데 ‘설레다’의 활용이 잘못된 것은?
① 설레는 내 가슴
② 내 마음이 무척 설렌다.
③ 그때의 가슴 설렘은 말로 다 표현할 수 없을 지경이었다.
④ 벌써부터 마음이 설레였다.
14. 우리말에서는 ‘어떤 기술을 가진 사람’의 뜻을 더할 때에는 ‘-장이’를 붙이고 ‘어떤 속성을 많이 가진 사람’의
뜻을 더할 때에는 ‘-쟁이’를 붙인다. 그리하여 ‘양복을 만드는 사람’을 가리킬 때에는 ‘양복장이’라고 하고
‘양복을 입은 사람’을 가리킬 때에는 ‘양복쟁이’라 한다. 그럼 다음 가운데 ‘-장이’, ‘-쟁이’를 잘못 쓴 말은?
① 겁쟁이 ② 멋쟁이 ③ 빚장이 ④ 톱장이
15. 다음 가운데 잘못이 없는 것은?
① 흥부(興夫) ② 부주(扶助) ③ 사둔(査頓) ④ 삼춘(三寸)
16. 다음 글에서 잘못된 표기나 말은 모두 몇 개인가?
홀몸이 아니어서 제 몸 가누기도 힘든 어머니께서는 식성이 제각각인 가족들을 위해 직접 김치찌게와 육개장을 준비하고
또 그 음식 찌꺼기를 설겆이하느라 하루 온종일 분주하게 움직이셨다.
① 2개 ② 3개 ③ 4개 ④ 5개
17. 우리말은 모음의 장단(長短)에 따라 의미가 달라진다.
다음 가운데 길게 소리 나는 말과 의미가 바르게 연결되지 않은 것은?
① 눈[눈:]―빛의 자극을 받아 물체를 볼 수 있는 감각 기관
② 말[말:]―사람의 생각이나 느낌 따위를 표현하고 전달하는 데 쓰는 음성 기호
③ 발[발:]―가늘고 긴 대를 줄로 엮거나, 줄 따위를 여러 개 나란히 늘어뜨려 만든 물건
④ 밤[밤:]―밤나무의 열매
18. 다음 가운데 발음 표시가 잘못된 것은?
① 고가(古家)[고:가] ② 대가(代價)[대:가]
③ 사법(司法)[사법] ④ 해법(解法)[해:뻡]
19. 다음에 제시한 금융 회사 이름 가운데 그 표기가 올바른 것은?
① 굿모닝(good-morning) 신한 증권
② 외환 방카슈랑스(bancassurance)
③ 푸르덴셜(prudential) 생명
④ 강남 화이낸스(finance)
20. 우리말의 외래어 가운데 상당수는 좀 더 쉬운 우리말로 다듬어 쓸 수 있다.
다음 가운데 다듬을 말과 다듬은 말이 올바로 연결되지 못한 것은?
① 덤핑(dumping)―헐값 판매/헐값 팔기
② 인센티브(incentive)―유인책/조성책
③ 사보타주(sabotage)―파업
④ 이메일(email)―전자 우편
첫댓글 43343-23423-42431-11233 그런데18번 보기 4번이 발음 표시가 없어요. 보기 2번이 [대:까]로 발음되는 거 같은데 4번 보기가 [해:?]으로 된다면 2번으로 바꾸겠습니다. 오늘도 자신없는 건 찍었습니다. ㅠㅠ 발등을 찍을까봐 살살~ㅎㅎ
18번 수정했습니다. 16번은 홀몸->홑몸, 김치찌게->김치찌개 제 눈엔 두 개만 틀린 걸로 보이는데 뭐가 또 틀렸을까요? 저만 그렇게 답을 적었네요.ㅠㅠ
엥? [해:?]이 왜 수정이 안 되고 자꾸만 '?'로 나오죠??? 이상해요. 하여간 4번 보기가 [해:?]이면 2번으로 답을 정정하겠습니다.
그러게 말이에요..ㅎㅎ 정답 정정해서 올려 주시어요~~^^
43244 - 43123 - 41431 - 21212 ~ ~ ~
복사꽃 님 감사~~ 문제 푸느라 밤잠 설치시는 것은 아닌지....^^
43441-43123-41131-21233...휴.......어렵네요...미정선배님 성의에 해보긴 하지만...ㅡ.ㅡ''''''''
아~~ 감사합니다.. 역시 대마왕 님은 기대를 저버리지 않네요..ㅎㅎ 제 성의가 조만간 님의 실력으로 돌아갈 것을 약속합니다....^^
정답은 어디에..^^ 퍼가려고 하는데.. 답이 없네요 ㅋㅋㅋ
문제는 월요일 밤, 답은 수요일 밤에 올라 옵니다. 지난 문제부터 파가시지요. 오신 김에 풀고 가시지...^^
이틀만 기다려 주셔요.. 근데 문제는 풀어보셨죠? ㅎㅎㅎ
43244-43123-42431-21212 / 손대기(5)와 코(8)은 찍고 16번은 홀-홅, 제-당신, 찌게-찌개? 19번도 결국 찍고 갑니다.
수고하셨어요. 날이 차네요. 감기 조심하세요...^^
43444-43123-42434-11213 애들 문제집 푸는 것만 돕다가 제가 직접 풀려니 어렵기도,신나기도 합니다.
신나신다니 제가 더 기쁩니다.. 늘 그렇게 즐거운 마음으로 하시면 쑥쑥 늘어나는 실력에 기쁨이 배가 될 거예요...^^
43442-13114-41433-11212... 어휴~ 어렵네요... 창피해서 올릴까말까 고민하다 올립니다... *^^*
감사합니다..첫 발을 떼기가 힘들지 두번째는 좀 편해집니다.. 애쓰셨어요...^^
43241 43123 42431 21213 저만 그런가요.. 문제가 점점 어려워져요.. ㅎㅎ 삼월 변덕날씨에 봄바람 따라다니다가 된통 감기 앓았슴돠~ 아~~ 머리땡겨~ 정말 삼월은 싫어~
ㅎㅎ 16번 문제~~ 저그 우에 정꼬리님께 힌트얻었네요~ ㅋㅋ
난이도가 좀 일정치 않아요....ㅎㅎ 그래도 참여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선배님...^^
와하하하~~거의 다 찍었는데 반도 넘게 맞았어요 ㅋㅋㅋ
행운이라고 해야 할까요? 아님 실력이라고 해야 할까요? 몇 번 더 참여해 보시면 압니다....ㅎㅎ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