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출처: 꽃과정원과 다육식물 원문보기 글쓴이: mom3
선인장의 종별 속별 특징과 번식 및 재배법
부채선인장(Opuntia) 선인장과. 부채선인장류
*꽃--여름~가을에 흰색,노랑,빨강,꽃이 핌 원산지--남,북아메리카 용도--분식,대목,때로는 관상수,식용 재배--튼튼하여 가꾸기 쉬우나 ,달걀형종은 웃자라기 쉬우므로 강한 햇볕에서 가꾼다.
대형분이나 온실속의 ?에 심고 여름에는 서늘한 곳에서 가꾼다.
*비료,충해--대목용으로 빨리 기르려면 묽은 물비료를 때때로 준다.패각층이 붙기 쉬우므로 보이는대로 제거한다.
*번식--줄기마디(莖節)를 잘라서 절단부를 10일 정도 말린 다음 모래에 꽂는다. 특성--따뜻한 관광지의 해변에서 흔히 볼 수 있으며 내한성에 강하고 튼튼해서 널리 보급되고 있다.
최근에는 흰색과 노란색의 가시가 밀생하여 줄기마다(莖節)가 토끼의 귀같이 보이는 타원형 왜소형종이 인기를 얻고 있다.대목(台木)과 식용으로도 이용된다.
*종류--원통형의 큰 잎이 있는 장군(將軍),대형의 편평한 부채꼴인 대형보검(大形寶劍)등이 있다.
나뭇잎선인장(PeiresRia) 선인장과 잎선인장류
*꽃--여름에 흰색,노란색,연분홍색꽃 원산지--멕시코,남아메리카
*용도--분식,대목 재배--튼튼하여 잘 자라지만 추위에 약하므로 겨울에는 온실에서 가군다.분식이나 땅에 심어도 좋고,비료를 주면 1년에 2 ~3미터가지 자란다.
*비료--병충해비료는 별로 필요치 않다.청결히 관리하면 병충해도 거의 없다.
*번식--가지를 10센티정도 잘라서 2~3일동안 절단부를 말린 다음,건조하고 비료기가 없는 용토에 꽂는다.새싹이 자랄 때까지는 건조하게 한다.
*특성--선인장과 중에서도 드물게 보통 수목과 같은 넓은잎을 가지고 있으며 낮은 키나무처럼 잎은 무성하지만 줄기는 가늘고,덩굴처럼 자라는 종류도 있다.
잎은 다육질이며 부드럽고 선인장답게 가시는 있으나 ,다른 것과 달라서 반드시 잎의 밑둥부에만 있다.대목으로 이용된다.
*종류--대목용으로는 목기린,관상용으로는 잎뒤가 자주만년청과 같은 미엽(美葉)목기린,부리가 고구마와 같은 살이 찐 월계(月桂),핑크색의 대륜화가 피는 벚나무기린이있다.
벚나무기린의 가시는 침모양으로 길고,목기린에 접붙엿을 때 바탕나무와 이삭을 관삽(串揷)하여 고정시키는데 사용된다.
공작선인장(Epiphython) 선인장과, 엽상(葉狀)선인장류
*꽃--5~7월에 빨강이고 원예품종에는 흰색,노란색,복숭아색,보라색
*원산지--멕시코,남아메리카 북부
*재배--봄부터좋은 포기로 가구기 시작하고 ,여름에는 물을 줄이고 서늘한 반그늘에서 ,겨울에는 얼지 않게 관리한다.
*비료,충해--선인장동류는 대부분 비료를 즐긴다.부리가 짧으므로,깻묵과 골분의 덩이비료를 분흙위에 얹는다 번식--5~6월과 9월에 줄기마디를 잘라서 절단부를 말려 깨끗한 용토에 꽂는다.
*특성--공작의 꼬리와 같이 보이는 편평한 잎과 길이 1미터의 다육질(多肉質)줄기에 아름다운 큰 꽃이 핀다.
파로디아(Parodia) 선인장과 남아메리카 꽃선인장류
*꽃--봄에 노랑,빨간색의 ?이 핌
*원산지--볼리비아,아르헨티나북부,
*용도--분식 재배--어린동안에는 튼튼하게 자라지만 성숙해지면서 뿌리가 약해지고 말라죽는 일은 없으나 순조롭게 자라지는 안는다.
구의지름미 6~10센티 정도의 소형종이므로 너무 크게 가꾸려는 생각은 하지 말아애 한다.
*비료--어릴 때에는 묽은 물비료를 주어 건강하게 가꾸지만 다 자라면 비료없이 가꾼다.
*번식--주로 실생을 하지만 씨가 매우 작아서 약간의 기술이 따라야 한다.
*특징--남아메리카산 꽃선인장의 동류로 그꽃은 아름답지만 개화기외에는 관상가치가 떨어지므로 선 인장 애호가들로부터 외면 당하는 수가 많다.
그러나 파로디아속은 독특한 아름다움을 지닌 가시가 밀생하여 이 결점을 보완하고 있다.
*종류--이 속은 약 120종 정도며 모두 꽃과 가시를 함께 즐길 수 있는 우수한 품종이다.
게잎선인장(Epiphyllanthus) 선인장과 엽상선인장류
*꽃--게잎선인장은 봄,자고선인장은 겨울
*원산지--멕시코,브라질
*용도--분식 재배--여름에는 서늘한 반그늘에서 건조하게 가구낟.꽃봉오리가 보이기 시작할 때 환경을 갑자기 바꾸면 개화전에 꽃봉오리가 모두 떨어진다.
겨울에는 10도정도의 따듯한 창가에서 관리한다
*비료,병충해--매우 묽은 물비료를 한달에 두 번 정도 물 대신 준다.줄기가 시들 때 뽑아 보면 뿌리에 밀가루를 뿌린 것같이 보이는 경우가 있는데 이것을 완전히 제거하기 어려우므로 꺾꽂이를 해서 새로운 모종으로 다시 시작하도록 한다.
*번식--봄에 줄기마디를 2~3마디 잘라서 꽂는다.
*특징--요즈음,크리스마스켁터스라는 이름으로 불리어지는 종류이다.
편평하고 작은 줄기가 이어져서 그끝에 아름다운 꽃이 핀다.
*종류--크리스마스선인장.이스터선인장의이름으로 아름다운 원예품종이 많이 쏟아져 나오고 있다.
에키노포슬로선인장(Echinofosslocachus) 선인장과 북아메리카 구형선인장류
*꽃--초봄과 봄에 흰색,노랑,복숭아색의 꽃이 핌.흰색바탕에 복숭아색 줄무늬가 있는 종류가 많다.
*원산지--멕시코
*용도--분식 재배--어릴 때에는 가꾸기 쉽지만 친구(親球)나 수입구는 재배가 까다롭다.
말라죽는일은 드물지만 뿌리가 약해서 생각대로 좋은 가시가 나오지 않는다.
*비료--봄,가을에 성장하고 한여름엔 휴면한다.
어릴 때는 초봄에 비료를 준다.
수입구는 비료엇이 건조하게 가꾼다.
*특징--표면에 50~100여개의 모서리가 있는 것이 이 동류의 특징인데 이 모서리에 강자류(强刺類-강한 가시를 가진 종 류)와 같은 길고 큰 가시와 마밀리아와 같은 밀집된 흰가시가 돋아 있어서 관상의 대상으로 충분하다.
작은 것도 초봄부터 귀여운 꽃이 잘핀다.
소형과 중형종이 많으며 구형(지름5~10센티 정도에 짧은 원통형의 것이 가장많다. 로비비아(Lobivia)
선인장과 남아메리카 꽃선인장류
*꽃--봄철에는 주로 빨강,주황,노랑
*원산지--페루중부,볼리비아.아르헨티나 북부,
*용도--분식 재배--꽃을 관상의 목적으로 가꾸는 경우는 뿌리가 튼튼한 대목을 선택해서 접붙이면 성장에 좋고 꽃도 잘핀다.
대목으로는 목기린,보검등의 부채류,단모환(短毛丸)등이 좋다.
*비료--비교적 튼튼하고재배는 쉬우나 성장이 어느 한계점에 도달하면 성장을 멈추고,약간 길게 될 뿐이다.그러나 꽃은 매년 잘 핀다.
포기가 여러해 묵으면 뿌리도 약해지므로 비료는 되도록 주지 않는 편이 좋다.
*번식--저절로 새기를 치는 것은 이것을 따서 꽂는다.빨리 번식시키려면 성장점을 끊고 강제로 새끼를 치도록 유도한다.
*특징--남미산인 둥근 선인장 중에서 꽃이 아름다운 여러 속(屬)을 모아서 원예적으로 '남미꽃선인장류'라 부르며 그 중에서 로비비아속 외에도 프세우드로비비아,아칸트로비비아등의 각 속을 포함하여 150여종을 총칭하여 로비비아라고 부른고 있다.
털기둥선인장(Pilocereus) 선인장과 털기둥선인장류
*꽃--주로 여름철에 꽃이 핌
*원산지--남,북아메리카.
*용도--장식용.
*분식 재배--어린 모종은 매우 튼튼하나.큰 포기로 자람에 따라 가꾸기가 어려워진다.
보통털기둥선인장에 비해 뿌리가 약하기 때문에 분식할 때는 뿌리를 다치지 않도록 소중이 취급해야 한다
*비료,병충해--큰 포기로 자라면 비료는 거의 필요없게 됨,물비료도 가볍게 주는 정도로 끝낸다.
병충해는 거의 없다.
*번식--실생으로 한다.
*특징--털기둥선인장 중에서도 흰털을 밀생시키는 여러속의 털 기둥선인장으로 나누어 취급한다.
기둥전체를 솜으로 싼것 같은 종류로부터 머리카락이나 낚싯줄과 같은 강한털로 덮혀 있는 것까지 수십종이 있고,관상가치가 높다.
기둥선인장(cereus) 선인장과 기둥선인장류
*꽃--봄~여름
*원산지--남,북아메리카
*용도--장식용.
*분식.관상수 재배--튼튼하여 가꾸기 쉬운 종류가 많으며 비교적 추위에도 강하다.
봄부터 가을까지는 물이나 물거름을 주어 건강하게 가꾸고 겨울에는 물을 주지 않고 휴면시킨다.
최근에는 장식용으로 흔히 눈에 많이 뛰게 되는데 성장기 에는 유리창을 통한 빛이라도 충분히 쬐도록 한다.
*비료,병충해--비료는 진한 것을 피하고 매우 묽은 물비료를 여러 차례 나누어서 주며,병충해는 거의 없다.
*번식--웃자란 것은 칼로 자르고 절단부를 잘 말려서 비료기가 없는 모래에 꽂는다.
*특징--선인장이라 하면 새끼손가락 끝만한 작은 것에서부터 서부극에 등장하는 전주(電柱)만한 크기에 이르기까지 수백종이 있다.
삼림성의 세주종(細柱種)은 땅을 기거나 늘어지거나 또는 덩굴과 같이 나무나 바위에 엉겨붙어서 자라지만 큰 기둥종류는 고목형으로 자라서 큰 수관(樹冠)을 형성한다.
텔로선인장(Thelocactus) 선인장과 북아메리카 구형선인장류
*꽃--봄~초여름에 흰색,연노랑,진노랑또는 연복숭아색,홍색의 꽃이 핌
*원산지--멕시코, 용도--분식 재배--성장은 봄부터 시작되어 여름엔 약간 쉬고 늦가을까지 하지만 성장이 늦는 편이므로 서서히 가꾸어 나 간 다.
뿌리를 소중히 다루고 배수가 잘되는 용토를 사용한다.
*비료,병충해--비료는 조심해서 주고 붉은 진드기가 발생하기 쉽고 녹병애 잘 걸리므로 공기의 습도를 높여서 햇볕에 잘 쬐어야 한다.
*번식--실생으로 번식시킨다.어린 시기엔 튼튼하게 자라므로 접붙이기를 하지 않은채 가꾼다.
실생묘에는 사자두계와 닮은 것이 많으므로 모종을 구입할 경우 잘 구분해서 구입한다.
*특징--중형구형(中形球形)대통령계(大統領系)는 가시와 꽃이 아름답고 사자두계(獅子頭系)는 회백색을 띤 몸색깔과 듬직한 품격에 관상가치가 있다.
최근에는 별로 볼 수 없게 되었는데 고급품을 즐기는 마니아들에게는 사랑을 받는 품종이다
로제오선인장(Roseocactus) 선인장과 사마귀 선인장류
*꽃--주로 가을에 주로 복숭아색,자홍색또는 흰색의 꽃이 핌
*원산지--미국 텍사스주에서 멕시코에 걸쳐 분포
*용도--분식 재배--재배는 쉬운편.4월중순~5월에 배수가 잘되는 용토로 이식하고 물을 충분히 주어서 가꾸고 겨울에는 완전히 물을 끊고 휴면시킨다.
대개 성장이 늦으나 성장점 부근의 솜털이 솟아오르는 듯 아름답게 보이면, 만족한성장을 하고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비료.병충해--실생의 어린 묘목이나 목묘(접붙이기 모종)는 약간의 비료를 주지만 그외의 것은 비료없이 가꾼다. 병 충 해 는 거의 없다.
*번식--수입구에 의하거나 실샐으로 번식시킨다.
*특징--선인장과는 건조에 잘 견디고 사막의 환경에 순응하도록 되어있으며 진화의극한에 와있는 것이 모 란 류 (牡 丹 類) 라 할 수 있다.
몸체의 대부분이 흘게 묻혀있고 가시도 없으며 딱딱한 가죽 같은 겉껍질이 회색 또는 흑갈색으로 바위와 같은 모양이므로 구미인들은 "살아있는 바위"라고 부르고 있다.
실생의 작은 모종은 판매 되고 있으나 큰 것은 주로 원산지로부터 수입한다.
큰 것의 대부분 100년이상 묵은 것으로 추측.
김노칼리키움(Gymmocalycuon) 선인장과 남미 침옥(針玉)선인장류
*꽃--노란색,또는 연홍색.빨강색
*원산지--미(브라질에서 아르헨티나에 걸쳐 분포)
*특징--남미산 선인장중에서 애호가들의 많은 사랑을 받고 있으며,원예적으로도 가치가 많다.
형태는 구형,또는 균형잡힌 편구형이며 가시와의조화도 잘 어울리고 어릴 때부터 관상가치가 높은 종류가 많다.
2~3가지의대형종을 제외하면 소구일 때 꽃이 잘 피고 오랫동안 몇 번이고 계속 꽃이 피는 것도 있다.루비와 같은 붉 은꼿 의 선인장으로도 유명한 "비모단(緋牡丹)'도 여기에 속한다.
노토선인장(Notocactus) 선인장과 남아메리카 꽃선인장류
*꽃--봄에 피며 주로 노란꽃
*원산지--브라질,우루과이,아르헨티나
*용도--분식 재배--뿌리가 튼튼하여 어릴 때부터 잘 자라지만 로비비아와 같이 일정한 크기로 자라면 성장이 멎고 겉껍질이 아랫부분부터 노화(老化)하지만 꽃은 매년 잘 핀다.
*특징--남미산의 꽃선인장류 중에서는 오래된 속이며 빛나는 황금색꽃에 이미 친숙해진 사람이 많다.로비비아속과 함께 체격보다도 더 큰 꽃이 핀다.
페로선인장(Fetocactus) 선인장과 북아메리카 구형선인장류
*꽃--주로 노랑,빨강색의 꽃이 핌
*원산지--미국 남서부에서 멕시코
*용도--분식 재배--재배면으로 보면 강한 가시를 가진 종류는 여름형과 겨울형으로 나눌 수 있다.
겨울형은 그 생김새가 보통 붉은 가시가 있는 호두,예수옥(刈穗玉)이 있으며 가을에서 겨울,초봄에 성장한다.
재배는 쉽지만 가시를 멋있게 돋게 하기는 어렵다.
8월하순에 이식하고 성장기간 중에 충실히 성장 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여름형은 봄부터 늦가을 까지 성장기이며 3월에 이식한다.재배는 비교적 쉽다.
*특징--선인장과 중에서도 가장 억센 가시를 지닌 군(群)으로 선인장의 상징이라고 할 수 있는 가시를 훌륭하게 가꾸는 것을 목표로 갖가지 노력을 거듭하고 있으나 현재까지 원산지에서 볼 수 있는 것과 같은 강한 가시에는 미치지 못하고 있다.
네오포르테리아(Neoporreria) 선인장과 남아메리카 침옥선인장류
*꽃--선홍색.자도색(紫桃色)
*원산지--칠레의 북부~중부에 분포
*용도--분식 재배--성장기는 초봄~초여름이며 이식은 보온(保溫)에 유의하여 되도록 초봄(2월하순~3월경)에 하는 것이 좋다.
*비료--다 큰 후에는 거의 비료없이 가꾼다.
*번식--주로 실생에 의하지만 씨의 입수가 어렵다.접붙이기로 건강하게 가꾸어 성장점을 잘라내고 강제로 새끼를 치게 하여 이것을 따서 접붙여서 가꾸는 것이 가장 간편하다.
*특징--지름 10센티 이내이며 구형이다.짧은 원통형에서 곧 기둥꼴로 자란다.
강직한 털로 되어잇는 것과 가는 바늘형의 섬세한 가시로 되어 있는 것등 아름다운 종류가 많다.
겨울과초봄에 붉은색계통의 화려한 꽃을 성장점부근에 모아서 피우는데 그 모습은 아름다움의 극치이다
에키노마스터스(Echinmastus) 선인장과 북아메리카 구형선인장류
*꽃--봄에 흰색또는 연복수아 ,진복숭아 ,연보라.보라.갈색의 꽃이 핌
*원산지--미국 텍사스주,멕시코의 고지
*용도--분식 재배--성장기는 9월중순~ 5월경까지이며, 분갈이는 9월초순에 배수가 잘되고 비료기가 없는 용토로 물갈이 한 다.
여름에는 해가림을 하여 물을 조금씩 주고 서늘한 곳에서 완전 휴면시킨다.
일반적으로 접붙이기로 번식시 킨다
*특징--독특한 아름다움을 지닌 침형(針形)의 가시로 덮혀잇는 소형 선인장으로 가꾸기가 어렵다는 점으로 유 명 하 다.
자 생지가 매우 높은산이므로 선인장 재배의 어려움과 고산식물재배의 까다로움을 겸한 종류라고 할 수 있다.
로포포라(Lophophora) 선인장과 북아메리카 구형선인장류
*꽃--복숭아색,흰색
*원산지--미국 남서부에서 멕시코에 걸쳐 분포
*용도--분식 재배--성장은 별로 빠르지 않으나 매우 튼튼해서 원산지로부터의 수입구(輸入球)도 활착이 간편하다.
성장기는 봄부터 가을까지 적절한 고온과 다습한 환경에서 잘자라며 추위에 강하다.
*특징--겉껍질은 부드러운 청록색이며 가시가 없고 양털같은 털이 많이 있으며 편구형(編球形)으로 자란다.
이 부드러운 육질의 체내에 마취성 알칼로이드가 들어 있어서 이것을 먹으면 취해서 오색의 꿈을 꾼다고 전해진다.
엣부터 의식에 이용되었다는 이색적인 종류이다
새우선인장(Echinocercus) 선인장과 기둥선인장류
*꽃--주로 연홍색,진홍색인데 노랑,녹색꽃도 있다.암술이 녹색인 것이 매우 특이하다
*원산지--맥시코
*용도--분식 재배--햇볕이 부족하면 웃자라서 모양이 좋지 않다.
봄~초여름에 걸쳐서 핀다.강한 광선이나 고온에도 잘 이겨내는 성질이 있으므로 햇볕을 충분히 쬐도록 하며 추위에도 강하다
*비료,병충해--가는 기둥형은 비료를 즐기므로 깻묵덩이비료를 분흙에 묻어주고 가끔 물비료를 준다.병충해는 없다.
*번식--실생과줄기꽂이를 한다.가는 기둥꼴 종류는 줄기꽂이가 쉬우며 절단하여 7~10일 정도 그늘에서 말린다음 깨끗한 모래위에 늘어 놓는다.실생은 봄이 적기이다
*특징--분류상으로는 기둥선인장의 동류에 속하고 구형(球形),원통형(圓筒形),또는 가시기둥형으로 땅위를 기는 것등 갖가지 형태의 선인장이다.
모두 아름다운 꽃이 핀다는 공통점을 지니고 있다.
아리오카르푸스(Ariocarpus) 선인장과 사마귀선인장류
*꽃--가을에 흰색또는 연복숭아,노랑,자홍색의 꽃이 핌
*원산지--멕시코,
*용도--분식 재배--로제오선인장과 같다.
*비료,병충해--거름주기는 로제오선인장과 같으며 병은 없으나 괴근과 굵은뿌리에 상처가 생기면 점액(粘液)이 계속 나올 경우가 있다.이런 경우에 속히 상처에 햇볕응 쬐어서 건조시켜야 한다
*특징--로제오선인장과함께 모란류의 대표격 군이며 사마귀가 잎과 같이 삼각형의 돌기로 나타난다
파이레스키아 선인장 가운데서 형태는일반식물에 가깝고 잎도있고,줄기에는 가시가 있다
쟈이고선인장 게발의 변종과 다른교배종,또 다른 교배종과의 잡종이라 생각된다.
11~12월에 개화되므로 크리스마스켁서스라고도 한다.
노터켁서스류 유성류,강자류,모란류,고지성선인장,마미랄리아,기타선인장.비교적 저온에 강한게 있고 가시에는 여러 가지 변화가 많다.
가축의 사료로도 많이 쓰인다.열매가 식용으로 쓰이는 것도있다
필로세레우스와 체파로세레우스 양자의 구별이 어려울 정도로 닮았다
**접목선인장**
접목선인장은 우리나라에서 많이 수출한다.
전세계 접목선인장시장의 80%차지하지만 전체선인장 시장에서는 5~7%를 차지한다.우리나라의 기술이 조금 앞선다는 것과 기후적으로 접목에 알맞은 대목을 생산하기 좋다는게 이유란다.
*산취--기둥선인장의 일종으로 교잡에 의한 돌연변이 이다.전체수출의20~30%차지
*비모란--붉은색을 띠는 품종이 아니고 교잡에 의한 돌연변이로 적색.황색등 다양한 색상을 띤다.
전체수출의 40~50%
목기린Peireskia aculeata 목엽선인장
*원산지--브라질 북동부,파라과이,서인도제도
*꽃--흰색 특징--관목형으로 자라고 줄기는 목질화되었으며 잎은 건조하여 휴면기에 낙엽된다.
잎은 길이 4~7cm정도로서 긴원형꼴 이며 뽀족하다.
흰빛깔을 나타내는 꽃은 옆가지의 꽃꽂지에서 피고 종자는 흑색을 띤다.
변종으로는 가지가 가늘고 잎표면은 황색기미가 있으며 뒷면의 묽은 미엽목기린(美葉)등이 있다.
백조(白鳥)Mammillaria herrerae 맘밀라리아류
*원산지--멕시코
*꽃--담홍색내지 담홍자색
*특징--그리스신화의 헤라여신의 이름을 딴 백조는 편구형이며 연질.다육근경성(多肉根莖性)이다.
혹은 원통형이고 약간 강한 솜털형의 푸른가시가 방사상으로 나 있다.
꽃은 담홍색내지 담홍자색이다.
삼광환(三光丸)Echinocereus pectinatus 기둥선인장류
*원산지--북부 멕시코
*꽃--홍자색
*특징--고슴도치와기둥선인장을 뜻하는 두 희랍어로 이름 지어진 삼광환은 절치상으로 지름이 약 6cm,높이가 20cm 정도로서전체가 가는 가시로 싸여 있고,짧은 원통형을 나타낸다.
가시자리는 밀생하고 좌우의 가시군은 빗모양으로 보이며 한 개의 가시자리에는 30개 정도의 가시가 나 잇다.
모서리는 20~22개 정도이고 식물체의 옆쪽에 중앙부위가 하얀색을 띤홍자색의 꽃이 핀다.
서운환(瑞雲丸)Gymnocalycium mihanovichii 김노칼리큠속
*원산지--파라과이
*꽃--황록색또는 흰색
*특징--브라질,아르헨티나,우루과이.파라과이의 비교적 낮은 초원지대에 분포하는 선인장으로 지름이6cm정도의 편평한 구형을 나타내고 회녹색또는 적갈색을 띤다.
모서리는예각을 이루고 1cm내외의 가시가 보통 5개 정도 가시자리에 붙었다.
꽃은누두(漏斗)모양이며 황록색혹은 흰색을 띤다.
구체에는 명암의 흰깁이 가로로 발달되어 있어 이채롭다.
이와 유사한 변종으로 복사꽃 색깔의 꽃을 피는 목단옥,짙은 장미색에서부터 흰색까지 여러 색깔의 꽃색을 나타내는원무곡(圓舞曲),식물체 지름이 15cm정도이고 모서리가 예각을 이루며 꽃색은 황백이나 백색을 보이는 상운환등이 유명하다
양성환(陽盛丸)Lobivia famatimensis 로비비아속
*원산지--아르헨티나,볼리비아
*꽃--황색
*특징--애키노프시스속 선인장과 매우 유사한데 모양은 한줄기 또는 군생체로 작은 원통상을 이루고 모서리는 24 개 이 며 약간혹 모양으로 보인다.
희고 작은 가시가 밀착되었으며 꽃은 길이가 3cm정도로 황색을 띤 다.
변종으로는 구체가 붉은 기미가 있는 암녹색을 나타내고 흰꽃이 피는 설련환(雪蓮丸),짙은 황금색 꽃이 개화하는 등 홍환 옆가시가 백색인 강모상을 하고 중자는 갈색이며 광택이 나는 황백꽃이 피는 백려환등이 알려져 있다.
장생환(長生丸)Echinopsis multiplex 에키노프시스속
*원산지--브라질 남부지방
*꽃--장미빛색
*특징--애키노프시스속 선인장은 남미 중북부의 광역에 걸쳐 고원지대에 분포하며 우리나라에서도 오래전부터 재배하고 있었다.
속명은 고슴도치와 유사하다는 뜻을 가진말이며 종명은 수배(數倍)라는 의미를 나타낸다 .
높이가 30cm 정도로 원통형을 나타내고 모서리는 13`14개이며 땅부위는 넓고 위쪽은 예각을 이 룬 다. 가시자리는 흰색을 띠고 옆가시는 5~15개 정도로서 잎부분이 황갈색을 띠며 가운데 가시는 2~4개가 나 있다.
꽃은 길이가 15~20cm정도이며 장미빛색을 나타낸다.
적룔환(赤龍丸)Ferocactus latispinus 강자속
*원산지--멕시코
*꽃--선홍색
*특징--라틴어인 "무서운(fero)이란말과 선인장을 뜻하는 두 낱말로 된 이름이며 종명은 편평한 모양인 가시를 뜻한다
식물체는 높이 보다도 지름의 크기가 큰 편구형으로 자란다.
중자는 폭이 넓고 편평하며 선단이 굽어 낚시대 모양을 하고 있다.
녹색가시 중 양옆에 있는 2~4쌍은 흰 강모(剛毛)모양을 나타내며 꽃은 선홍색이나 약간 황색을 띤다.
변종인 금치옥은 순황색 꽃이 핀다.
강자속 선인장은 멕시코 중북부지방에서 캘리포니아반도와 북미동남부의 태평양 연안에 분포하고 있다.
칠칠자환(七七子丸)Mammillaria wildii 맘밀라리아속
*원산지--멕시코
*특징--다수의 작은 구체가 군생하는 종으로 단일구체는 지름4`6cm,높이 8`15cm정도로 우연한 다육 질 이 다.
휴면시에는 군생체 전체가 편평하게 위축된다.
혹부위는 약간 긴편이고 가시는 10mm내외로서 녹색을 띠나 끝은 무 색 투명하다.
중자는 3~44ㅐ 정도로서 가는 바늘꼴을 나타내며 길이는 10MM 내 외 이다.
생육특성이 비슷한 선인장으로서는 경미인(京美人),금려환(琴麗丸),선려 환 (仙 麗 丸),고사 (高 砂),백성산(白星山),설의(雪依)등 20 여 종 이 알려져 있다.
하내환(河內丸)Notocactus apricus 에키노토켁서스속
*원산지--우루과이지방
*꽃--황색
*특징--외견상으로는 맘말라리아속 선인장과 비슷하다.
속명은 남미산의 선인장과 비슷하다.종명은 햇빛을 사랑한다는 의미를 가진다.
식물체는 20개 정도의 모서리가 있는 황록색의 편구형으로 나타내며 옆가시는 18~20개로 강모모양을 하고 황회색을 띤다.
중자는 4개 정도로 길이 1,5CM내외이며 그중 한 개는 밖으로 굽어 있다.
꽃은 비교적 대형이고 황색을 띤다.
선인장의 대표격이라 할 수 있다.
가시의 형태나 색의 변화가많고 작은화분에 심어 관상하는애키노켁서스중 하나이다
*종류--화관옥,황설광(黃說光),귀보청(貴寶靑),경운환(慶雲丸),홍관옥(紅冠玉),청왕환(靑王丸)등 20여 종이 알려져다.
목엽선인장류--선인장과 식물의 시조이며,잎이 붙어있어 선인장으로 생각되지 않는 기묘한 식물이다
갈대선인장류--녹색의 작은잎이 무성하게 자라며,그늘과 다습을 좋아한다
원선선인장류--널리 알려져 있으며 부채꼴로 자란다.변화하여 원톨꼴이나 연주꼴로 된 것도 있으며 자라는 힘이 매우 강하다
섬게선인장류--섬게와같은 형태이며, 뜰에 방치하여도 잘라자는 것이 많다.꽃은 크고아름답다.
모주(毛柱)류--온몸이 털로 덮여있는 기둥꼴 로비비아속,
레브차속--소형이며 둥글고 천자만홍이며 자신의 몸체보다 큰 꽃이 피는 경우가 많다.
프라일레이속--손가락끝 정도의작은 선인장으로 매우 강하며 스스로 시앗이 분에 떨어져 새끼친다.
유성속--정연한 5각형부터~8각형까지 있으며 몸에는 희고 작은점들이 밤하늘의 별처럼 붙어 있다.
강자속--호화롭고 강한 가시가 돋아나고 가시빛깔도 화려하며 아름답다
모란(牡丹)류--살아있는 바위라고도 부른다.마치 암석을 쌍아올린 것처럼 괴이한 형태를 가진 단단한 선 인장 며,모란과 같은 요려한 꽃이핀다.특히 건조에 강해 왕모래만으로 심는 것이 가장 좋으며 , 장마철 에는 다습으로 인해 죽는 수 가 있다
국수(菊水)속,제관(帝冠)속,오우옥(烏羽玉)속,황산(晃山)속-- 다른선인장에서는 볼 수 없는 약간 색다르며 재미있는 형태를 이루고 있다.
마밀라리아류--작은혹을 가진 우아하고 아름다운 소형선인장
멜로켁터스속--자라게 되면 머리위에 꽃자리라 부르는 터어키모자와 같은 기관이 생김
네오폴텔리이속,딜레니아속--소형이며 아취가 있고 담백한 식물로 가시가 강한 것이 많다.
텔로켁터스속,콜리판티속--크고 둥글둥글한 혹을 가진 대륜의 아름다운 꽃이 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