甲이 甲,乙,丙,丁,戊를 만나면
[甲甲]
雙木爲林(쌍목위림:나무가 짝을 지어 숲을 이룸) ◎
빽빽한 숲. 森林(삼림). 추진력이 막강하다. 비견으로 동지들끼리 의기투합하는 모습.
새싹들의 경쟁, 돌파력, 추진력, 경쟁력이 좋다. 숲을 이루게 되니 土가 강해야 한다.
굵고 멋진 대들보로 사용하기는 부족한 면이 있다.
숲의 기상, 활동력이 왕성하고 모든 경쟁력에 강함.
[甲乙]
藤蘿繫甲(등라계갑:덩쿨풀이 나무를 휘어감음) x
소나무에 담쟁이가 타고 올라가는 모습.
애써 무시하면서도 乙에 대한 피해의식을 떨쳐 버리지 못한다.
甲乙목 모두 다 앞으로 나아가려고만 한다.
큰 나무의 곁가지. 덩쿨나무. 굽은나무. 龍頭蛇尾(용두사미). 나무에 핀 꽃.
큰나무에 넝쿨 나무가 감겨 올라 감 (甲목의 행동 不자유). 甲목이 재목(材木)되기 어렵다.
甲의 부담백배, 담쟁이 넝쿨이 소나무를 휘감은 격으로 튼튼한 명.
[甲丙]
靑龍返首(청룡반수:푸른 용이 다시 돌아와 얼굴을 내밈) ◎
솟아오르는 나무에 햇볕은 필수적이다. 氣가 상통하게 되니 목화통명이라 한다.
丙화가 너무 강하면 甲목은 癸수를 必要(필요)로 한다.
甲목 입장에서 식신 활동이 활발해 진다. 실력이 늘어난다.
甲목은 태양과 함께 지지에 癸수가 있으면 좋다.
햇빛을 보고 자라는 나무. 양기(陽氣)의 전면적 표출,
실력과 권위가 뚜렷해짐.
丙화 식신(食神)은 甲목의 힘을 설기(洩氣)하지 않으며 오히려 강하게 한다.
십간(十干)의 세계에서 단순한 오행의 생극제화(生剋制化) 논리는 통하지 않는다.
[甲丁]
有薪有火(유신유화:땔나무가 있고 불씨가 있음) ◎
가을 겨울의 甲목은 목재, 화목으로 사용되니 활인지업이 좋다.
의기(義氣)는 큰데 유통이 잘 안되니 답답하다. 큰 나무에 잔가지. 달빛 아래 나무.
甲丁은 상관의 활동이 활발해 진다. 장작에 불이 붙은 격.
학문이나 예술적 능력이 탁월하다. 불에 타는 나무. 불에 그을린 나무(화상. 흉터)
겨울철 나무이면 丁화는 온상.
貴의 요건-庚을 찾아야 함 (甲丙에 비해 富를 論하지 않음)
활인지명(종교, 학술 등의 방면에서 재능이 뛰어남- 종교지도자, 교수, 술사)
[甲丁乙] ◎
가을 겨울의 甲목과 丁화의 관계는 활인업에선 일반적으로 좋다.
여기에 乙목이 함께하면 丁화는 꺼지지 않고 甲목과 좋은 관계를 유지한다.
이런 관계는 대민봉사, 교육 등에서 성공하는 좋은 관계로 본다.
[甲丁戊] 유신유화유로(有薪有火有爐) : 지식의 습득 능력이나 발표력이 탁월한 구조 ◎
戊토에 丁화가 있으면 불이 타는 가마의 모습이다. 겨울에 바람막이 건물에 난방이 구비된 모습으로 볼수 있다.
甲목이 사목(死木)의 상태이면 庚금을 크게 반길 것이다.
수재의 명식: 학업이 매우 우수하다.
[甲戊]
禿山孤木(독산고목 : 민둥산에 홀로 서있는 외로운 나무) △
戊토 위에 甲목이다. 산위에 있는 소나무로 해석한다.
丙화를 반길 것이며, 庚辛금은 꺼린다.
산중의 낙락장송이라 丙화가 없으면 인적이 없다. 높은 산의 나무는 고독하다.
민둥산의 고목 형상. 富의 산실을 겪고 안정감이 떨어짐.
甲일간과 己의 조합은 富를 논하나, 戊의 조합은 戊가 희신이라 해도 巨富를 논하지 않는다.
십간의 조합이 우선이다.
독산고목(禿山孤木) : 민둥산의 고목 형상 (孤 - 돈도 없고 외롭다)
戊가 강하면 갑목이 쉬 뿌리 내리지 못한다.
첫댓글 공부합니다. 편안하신 주말 발원합니다 ()
甲이 甲,乙,丙,丁,戊를 만나면~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 꾸우벅~
甲이 丁을 만나면 有薪有火(유신유화:땔나무가 있고 불씨가 있음) 이라~
[甲戊] 禿山孤木(독산고목) 민둥산에 홀로 서있는 외로운 나무로 여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