휘게(hygge)
사랑하는 가족이나 친구 또는 혼자서 보내는 소박하고 아늑한 시간을 뜻하는 덴마크어로, 덴마크 사람들이 지향하는 여유롭고 소박한 삶의 방식을 뜻한다. 덴마크 사람들의 삶에 대한 태도를 압축하고 있는 말이라 할 수 있겠다.
최원형에 따르면, “가족이나 친구 등 가까운 사람들이 모여 양초를 밝힌 따뜻한 분위기에서 식사를 하거나 맥주를 마시면서 여유 있는 시간을 보낼 때 이를 휘게라고 한다. 휘게는 호화스럽거나 화려한 것과는 거리가 멀고, 모든 사람들이 이용할 수 있게 쉽고 간단해야 한다.”
『덴마크 사람들처럼』의 저자 말레네 뤼달은 휘게는 1973년 유럽에서 처음 세계 여러 나라를 대상으로 행복도 조사를 한 이래 덴마크가 늘 선두를 차지한 비결 가운데 하나라고 말한다.
복지국가 시스템이 잘 되어 있어 덴마크 사람들의 행복도가 높은 게 아니라 복지국가 시스템뿐만 아니라 덴마크 사람들이 내면에서 행복의 원천을 찾으려 하기 때문에 행복도가 높다는 것이다.
그는 덴마크 행복의 10가지 비결로 신뢰, 교육, 자유와 자율성, 기회 균등, 현실적인 기대, 공동체 의식, 가정과 일의 균형, 돈에 초연한 태도, 남녀평등, 겸손 등을 들면서 “사람을 행복하게 하는 것은 국가가 아니”라고 말했다.
덴마크가 사람들이 행복해지도록 시스템을 만들어낼 줄 아는 국가지만 “나머지는 각 개인이 자기 자신과 조화를 이루기 위해 시도해야 하는 여정에 달려 있다”는 것이다.
휘게 문화는 개인적인 차원에만 그치는 게 아니다. 뤼달은 공동체와 국가 차원으로까지 적용된다고 말한다. “휘게를 느낄 수 있는 넓은 의미의 ‘집’에 대한 소속감은 국가, 상징, 가치관에 대한 사랑으로도 나타난다.”
이와 관련 손영옥은 덴마크 사람들은 “덴마크 국기 ‘단네브로(덴마크의 힘이라는 뜻)’에 대한 애정이 대단하다. 집집의 정원에는 깃대 위에 국기가 펄럭인다. 크리스마스트리도 국기로 장식한다. 심지어 생일 케이크에도 양초와 함께 단네브로를 빙 둘러 꽂는다. 스스로 좋아서 하는 일이다”면서 이렇게 말했다.
“휘게 문화가 사회로, 국가로 확장돼 나타난 게 케이크 위에 꽂은 국기다. 우리도 스스로 좋아서 케이크에 너나없이 태극기를 꽂고, 페이스북엔 그런 사진이 무시로 올라오는 나라를 꿈꿔본다.”
‘왜 이렇게 쫓기며 사는가, 어떻게 해야 더 나은 삶이 가능할까’란 질문에 대한 답을 구하고자 여기저기 뛰어다닌 끝에 『타임푸어』를 쓴 『워싱턴포스트』의 기자 브리짓 슐트는 타임푸어에서 벗어나기 위한 대안 중 하나로 휘게를 들었다.
차 한 잔을 마시더라도 그 순간을 즐기고, 멋진 저택을 지나치면서 질투심이 나면 지금 내 집을 얼마나 사랑하는지를 다시 떠올리라는 것이다. 슐트는 “휘게는 기대를 낮추자는 게 아니라 현실적인 기대를 가지자는 뜻”이라고 설명했다.
참고문헌
최원형, 「덴마크 행복의 원천 ‘휘게’」, 『한겨레』, 2015년 4월 10일.
손영옥, 「생일 케이크 위에 태극기 휘날리려면」, 『국민일보』, 2015년 4월 30일.
이기창, 「쫓기는 삶은 그만···시간의 주인 되는 법」, 『매일경제』, 2015년 6월 12일
박훈상, 「세상에 당당하게 외쳐라, 내 시간, 함부로 줄 수 없어!」, 『동아일보』, 2015년 6월 13일.
http://100.daum.net/encyclo9pedia/view/54XX34300201
첫댓글 전 우리나라가 덴마크보다 물질이나 능력, 주변환경이 모자르다고 생각하지 않습니다.
그러나 우리나라는 사람들이 너무 높은 기준, 현실과 동떨어진 기대를 하면서 스스로 불행해한다고 생각합니다. '남이 하니까 나도...'라는 태도는 그리스도인으로써 바르지 않은 태도라고 생각합니다.
기대를 없애자는게 아닙니다. 현실에 맞는 기대를 하자는 게 '휘게'입니다.
인간에게 있어서(특히 그리스도인들에게있어서) 가장 소중한것이
"지금 맞이한 현재의 삶에서 어떻게 사느냐"
인데 올지도 안올지도 모르는 미래에 지나치게 집중함으로서 '유일한 자기의 것인 현재' 를 희생시키는데 있다고 봅니다
미래는 공중에 붕 떠있다가 어느날 뚝 떨어지는게 아니고 오늘을 오늘답게 누리며 산 사람들에게 주어지는 행복인것을....
'사랑하는 가족이나 친구 또는 혼자서 보내는 소박하고 아늑한 시간'....
작은 것에 행복할 수 있는 것이 지혜일 것입니다.
행복지수가 높은 나라는 의외로 가난한 나라임을 종종 봅니다. 네...
우리 엄마 아빠가 종종 하시던 말씀이 있습니다. "형편대로 하면 돼.."
한국인들이 이민가도 적응하며 살기 어려운 나라중의 한 나라라고 생각합니다.ㅎ
어떤 사람에겐 더 할 나위없는 곳이 어떤 사람에겐 답답한 곳이 될수 있다는 ~
이 사회 많은 사람들이 속칭 '날라리' 문화에 길들여져 있는건 아닐까 생각합니다.
빌4:13
자족의 삶
휘게??
우리의 휴게와 비슷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