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newsis.com/view/?id=NISX20201111_0001229743
GS리테일·GS홈쇼핑 내년 7월 합병
온·오프 핵심 역량 결합 효과 기대
네이버는 CJ 통해 물류 약점 보완
이마트·SSG닷컴 통합 운영 시너지
[서울=뉴시스] 손정빈 기자 = 이마트 대표의 SSG닷컴 겸직, 네이버와 CJ그룹의 협업, 지에스(GS)리테일과 GS홈쇼핑의 합병. 최근 한 달 새 유통업계에서 벌어진 일이다. 핵심은 통합이다. 최근 수년간 빠른 속도로 진행된 온라인 대전환과 함께 갑작스럽게 닥친 코로나 사태로 비대면이 세계적 트렌드가 되자 유통업계가 크게 요동치고 있다. 세상이 변했는데, 과거 하던대로 해선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 살아남을 수 없다는 위기감이 팽배한 것이다. 이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업계는 뭉치고 있다. 유통업계 관계자는 "경쟁에서 밀리는 건 순식간이다. 혼자서 조용히 역량을 키우고 있을 시간이 없다. 시너지 효과를 낼 수 있다면 모든 가능성을 열어놓고 힘을 모아야 한다"고 했다.
서로 약점 채우는 GS리테일과 GS홈쇼핑
GS리테일과 GS홈쇼핑이 내년 7월까지 합병 작업을 완료하기로 한 것도 마찬가지다. GS리테일은 편의점과 슈퍼를 가진 오프라인 기반 업체다. GS홈쇼핑은 TV홈쇼핑과 온라인 유통이 주력인 회사다. GS리테일은 식품에 강하다. GS홈쇼핑은 패션·리빙·건강 부문에 영향력이 있다. 양사가 가진 물류·IT 인프라와 배송 노하우 등을 화학 결합할 수 있다면 유통 시장을 일정 부분 이상 장악할 수 있다는 계산이 나온 것이다. GS리테일은 "오프라인과 온라인 사업에서 각기 다른 핵심 역량을 가진 두 회사가 고민을 해결하고 성장 돌파구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고 했다. 두 회사는 합병 후 2025년까지 거래액 25조원을 달성하는 게 목표다. 쿠팡의 지난해 거래액이 약 17조원이었다.
CJ 통해 물류 시스템 약점 채운 네이버
네이버도 약점 보완을 위해 협업을 택했다. 네이버는 지난해 기준 국내 e커머스 기업 중 거래액 규모가 가장 큰 회사다(20조9250억원). 하지만 취약한 물류 시스템이 약점으로 꼽혔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지난달 26일 CJ그룹과 6000억원 규모 주식을 교환하며 전략적 제휴를 맺었다. 이로써 네이버는 CJ대한통운이라는 강력한 풀필먼트(포장·배송·재고 관리를 한 번에 처리해주는 시스템) 파트너를 얻게 됐다. 업계에선 "네이버의 막대한 트래픽을 기반으로 한 온라인 쇼핑몰이 쿠팡만큼 빠르게 배송도 할 수 있게 됐다"는 얘기가 나왔다. 네이버는 CJ와 협업으로 라이브 커머스 시장 장악도 노리고 있다. 드라마·예능·음악 등 국내 가장 뛰어난 영상 콘텐츠 제작 집단인 CJ가 네이버에서 양질의 라이브 커머스 방송을 내보내기 시작하면 파급력이 클 거라는 게 업계 시각이다.
온·오프 통합 운영 시동 건 이마트와 SSG닷컴
신세계그룹은 최근 계열사 간 통합 운영에 시동을 걸었다. 신세계는 지난 15일 이마트 부문 임원 인사를 하면서 강희석 이마트 대표이사를 SSG닷컴 대표이사에 겸직하게 했다. 신세계는 이 인사에 대해 "온라인 역량 강화 및 온·오프 시너지 창출과 조직 효율 제고 및 신성장 기반 구축에 중점을 뒀다"고 했다. 따로 운영돼 온 이마트와 SSG닷컴을 단일 의사결정 체제로 재편해 온라인 유통과 오프라인 유통 연계를 더 매끄럽게 이어가겠다는 의도로 풀이됐다. 유통업계 관계자는 "코로나 사태 이후 나타난 SSG닷컴의 빠른 성장세에 국내 최대 대형마트인 이마트의 강력한 바잉 파워를 결합하는 그림을 그리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했다. SSG닷컴의 지난해 거래액은 3조6000억원 규모다. 업계는 올해 SSG닷컴 거래액이 최소 40~50% 성장할 것으로 예상한다.
롯데그룹 역시 쇼핑 부문에 속한 백화점·마트·슈퍼·편의점·온라인몰을 통합해 '옴니 채널'을 구현하는 데 공을 들이고 있다. 롯데는 이르면 11월 중순이나 늦어도 12월 초로 예정된 임원 인사로 조직을 완전히 재정비할 거라는 전망이 나온다. 이때 파격적인 조치가 나오게 된다면 업계는 또 한 번 요동칠 수도 있다. 유통업계 관계자는 "연말에 굵직한 기업들이 변화를 위한 결단을 속속 내리면서 2022년부터는 살아남을 회사는 살고, 떨어져나갈 회사는 떨어져나가는 시장이 재편이 본격적으로 시작될 것으로 전망된다"고 했다.
개인견해 :
코로나 바이러스의 백신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이뤄지고 있는 지금, 일각에서는 바이러스가 내년 여름이면 종식될 것이라 이야기하기도 합니다. 그러나 그 누구도 바이러스의 완전 종식이 언제쯤 이뤄질 것인지 모르는 지금이기에 힘든 시기를 어떻게 헤쳐나가야 할지 우리는 논의해보아야 합니다.
기사의 내용과 같이 현재 유통업계에서는 살아남기 위한 전략으로 '공존'을 택했습니다. 자회사간의 통합을 시도한 회사들도 있으나, 전반적으로 기업들은 공존하는 전략을 펼치고 있습니다. 시기가 시기인 만큼 한국을 이끌어가는 대기업들 조차 전략을 바꾼 것입니다. 이러한 전략의 방향은 장점과 단점이 각각 존재하겠지만, 경제난을 포함해 상황이 좋지 못하므로 어찌보면 필연적이라고도 볼 수 있습니다.
대기업들조차 힘을 모으는 상황에 하루 빨리 종식을 위해 애써야한다고 생각합니다. 각종 모임에 대한 정부의 권고사항에도 불구하고 굳이 모임을 가지는 사람들이 있는데, 이러한 태도를 지양하고 최대한 바이러스의 전파를 막기 위해 모두가 노력해야하는 시점이라고 생각합니다.
돌이켜보면 이번 학기 운영관리와 관련된 기사에서 코로나 바이러스는 정말 뗄레야 뗄 수가 없는 존재였던 것 같습니다. 코로나로 인해 유통업계가 어떻게 변화되는지를 관찰할 기회를 얻었지만 그래도 어서빨리 포스트 코로나가 찾아왔으면 좋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