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덕경 본문 제36장 해설- 장차 합하고자 하는건 반드시 펴지고
將欲歙之, 必固張之. 將欲弱之, 必固强之.
장욕흡지, 필고장지. 장욕약지, 필고강지.
將欲廢之, 必固興之.將欲奪之 必固與之 是謂微明, 柔勝剛弱勝强.
장욕폐지, 필고흥지. 장욕탈지필고여지 시위미명, 유승강약승강.
魚不可脫於深淵. 邦之利器, 不可以示人.
어불가탈어심연. 방지이기, 불가이시인.
* 本文 三十六章 = 장차 합하고자 하는건 반드시 펴지고 장차 약하고자 하리 반드시 강하고 앞으로 장차 이지러 질려 하는건 반드시 먼저 굳게 일어나고 미래에 빼앗으려 드는 자는 이에 앞서 반드시 베풂을 굳게 한다 (*장차 도망 갈려 하는 적이 거세게 나오는 것과 같다는 뜻) 이를 일러 미미한 밝힐게 동튼다는 것이니 부드러움이 굳셈을 이기게 되고 약함이 강함을 이기는 논리가 고기가 깊은 못을 못 벗어나는 거나 마찬가지라 나라에 이로운 그릇을 그렇게 아뭇때나 함부로 사람들에게 내 보일 순 없다
(* 譯者附言=이것이 거기가 거기란 뜻이니 반대모습이 곧 활동할 수 있는 삶의 터전이란 뜻이다 고기가 삶의 터전 물을 벗어나선 살수 없듯이 강한게 약한 것을 벗어나선 자기의 입지를 들어 낼수 없다는 것이니 강한게 약한 곳이 삶에 터전일진데 그 삶에 터전이 내강함을 유지할 수 없게 한다면 내강함은 무너진다는 것이다 그러니까 약함은 이렇게 강함을 궁지로 몰아넣으면 강한걸 이기게 되는 것이라 할 것이다 강한 건 지치고 약한 건 흐믈 흐믈 파고든다)
* 장차 들여 마실려는 자는 필히 실로 내 불게된다 , 앞으로 약하고자하는 자는 반드시 실로 강하게 나댄다 ,
장래 이지러지고자 하는 것은 반드시 실로 일어난다 장래 탈취코자 하는 자는 반드시 주기 부텀 먼저 한다 이를 일러선 미세 조짐으로서 밝힌 다는 것이니 미세 조짐을 알게되면 [또는 미세함과 밝게 드러나는 원리 법칙을 알게되면] [유연하게 흐르는 물이 굳굳하게 서있는 절벽 밑을 갉아 먹어선 그 웅대한 절벽을 붕괴시키듯이] 부드러움이 굳셈을 이기고 약함이 강함을 이긴다 물고기가 깊은 못을 벗어나지 않아선 자신의 삶을 보장받는 것처럼 나라의 이로운 그릇을 다른 나라 남에게 보여 주지 않는다
蘇註소주
未嘗與之而遽奪 則勢有所不極 理有所不足 勢不極則取之難 理不足則物
미사여지이거탈 즉세유소불극 리유소부족 세불극즉취지난 이부족즉물
不服 然此幾於用智也 與管仲孫武無異 聖人與世俗 其迹固有相似者也 聖
불복 연차기어용지야 여관중손무무리 성인여세속 기적고유상사자야 성
人乘理 而世俗用智 乘理如醫藥 巧於應病 用智如商賈 巧於射利 聖人知
인승리 이세속용지 승리여의약 교어응병 용지어상가 교어사리 성인지
剛强之不足恃 故以柔弱自處 天下之剛强 方相傾相軋 而吾獨柔弱以待之
강강지부족시 고이유약자처 천하지강강 방상경상알 이오독유약이대지
及其大者傷 小者死 而吾以不校 坐待其斃 此所謂勝也 雖然 聖人豈有意
급기대자상 소자사 이오이불교 좌대기폐 차소위승야 수연 성인기유의
爲此以勝物哉 知勢之自然而居其自然耳 魚之爲物 非有爪牙之利足以勝物
위차이승물재 지세지자연이거기자연이 어지위물 비유조아지리족이승물
也 然方託於深淵 雖强有力者莫能執之 及其脫淵而陸 則蠢然一物耳 何能
야 연방탁어심연 수강유력자막능집지 급기탈연이륙 즉준연일물이 하능
爲哉 聖人居於柔弱 而剛强者莫能傷 非徒莫能傷也 又將仁 制其後 此
위재 성인거어유약 이강강자막능상 비도막능상야 우장이동 제기후 차
不亦天下之利器也哉 魚唯脫於淵 然後人得制之 聖人唯處於柔弱而不厭
불역천하지리기야재 어유탈어연 연후인득제지 성인유처어유약이불염
故終能服天下 此豈與衆人共之者哉.
고종능복천하 차기여중인공지자재.
* 소씨 주석 하대. 일찍이 주지 않고서 급하게 빼앗으려고만 든다면 그 세력에 있어 다하지 못할게 존재케 되고(*그 세력이 왕성 한데 이르어 보지도 못하고 얼마 못 가 시들어 진다는 뜻) 사리에 있어 넉넉치 못한게 존재케 된다 세력이 왕성하지 못하면 어려움을 취하게 되고(즉 어려움에 봉착하게 된다) 사리가 넉넉지 못해 잘 맞지 않으면 만물이 복종치 않는다 이런 기미에 의해 지혜를 씀이란 제환공을 도와 제후의 覇者(패자=최고 으뜸 되는 자)가 되게한 관중과 오왕 합여와 오자서를 도와 오국을 부흥케 한 손무와 더불어 다름이 없다 성인은 세속과 더불어 그 자취가 서로 모양이 유사한 점이 있는 것이니 성인은 사리를 깨쳐타고 세상에선 지혜로 사용한다
사리(*이치= 경우)를 깨우쳐 올라탄다는 것은 의약이 병을 대응해서 재주부리는 것 같고 지혜를 쓴다 하는 것은 장사꾼이 이윤(이익)을 맞춤에서 재주 부리는 것 같다 성인은 강하고 굳센것에 넉넉하게 의지할게 못되는걸 아심으로 유약함으로써 스스로 머물르신다 천하의 강강하게 돌아감이란 바야흐로 서로 기울기고 서로 아슬아슬한 곡예를 부리는 것 같고 나만 유독 유약한데 의지함으로 써 그 큰걸 손상시킴에 미치고 작은 것은 죽게 한다 내 사냥하려 나서질 않아도 앉아서 그 죽음의 무리를 맞이하게(대접하게) 된다 이러함을 이른바 승리라 하는 것이다
비록 그러나 성인이 어찌 이러한 만물을 이기는데 뜻을 두겠는가? 세력이 자연 그렇다는 것을 알으셔서 그 자연에 머물 뿐인것이다 고기 생긴 모습이 손톱과 어금니의 넉넉한 이로움이 없음으로써 사물을 이기지 못하지만 그러히 바야흐로 깊은 못에 의탁해 있으면 비록 강한 힘을 가진 자라도 잘 잡지 못한다 그 못을 벗어남에 밋쳐선 육지에 있다면 팔딱거리는 한 마리의 물고기에 불과 할 뿐인데 뭘 잘하는게 있다 할 것인가? 성인이 유약한대 머무시어 강강한 자라도 잘손상치 못한다함은 한갓 잘 손상하질 못함이 아닌 것이라 앞으로 또 오는 미래세상에서 그 뒤를 온전하게 제도할려 함에 있는 것이니 이 또한 천하에 이로운 그릇이라 아니라 할 것인가?
고기는 오직 못을 벗어난 연후이면 사람들이 제압할 수 있는 것이지만 성인은 오직 유약한대 머무심으 싫어 않 하시는지라 그러므로 마침내 천하를 잘복종시킨다 이러니 어찌 여너 여러 사람과 더불어 같음이라 할 것인가?
呂註여주
將欲歙之 必固張之 將欲弱之 必固强之 將欲廢之必固興之 將欲奪之必固
장욕흡지 필고장지 장욕약지 필고강지 장욕폐지필고흥지 장욕탈지필고
與之 天之道物之理人之事 其勢未嘗不如此者也 於張知 於强知弱 於興
여지 천지도물지리인지사 기세미상불여차자야 어장지흡 어강지약 어흥知廢 於與知奪 非知幾者孰能與於此哉 故曰是謂微明 然則能 之張之弱
지폐 어여지탈 비지기자숙능여어차재 고왈시위미명 연즉능흡지장지약
之强之廢之興之奪之與之者 無形而 柔弱者也 爲其所 所張所弱所强所廢
지강지폐지흥지탈지여지자 무형이 유약자야 위기소흡소장소약소강소폐
所興所奪所與者 有形而剛强者也 則柔弱之勝剛强也明矣 人之不可以離柔
소흥소탈소여자 유형이강강자야 즉유약지승강강야명의 인지불가이이유
弱 猶魚之不可以脫於淵 魚脫於淵則獲 人離於柔弱 則死之徒而已矣 天下
약 유어지불가이탈어연 어탈어연즉획 인이어유약 즉사지도이이의 천하
之至柔 馳騁天下之至堅 無有入於無間 馳騁天下之至堅 而入於無間 則器
지지유 치빙천하지지견 무유입어무간 치빙천하지지견 이입어무간 즉기
之利者也 操利器以馭天下國家 則其所以圖回運動者 常在於無形之際 安
지리자야 조이기이어천하국가 즉기소이도회운동자 상재어무형지제 안
可使知其所自來哉 故曰國之利器不可以示人.
가사지기소자래재 고왈국지이기불가이시인.
* 여씨 주석하대. 미래에 모으리 이에앞서 필히 베풂을 굳게하고 미래에 유약하리 이에 앞서 필히 강함을 굳게 하고 미래에 이지러 질리 이에 앞서 필히 일어남을 굳게 하고 미래에 빼앗으리 이에 앞서 필히 줌을 굳게 하니 하늘의 길 사물의 이치 사람의 일에 있어 그세력이 일찍이 이와 같이 아니하지 않았다 베풂에서 모을걸 알고 강함에서 약한걸 알고 일어남에서 이지러질걸 알고 줌에서 빼앗을걸 알으니 기미를 알지 못 하는자 누가 이처럼 잘한다 할 것인가? 그러므로 말하길 이를 일러 미미한 동틈이라 함인 것이다
그렇다면 모으고 펴고 약하고 강하고 폐하고 흥하고 주고 빼앗고 등 모든 양비 다비론적인 것을 적시적소에 잘 대처하는 게(*능통한자) 형체없어도 유약한 것이고(*주재자를 뜻함) 그 모으는 곳 베푸는 곳등 이상의 모든 것의 처지 역할분담의 꺼리(*事)가 되는 게 형체 남 있어 강하고 굳센 것이라 한다면 유약한 게 강하고 굳센 것을 이긴다는게 밝을 것이다 사람이 유약을 떠나지 못하는 것이 고기가 못에서 못 벗어나는 거나 같다 고기가 못을 벗어나면 잡히고 사람이 유약함을 떠나면 죽음의 무리와 같이 할 따름이리라 천하 지극히 유약함으로써 천하의 지극히 강한 것을 (*馳騁=치빙) 내달리게 해서 있고 없음을 논할 것 없이 틈없음에 들어간다 할 것이다
(* 즉 끊어지지않고 세상이 잘 유통되고 잘 궁굴른다는 뜻이리라) 천하의 지극히 강한것을 내 달리게 해서 틈 없음에 들어가면 그릇을 이롭게 한 것이라 할 것이니 이로운 그릇을 움켜잡아서 천하국가를 몰아간다면 所以(*쓰는바=곳 처소 쓰임새= 쓰일데) 꾀하는 게 감돌아 운동하는 것이 항상 형체 없는것에 있을것인데 어찌 그렇게 하여금 그 절로 오는 델 안다 할 것인가? 그러므로 말하건대 나라의 이로운 그릇은 남에게 보임을 쓰는 것이 바르지 않다 함인 것이다 (*그렇게 사람에게 보여 줄 수 없다는 것이다)
朴註박주
發下文 欲弱必强之 欲廢必興之 欲奪必與之之意三者皆愚敵之術陰秘之事
발하문 욕약필강지 욕폐필흥지 욕탈필여지지의삼자개우적지술음비지사
而明智之所爲 故曰微明言如是者 以柔勝剛 弱勝强故也 敵强而爲吾所弱
이명지지소위 고왈미명언여시자 이유승강 약승강고야 적강이위오소약
我弱而勝彼之强 凡吾所以爲柔爲弱 不欲示吾之强强 乃國之利器不可以示
아약이승피지강 범오소이위유위약 불욕시오지강강 내국지이기불가이시
人 何者魚之處水惟其深也 脫於淵則形露而失其거矣 國之利器惟其秘也
인 하자어지처수유기심야 탈어연즉형로이실기처의 국지이기유기비야
示於人則敵懼而知所戒矣 . 거= 手邊(수변)處(처)字(자) =의지할 거자 임
시어인즉적구이지소계의
* 박씨 주석하대. 아랫 문장의, 약하리 필히 강하고 이지러지리 필 히 일어나고 빼앗으리 필히 준다하는 뜻을 일으킴은 이상세가지는 어리석은 적을 상대하는 술책이라 그늘져 비밀한 일이 되어서 밝은 지혜가 있어 야 할 수 있는 것임으로 (* 적을 상대하는 술책이라 은밀한 일이 되나서 지혜를 밝게 하여 내보이듯 대처한다는 것은 어리석은 대처 방안이라) 말하건대 밝음을 동트게 한다 함이나니 (*밝음을 작게 한다 하나니) 이같이 말하는 것은 부드러움으로써 굳셈을 이기고 나약함으로써 강함을 이기는 연고이기 때문이다 적이 강함 내가 약한바가 된다 내가 약하여서 저쪽의 강함을 이긴다 무릇 내 부드러움과 나약함을 쓰고 나에 강강함을 내보이고자 않는 것이니 원인은 나라의 이로운 그릇을 남에게 내보여 줄수 없음인 것이다
(* 소이 남이 나를 종잡을 수 없게 한다 밑천을 들어 내보이지 않는다 바닥을 보인다는 것은 다 들어 내보인 것이라 분명코 대상자가 약점을 찾아 덤벼들 것이니 패한 것이나 진배없다 할 것이다) 이유는 고기 머무는 물은 오직 깊기 때문이다 (*그래야만 삶이 안전 한 것이다) 못을 벗어나면 형체를 이슬 비치듯 비쳐 그 처지를 잃어버리게 되리라 나라의 비밀스러운 그릇은 오직 비밀스러운 것이라 사람에게 보이면 대적할 때 쓸까 두려워서 그 경계할 방책을 세울걸 알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