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덕경 본문제37장 -道常無爲而無不爲.
道常無爲而無不爲.
도상무위이무불위.
侯王若能守, 萬物將自化, 化而欲作, 吾將鎭之以無名之樸.
후왕약능수, 만물장자화, 화이욕작, 오장진지이무명지박.
無名之樸, 亦將無欲, 不欲以靜, 天下將自定.
무명지박, 역장무욕, 불욕이정, 천하장자정.
* 本文 三十七章 = 길은 늘 상 함 없음을 하여서 하지 아니함이 없다 제왕이 지킬 것 같으면 만물이 장래에 저절로 변하게 된다 따라 변화하여서 만들고자 한다(즉 보고 따라 한다는 뜻) 장차 진압하여 갈진데 이름 없는 질박함으로 한다 이름 없는 질박함 또한 장래 무슨 욕망이 있는 것이 아니다 욕망을 않갖게 됨으로 써 고요하다 그렇게 되면 천하는 장차 절로 바르어 진다(* 길이 길의 자연 그러한 욕망 없음을 만물에게 보여서 만물이 보고선 그 그러함에 감화 받아서 욕망의 추구가 없게 됨으로 그렇게 됨 천하 亂爭事(난쟁사)가 없어져 고요 태평해 질 것이니 저절로 바르어 진다는 뜻이다)
* 길이란 늘 상 하염 없음으로 하여 하지 아니함이 없다 [ 소위 함 없는 것 같지만 그 爲的(위적) 함 없는 가운데 저절로 되어선 이루어진다는 것이리라 = 위적이라 하는 것은 그 일부러 하는 것을 말하는 것으로서 '인위적' 소이 강박관념에 얽메인 목적을 두고 하는 행위를 뜻한다 할 것이니 길은 자연의 법칙을 본받음으로 이러한 강박관념의 목적의식을 두고 궁굴러 가지 않는다는 것이라 소위 저절로 모든 것이 이루어진다는 것인데 이러한 자연현상은 모두 그 자연적인 위계질서를 따르기 때문에 그렇게 된다할 것이다 ]
후왕이 만일 길을 받아들여선 지킬 것 같으면 모든 만물들이 장차 저절로 감화 받는다 할 것이라 그렇게 감화 받으면서도 그 욕망을 짓고자한다면, 또는 욕망을 채우고자 한다면 [* 作爲(작위)를 하고자한다면] 내 장차 鎭撫(진무=진압 구슬려 어루만져선 말을 듣게 함)하여 가데 명분을 내 세우지 않는 질박함으로 하여간다
무엇이라 내 주장 없는 질박함 역시 장차 욕망이 없다 고요함으로써 하고자 아니 하니 천하 장차 저절로 정립하여 진다
蘇註소주
道常者 無所不爲 而無爲之之意耳 聖人以無爲化物 萬物化之 始於無爲
도상자 무소불위 이무위지지의이 성인이무위화물 만물화지 시어무위
而漸至於作 譬如 兒之長 人僞日起 故三代之衰 人情之變 日以滋甚 方
이점지어작 비여영아지장 인위일기 고삼대지쇠 인정지변 일이자심 방
其欲作 而上之人與天下皆靡 故其變至有不可勝言者 苟其方作而不爲之動
기욕작 이상지인여천하개미 고기변지유불가승언자 구기방작이불위지동
終以無名之樸 鎭之庶幾可得而止也 聖人中無抱樸之念 外無抱樸之迹 故
종이무명지박 진지서기가득이지야 성인중무포박지염 외무포박지적 고
樸全而用大 苟欲樸之心尙存於胸中 則失之遠矣.
박전이용대 구욕박지심상존어흉중 즉실지원의.
* 소씨 주석하대. 길은 늘 상 그러해 변함 없는 원리를 갖고 있는 것이니 하지 못할게 없어서 하염이 없어 가는 뜻일 뿐이다 성인은 함이 없음으로써 만물을 따라 변화시킨다(그렇게 따라하게 한다) 만물이 따라 그렇게 됨은 함 없음에서 시작 돼서 점점 만들어 함에 이른다 비유컨대 어린 아기가 커감 같다 사람이 거짓을 (* 글자 생긴 모습을 본다면 僞란 것은 자연에 맡기는 것이 아니라 인위적으로 무얼 하는걸 뜻한다 할 것이다) 날마다 일으키므로 삼대가 내려가면 노쇠하게 된다 사람의 정이 변함이 날로써 더욱 심해 그 만들어 재키는방법을 써서 위에 있는 사람과 더불어 천하 모두 흩어지게 되는지라
그래서 그 변함이 말로써 형언키 어려운 지경에 이른다 할 것이다 실로 그 방법을 써서 만들어서 하지 않을 거 까지도 움직이려 듦에 마침내 이름 없는 질박함까지도 진압하려 듦으로써 무릇 몇가지 를 얻어서 그만둔다 성인은 가운데로 질박함을 끌어안을 생각도 않고 밖으론 질박함을 끌어안은 자취도 없다 (* 즉 질박함을 일부러 할려 하지 않는다) 그러므로 질박함이 온전하여서 사용함이 크게되는 것이다 실로 질박코자(*순수코자)하는 마음을 가슴가운데 오히려 갖고 있으려 한다면 되려 머얼리 잃어 버리 게 될 것이다
呂註여주
萬物皆有名也 而道常無名 則有名者莫不爲之賓 故言萬物將自賓 則以無
만물개유명야 이도상무명 즉유명자막불위지빈 고언만물장자빈 즉이무
名言之 雖然此知無爲而已 無爲而無不爲 則未嘗有夫無爲也 故萬物將自
명언지 수연차지무위이이 무위이무불위 즉미상유부무위야 고만물장자
化 自化 則我與萬物莫非道也 孰知萬物之賓與其所以賓哉 故方其自賓也
始制有名 名亦旣有 夫亦將知止 知止者 復於無名之樸而已 方其自化也
化而欲作 吾將鎭之以無名之樸 而無名之樸亦將不欲也 無名ㅈㅣ樸亦將不
화 자화 즉아여 물막비도야 숙지만물지빈여기소이빈재 고방기자빈야
欲 則豈特無爲而已 而亦未始有夫無爲者也 天下之動 正夫一者也 侯王守
욕 즉기특무위이이 이역미시유부무위자야 천하지동 정부일자야 후왕수
道以 至於此 則可謂不欲以靜矣 天下其有不自正者乎 夫老子 眞人也 宜
도이 지어차 즉가위불욕이정의 천하기유불자정자호 부노자 진인야 의
不弊弊然以天下萬物爲事 而於侯王如此其諄諄 何也 道以修之身爲眞以修
불폐폐연이천하만물위사 이어후왕여차기순순 하야 도이수지신위진이수
之天下爲普 使侯王者知而守之 則修之天下不亦普乎 夫不嗇其道 而欲與
지천하위보 사후왕자지이수지 즉수지천하불역보호 부불색기도 이욕여
天下同之 仁也 欲同之天下 而先之侯王 義也 而學者顧見其言有絶棄仁義
천하동지 인야 욕동지천하 이선지후왕 의야 이학자고견기언유절기인의
則曰老子槌提吾仁義而小之也 吾所不取 嗚呼 彼不見其所以絶棄之意 宜
즉왈노자퇴제오인의이소지야 오소불취 오호 피불견기소이절기지의 의
其不取焉耳.
기불취언이.
* 여씨 주석하대. 만물이 모두 이름을 가졌다 해서 길이 늘상 이름이 없다면 이름 있는건 빈객되지 아니함 없으리라 그러므로 말하건대 만물이 장차 절로 빈객이 된다면 명분 없음으로써 (*즉 순수성을 갖고) 말할 것이다 비록 그러나 이는 함 없음을 알 따름이다 함 없는걸 갖고서 하지 아니함이 없으면 (* 함 없는걸 하지 아니 함이 없으면) 일찍이 무릇 함 없음이 존재치 아니하는지라 그런 까닭에 만물이 장차 저절로 변화한다함인 것이다 진실로 변화하면 나와함께 만물이 길아닌게 없는데 뉘 만물이 빈객되고 더불어 그빈객 쓸대를 알것인가?
그러므로 그 절로 빈객하는 방법인냐 명분이 존재하는데서 비로소 지어졌다 할 것이다 이름이 역시 이미 있음 무릇 장차 머무를 댈 알 것이니 머무를 댈 아는 게 이름 없는 질박함으로 되돌아온 것으로 될 따름이니 바야흐로 그 절로 변화 한것이라 할 것이다 변화해서(뭔가를)짓고자함 내 장차 이름 없는 질박함으로써 진정 시켜 간다 이름 없는 질박함 역시 장차 하고자 하는 욕망이 아니다 이름없는 순수성 역시 장차 뭔가를 하고자 하는게 아니라면 뭘 - 특별나게 함이 없는걸 한다 할것인가?
역시 처음에 대저 無爲(무위)라 하는 건 존재함이 있지 않았으나 천하의 움직임 대저 하나로 바르어 진 것이라 제왕이 길을 지킴으로써 이러함에 이르면 바르게 욕망을 갖지 않음으로써 고요하다 할 것이라 (*국가가 태평하다 할것이라) 천하 절로 바르지 아니함이 있을 건가? 대저 노자는 참사람이다 마땅히 폐단 아닌걸 폐단으로 여겨 천하 만물로써 일을 삼게 하였다 제왕에 있어 이처럼 그 지고 무상 순수하게 여길게 어떤 것인가? 길로써 몸을 딲아 참을 위하고 천하를 딲음으로써 넓이 도움이 되게 함인 것이니 제왕이 앞서서 지켜가면 천하를 딱음에서 역시 도움이 되지 않는다 할 것인가?
대저 그길을 담쌓지 않고(* 그렇게 길의 깨침을갖고 인색하게 나대지 않고) 천하와 더불어 같이하고 자 한다면 어짊을 천하가 같이하고자 하여 제왕이 앞서 의로워 져서 배우는 자 그 말씀을 돌아보고 인의란걸 끈어버림 있으면 말하건대 노자 방망이를 이끌고와 내 인의란걸 두둘겨서 작게 한 것을 내가 취한것이될 것이다 오호라! 저- 그 절기함 썼다는걸 보지 못했다는뜻이요 마땅히 그 취하지 못했을 뿐이라 할 것이리라
朴註 박주
此章 與三十二章大意略同
차장 여삼십이장대의략동
[亦符知止] 化而欲作人化於善皆有振作之意也 如此則涉於有爲 故復鎭之
[역부지지] 화이욕작인화어선개유진작지의야 여차즉섭어유위 고복진지
以樸 樸卽無爲敦質之體而爲道之本 故曰無名不欲 言不欲有所爲也 不欲
이박 박즉무위돈질지체이위도지본 고왈무명불욕 언불욕유소위야 불욕
有所爲 則靜 靜則夫下自正我好靜 而民自正是也 三章云 常使民無知無欲
유소위 즉정 정즉부하자정아호정 이민자정시야 삼장운 상사민무지무욕
使夫知者不敢爲也 爲無爲 則無不治亦此意也
사부지자불감위야 위무위 즉무불치역차의야
* 박씨 주석하대. 이번 문장은 삼십이장과 함께 큰 뜻은 대략 같다 역시 장래에 머물댈 안다는 데 관하여 말한 것이다 (*역자언= 化란 본받는걸 뜻하는데) 이는 본받아서 변화하여 만들어 가고자 하는 것인데 사람이 착함을 본받아서 그리로 변화함은 (* 뭔가 일할려 하는걸 그만두게 하는데 목적이 있는 것이다 * 여기서 作은 일을 만들어 한다는 뜻 爲事로 풀이된다 할 것이다) 이 같으면 함 둠에서 (*涉= 건넨다) 즉 빠져나오게 됨으로 거듭 진정시켜 순수성으로 되돌아가게 된다 순수하다는 것인즉 함없는 바탕이 도타운 몸을 하여서 길의 근본이 된다
그러므로 말하건대 이름 없는게 욕망을 가진게 아니라 함은 할 것을 두고자 아니함을 말함이다 할바를 두고자 아니하면 고요해진다 고요해지면 천하 저절로 바르어 진다 내 고요함을 좋아해서 백성이 저절로 바르어 진다 하는게 바로 이를 두고 하는 표현이다 삼장에 이르길 늘 상 백성으로 하여금 앎이 없게 하고 욕망이 없게 한다 했다 대저 앎을 부리는 자 구태여 할려고 않는다 함 없음을 하면 다스리지 못할게 없다하는 게 역시 이 뜻을 두고 하는 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