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Daum
  • |
  • 카페
  • |
  • 테이블
  • |
  • 메일
  • |
  • 카페앱 설치
 
카페정보
카페 프로필 이미지
★9꿈사★공무원을꿈꾸는사람들
 
 
 
 
 
카페 게시글
② 한국사 심화 학습 고려 2군6위와 양계의 주진군에 대해
이제안정..... 추천 0 조회 386 10.11.05 23:53 댓글 5
게시글 본문내용
 
다음검색
댓글
  • 10.11.07 23:38

    첫댓글 아니오. 2군6위인 중앙군은 "직업군인", 지방군인 5도의 주현군과 양계의 주진군은 직업군인이 아닌 일반 농민으로 구성.

    중앙군인은 군적에 올라 있기에 군인전을 지급받고, 지방군은 군적에 오르지 않은 일반 농민이기에 군인전 못받습니다.

    양계의 주진군은 일반 농민으로 구성된 상비군으로 직업군인 아닙니다. 따라서, 군인전 받지 않았습니다.

  • 작성자 10.11.07 23:49

    댓글 내용을 입력해주세요.감사합니다중학생문제집에잘못나왓나봐요

  • 13.02.22 10:10

    중앙군과 지방군을 구분하시고 신분만 구분하시면 해결되는문제네요
    중앙군은 2군 6위가 있죠 2군에는 왕실친위부대 왕실경비구요 6위에는 수도경비와 특이하게 국경방어도 담당했습니다.
    고려시대에는 과거제도에 무과제도가 거의 시행되지 않았어요..
    그래서 무반이 되려면 군공을 세워서 무신이되거나 직역을 세습했죠 중류층들이요..
    중앙군은 중류층 직업군인들이 담당했어요

  • 13.02.22 10:12

    그런데 군인전이 미지급 되면서 직업군인이 도망가거나 몰락해서 일반 농민인 백정이 중앙군을 담당하기도 했어요
    또한 지방군에는 주진군 주현군이 있는데요 주진군은 양계에 주둔하면서 국경을 수비했죠 양계에 주둔하는 만큼 상비병이었구요 주현군은 주현에 주둔했는데요 군사적 목적보다는 노동력 징발적인 성격이 아주강했답니다.

  • 13.02.22 10:15

    거란 등 대외항쟁으로 인해 무반의 지위가 점점 향상되었지만 문신들이 여전히 무신들을 차별했죠
    대표적으로는 무신은 관직의 한계가 있었죠 제일 높은관직이 정3품 상장군 지휘관이구요
    또한 과거제에 무과가 시행되지 않았구요, 또한 국자감 7재중에서 무학재와 강예제가 인종때 폐지가 됩니다.
    그리고 무신들의 합좌기구인 정방보다 국방문제를 의논했던 도병마사의 권위가 더 강력했구요 또 군인전이 미지급으로 무신정변이 일어납니다 이렇듯 이야기구조로 이해하시면 편해요

최신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