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U 이어 미국도 의류 폐기물 처리비용 제조사에 전가
의류업계 "기부 시스템 붕괴 우려" 반발...소비자 부담 증가 불가피
캐나다도 도입 검토..."의류 재활용 시스템 구축 시급"
환경부가 의류 제조사들에게 폐기물 처리 비용을 부담시키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유럽과 미국에서 시행되고 있는 '생산자책임재활용제도'(Extended Producer Responsibility, EPR) 도입이 본격화되는 모습이다.
캘거리의 한 산업단지에 위치한 기어 리스토어는 의류 폐기물 감소를 실천하는 대표적인 사례다.
이곳에서는 매년 1만 벌의 재킷과 스웨터, 스노우팬츠를 수선하고 있다. 모든 색상의 지퍼와 산업용 세탁기, 건조기를 갖추고 전문 기술자들이 패딩 재킷의 충전재를 채우고 찢어진 부분을 수선한다.
패스트패션이 여전히 인기를 끌고 있지만, 최근 많은 브랜드들이 지속가능한 패션으로 방향을 전환하고 있다. 매장 내 수선 서비스, 중고의류 매입 프로그램, 재활용 섬유 개발 등 다양한 시도가 이어지고 있다.
하지만 일부 국가들은 기업의 자발적인 노력만으로는 한계가 있다고 판단, EPR 제도를 잇달아 도입하고 있다. EPR은 의류 판매량에 따라 기업에 수수료를 부과하고, 이를 수거와 처리 비용으로 사용하는 제도다. 재활용이 쉬운 소재를 사용할 경우 수수료를 할인해주는 등 친환경 제품 생산을 유도하는 효과도 있다.
프랑스는 2007년부터 이 제도를 시행하고 있으며, 최근 헝가리와 네덜란드, 라트비아도 동참했다. 유럽연합(EU)은 회원국 전체에 의무화하는 방안을 논의 중이다. 미국에서도 캘리포니아주가 올 가을 처음으로 도입을 결정했고, 뉴욕주도 법안을 검토하고 있다.
토론토의 비영리단체 패션테이크액션은 EPR 도입이 캐나다에도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하지만 캐나다소매협의회는 "자선단체의 재사용 시스템 붕괴와 재활용 기술 부족, 기업과 소비자 부담 증가가 예상된다"며 반발하고 있다.
퀸스대학교 에너지환경정책연구소의 워런 마비 소장은 "캐나다는 이미 포장재와 종이제품에 대해 EPR을 시행하거나 도입을 준비하고 있다"며 "의류 분야도 충분히 가능하다"고 분석했다.
캐나다 정부는 현재 의류 관련 플라스틱 폐기물 처리 방안에 대한 공개 의견수렴을 마치고, EPR 도입 가능성을 적극 검토하고 있다. 블랙프라이데이와 연말 쇼핑 시즌을 앞두고 의류 폐기물 문제가 다시 한번 주목받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