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어떤 조언도 상관없습니다. 치료제에 관한 의견 좀 부탁드립니다.
------------------------------------------------------------------------------------
그동안의 치료과정을 간단히 말씀드리면,
저희 아버지께서(만 82세) 림프종 확진을 받고 대전 충남대학병원에서 치료중이 십니다.
발견당시 목 겨드랑이 서혜부쪽에서 몽우리가 만져졌습니다.
● 2024년 11월 26일 (겨드랑이 새침검사로 조직검사) 말초 T세포 림프종 (PTCL NOS) 확진받음
- 브렌툭시맙 벤도틴(표적치료제) + (CHP) 1차 항암 시작
● 1차 항암후, 추가로 위내시경으로 조직검사, 피부 조직검사 진행했는데 DLBCL 아형이 확인됨
아래와 같이 치료제를 변경 후, 항암치료 진행함
브렌툭시맙 벤도틴 + CHP (1차 완료) ==> R-miniCHOP 으로 변경 (1차~4차 진행)
● R-miniCHOP 3차 완료 후, PET-CT 촬영결과 약이 효과가 없음이 확인 됨
솔직히 두가지 아형이 같이 발생할 확률이 아주 낮다고 어디선가 보았습니다.
막연하게 PTCL NOS 오진였으면, 하는 바램이 있지만, 차마 담당교수님께 그리 묻는게 실례될거 같아서 언급하지 못하고 있습니다.
교수님께서 다시 약을 변경하자고 하시는데, 어떤 치료제인지 아직은 모릅니다.
의사도 아닌 제가 결정할수 있는거는 없지만, DLBCL부터 잡고나서 그다음을 생각해야 하는거 아닌가 싶습니다.
------------------------------------------------------------------------------------
고령환자에게 적합한 치료제를 알고 싶습니다.
고령환자는 조혈모세포이식, 카티치료가 힘든 걸로 알고 있습니다.
검색해보니 아래와 같은 치료제들이 있는것을 보았습니다.
연세가 있으시다 보니 이약 저약 시도해볼 수 없는 상황입니다.
한번을 치료 받더라고 조금이라도 더 효과있는 약으로 치료받고자 합니다.
어떤 약으로 치료받는게 좋을지 의견 좀 부탁드립니다.
1. BR + 폴라비 (Bendamustine + Rituximab + Polatuzumab vedotin)
2. 엡코리타맙 (Epkinly, Epcoritamab)
3. GDP (Gemcitabine + Dexamethasone + Cisplatin)
4. 론카스툭시맙 테시린 (Loncastuximab Tesirine, 상품명: Zynlonta)
5. R2 (레날리도마이드 + 리툭시맙)
6. 컬럼비 (Columvi, 고펙타맙 글로서틸, Glofitamab)
7. 오드로넥스타맙 (Odronextamab)
첫댓글 https://cafe.daum.net/lovenhl/6hGZ/17126 이런 임상도 고려해 보셔도 좋을 것 같습니다
위에서 열거하신 항암제들 중에서 지금 상황에서 국내에서 투여가 가능한 약은 1, 3. 4?, 5. 이실 겁니다. 이 아형에 구제항암 임상들이 다수 있습니다. 임상은 임상참여 병원에 문의하셔야 하는데 치료가 급한 상황이면 1번이 제일 좋은 선택 아닐까 생각합니다. 교수님과 상의해 보십시오.
임상도 같이 알아보겠습니다.
답변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