효순 미선 6주기 추모제- 추모비 건립 계획 발표 -
효순아 미선아 보렴!
너희가 백만 촛불로 되살아났단다. 미군 없는 평화통일 세상, 우리가 꼭 만들께! 일시 : 2008년 6월 13일 오전 11시
장소 :사고현장(경기도 양주시 광적면 효촌리)
6년 전, 꽃다운 효순이와 미선이가 참혹한 죽임을 당한 사고현장에 약 100여 명의 추모객이 모였습니다. 추모객들은 살인미군이 세운 추모비 앞이 아닌, 사고현장 도로에서 6주기 추도식을 거행했습니다. 살인미군에 대한 무죄판결에 분노한 시민들이 시작한 촛불행사에 하루도 빠지지 않고 참여해서 ‘광화문 촛불 할아버지’로 알려진 이관복 평통사 고문이 첫 번째 추도사를 했습니다.
이관복 선생은 “효순이 미선이가 살아있다면 대학 1학년이 되어 쇠고기 촛불에 함께 하고 있을 거다.”고 말문을 열었습니다. 이 선생은 “효순이와 미선이의 죽음으로 우리 국민들이 일상적으로 미군에 의해 사고를 당해 죽거나 다치고 있는 현실이 만천하에 드러났다”며 “촛불의 원조도 두 여중생 추모 촛불이다”고 하였습니다. “당시 촛불을 꺼지지 않게 하려고 초에 컵을 꽂으면서 평화의 촛불이 만들어졌다.”고 소개했습니다. 이관복 선생은 “두 소녀의 죽음을 계기로 강대국 미국과 당당한 관계를 만들어내야 한다는 국민적 자각과 염원이 오늘 쇠고기 촛불로 살아나고 있다”고 하였습니다.
두 번째 추도사는 한상렬 진보연대 대표가 진행했습니다. 세 번째 추도사에서 윤한탁 경기북부 진보연대 대표는 “미군없는 세상을 만들어 더 이상 이와 같은 참담한 일이 재연되지 않도록 하자”고 호소하고, “미군이 세운 비석부터 없애자”고 하였습니다.
다음으로 홍희덕 민주노동당 의원이 네 번째 추도사를 해 주었습니다.
이어 김종일 평통사 사무처장(전 여중생범대위 집행위원장)이 2002년 사고 당시부터의 경과를 보고했습니다. (자료보기)
경과보고에 이어 김 처장은 미군이 수시로 드나들며 대북전쟁연습을 벌이는 무건리 훈련장이 존재하는 한, 더욱이 배로 확장되는 일이 허용되는 한 효순이 미선이의 죽음과 같은 우리 국민의 피해는 결코 막을 수 없다고 강조하고 무건리 훈련장 확장 저지 투쟁을 시민사회단체의 단결된 힘으로 가열차게 벌여나가야 할 것을 과제로 제기하였습니다.
다음 순서로 배종렬 평통사 상임대표가 나와 “미군이 세운 추모비 앞에서 두 소녀에 대한 추도식을 하고 있으니 통탄할 일이다.”라며 “이는 살인미군의 범죄를 눈감아주고, 미군 주둔을 기정사실로 하는 것이다”라고 말했습니다. 배 대표는 “앞으로 1년 동안 모금사업을 벌여 미군이 세워놓은 추모비보다 더 높고 크고 좋은 것으로 추모비를 세우자”고 제안하였습니다.
배종렬 대표가 “앞으로 여기 무건리 등 이곳 주민들과 협의하고 시민사회단체들과 협력하여 추모비와 추모비를 세울 수 있는 부지를 마련하는 일을 벌이고자 하니 함께 해달라”고 하자, 추모객들은 모두 박수로 화답하였습니다.
이어 이삼헌, 이은미, 표광미 세 분의 춤꾼이 효순이 미선이의 넋을 위로하는 추모의 춤을 추었습니다. 정태춘 님의 ‘일어나라 열사여’ 노래에 맞추어 효순이 미선이의 넋이 담긴 듯한 추모 춤에 추모객들은 모두 눈시울을 붉혔습니다.
추도식은 추모객들의 헌화로 마무리되었습니다. 추도식을 마친 후 평통사 회원들은 사고현장에 꽃을 바치며 두 소녀의 넋을 다시 한 번 위로했습니다. 그리고 사고현장 부근 윗 동산으로 자리를 옮겨 서울평통사 손윤희 회원이 준비한 무화과 나무로 추모식수를 하였습니다.
또한 평통사 회원들은 미 2사단이 세운 추모비에 새겨진 미 2사단 한글과 영문 표식을 먹으로 지우는 의식을 진행했습니다.
평통사 회원 30여 명을 비롯한 추모객들은 오늘 저녁 시청 앞에서 다시 만나 촛불을 밝히고 주한미군 없는 세상을 이루어 두 소녀의 넋을 달래주자는 다짐을 하기로 약속하고 자리를 정리했습니다. [추모식에 참가하신 분] 무건리 주병준 주민대책위원장님과 주민분들, 민가협 이영 의장님과 어머님들, 민주노동당 홍희덕 의원, 황선 통일위원장, 경기도 김용한 위원장, 경기북부 진보연대와 노조, 단체에서 오신 분들, 진보연대 한상렬 대표, 평통사 배종렬 상임대표, 변연식, 문홍주 공동대표, 주정숙 부천 평통사 대표, 오혜란 인천 평통사 대표, 서울, 부천, 인천 회원들... 그리고 광주시 공무원노조 이향재 사무총장이 연차를 내서 정동석 광주전남 평통사 사무국장과 함께 참여하셨습니다. 이향재 님은, “쇠고기 촛불에 여중생 문제가 묻히는 것 같아 안타까왔다. 그리고 어떻든 오늘이 제사 아닌가...부모님이 돌아가셨다면 누구나 기일을 지키는 건 당연한데...”라고 말씀하셨습니다.
삼가 두 소녀의 명복을 빌며, 유족들께도 깊은 위로의 마음을 보내드립니다.
|
출처: 평화와 통일을 여는 사람들 원문보기 글쓴이: 평통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