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주인수권대가(전환권대가)를 주식의 발행금액으로 대체한다
신주인수권대가(전환권대가)를 주식발행초과금으로 대체한다
같은 회계처리인가요?? 지금까지 구분 안하고 풀었는데
16장 자본 챕터 푸는데 6번 해설 분개해보면
현금 600,000 자본금 300,000
주발초 300,000 이렇게인건데
저는 현금 600,000 자본금 300,000
신주인수권대가 xxx 주발초 xxx
이렇게 풀어서 주발초 금액이 달라진다고 생각했거든요
설명 부탁드려요!!
첫댓글 신주인수권대가를 자본잉여금으로 보는지 자본조정으로 보는지에 대한 국제회계기준의 규정이 없고, 따라서 강사님들에 따라, 이걸 분류하는 방식이 달라서 그런 것 같습니다!이 책은 신주인수권대가를 자본잉여금으로 보기때문에 권리 행사시 분개가현금 600,000 | 자본금 300,000신주인수권대가 (자본잉여금) xxx |주식발행초과금 (자본잉여금) yyy이렇게 되니, 자본잉여금은 자본금 30만원보다 더 받은 금액인 30만원이 증가하는 모양이 만들어지는 것 같아요! 주발초의 금액이 달라지는건 맞지만, 신주인수권대가와 주발초를 둘 다 자본잉여금으로 보면, 신주인수권대가의 주발초 대체는 자본잉여금에는 영향을 주지 않습니다.
헛..그렇군요 자세한 설명 감사합니다!!
첫댓글 신주인수권대가를 자본잉여금으로 보는지 자본조정으로 보는지에 대한 국제회계기준의 규정이 없고, 따라서 강사님들에 따라, 이걸 분류하는 방식이 달라서 그런 것 같습니다!
이 책은 신주인수권대가를 자본잉여금으로 보기때문에 권리 행사시 분개가
현금 600,000 | 자본금 300,000
신주인수권대가 (자본잉여금) xxx |주식발행초과금 (자본잉여금) yyy
이렇게 되니, 자본잉여금은 자본금 30만원보다 더 받은 금액인 30만원이 증가하는 모양이 만들어지는 것 같아요! 주발초의 금액이 달라지는건 맞지만, 신주인수권대가와 주발초를 둘 다 자본잉여금으로 보면, 신주인수권대가의 주발초 대체는 자본잉여금에는 영향을 주지 않습니다.
헛..그렇군요 자세한 설명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