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례군 광의면 방광리 지리산(智異山) 서남쪽 기슭에 있는 사찰(寺刹)로 대한불교조계종 제19교구(敎區) 본사인 화엄사의 말사(末寺)이다. 신라(新羅) 흥덕왕 3년(828) 덕운이 창건하였는데 앞뜰에 있는 샘물을 마시면 정신이 맑아진다고 하여 감노사라고 하였다고 한다. 그 뒤 헌강왕 1년(875) 도선이 중건하였으며, 고려(高麗) 충열왕때에는 남방제일선찰로 승격(昇格)되었다.
정유재란으로 말미암아 사찰이 불에 타버리자 광해군 2년(1610) 혜정선사가 중창하였다. 숙종(肅宗) 4년(1679) 조유선사가 중건하였다. 중건할 때에 감노사의 샘가에 큰 구렁이가 자주 나타나자 한 승려가 이를 잡아 죽였더니 그 뒤부터 샘물이 솟아 나오지 않아서 샘이 숨었다고 하여 천은사로 절이름을 바꾸었다고 한다. 감노사에서 천은사로 사찰이름이 바뀐 뒤 이상하게도 원인을 모를 불이 자주 일어나자 절의 수기(水氣)를 지켜주는 뱀을 죽였기 때문이라며 두려워하였다고 한다. 그때 조선 4대 명필의 하나인 이광사가 수체(水體)로 물흐르듯 (지리산 천은사)라는 글씨를 써서 수기(水氣)를 불어넣은 현판을 일주문에 걸게 한 뒤에는 다시 화재가 일어나지 않았다고 한다.
숙종(肅宗) 41년(1715)에 <천은사영산회상도(泉隱寺靈山會上圖)>가 조성되었으며, 영조(英祖) 25년(1749) <천은사칠성도(泉隱寺七星圖)>가 제작되었다. 영조(英祖) 50년(1774) 혜마선사가 사찰을 중건하였는데, 현존하는 건물은 대부분 이때의 것으로 보여지는데 극락보전을 비롯하여 팔상전·응진전·진영당·칠성각·첨성각·승회당·보제루·방장선원·종무소·일주문·수홍문 등이 있다. 영조(英祖) 52년(1776)에 보물(寶物) 제924호로 지정된 <천은사극락전아미타후불정화(泉隱寺極樂殿阿彌陀後佛幀畵)>가 금어(金魚)인 신암등 모두 14명이 참여하여 조성되었으며, 순조 33년(1833) <천은사제석천용도(泉隱寺帝釋天龍圖)>가 제작되었다. 1913년 당시 천은사말사(泉隱寺末...
구례군 광의면 방광리 지리산(智異山) 서남쪽 기슭에 있는 사찰(寺刹)로 대한불교조계종 제19교구(敎區) 본사인 화엄사의 말사(末寺)이다. 신라(新羅) 흥덕왕 3년(828) 덕운이 창건하였는데 앞뜰에 있는 샘물을 마시면 정신이 맑아진다고 하여 감노사라고 하였다고 한다. 그 뒤 헌강왕 1년(875) 도선이 중건하였으며, 고려(高麗) 충열왕때에는 남방제일선찰로 승격(昇格)되었다.
정유재란으로 말미암아 사찰이 불에 타버리자 광해군 2년(1610) 혜정선사가 중창하였다. 숙종(肅宗) 4년(1679) 조유선사가 중건하였다. 중건할 때에 감노사의 샘가에 큰 구렁이가 자주 나타나자 한 승려가 이를 잡아 죽였더니 그 뒤부터 샘물이 솟아 나오지 않아서 샘이 숨었다고 하여 천은사로 절이름을 바꾸었다고 한다. 감노사에서 천은사로 사찰이름이 바뀐 뒤 이상하게도 원인을 모를 불이 자주 일어나자 절의 수기(水氣)를 지켜주는 뱀을 죽였기 때문이라며 두려워하였다고 한다. 그때 조선 4대 명필의 하나인 이광사가 수체(水體)로 물흐르듯 (지리산 천은사)라는 글씨를 써서 수기(水氣)를 불어넣은 현판을 일주문에 걸게 한 뒤에는 다시 화재가 일어나지 않았다고 한다.
숙종(肅宗) 41년(1715)에 <천은사영산회상도(泉隱寺靈山會上圖)>가 조성되었으며, 영조(英祖) 25년(1749) <천은사칠성도(泉隱寺七星圖)>가 제작되었다. 영조(英祖) 50년(1774) 혜마선사가 사찰을 중건하였는데, 현존하는 건물은 대부분 이때의 것으로 보여지는데 극락보전을 비롯하여 팔상전·응진전·진영당·칠성각·첨성각·승회당·보제루·방장선원·종무소·일주문·수홍문 등이 있다. 영조(英祖) 52년(1776)에 보물(寶物) 제924호로 지정된 <천은사극락전아미타후불정화(泉隱寺極樂殿阿彌陀後佛幀畵)>가 금어(金魚)인 신암등 모두 14명이 참여하여 조성되었으며, 순조 33년(1833) <천은사제석천용도(泉隱寺帝釋天龍圖)>가 제작되었다. 1913년 당시 천은사말사(泉隱寺末寺)의 승이수는 70명이었다.(당시 전남의 본말사 승이수의 총합계는 6,656명이었다.)
1915년 3월 30본산연합사무소 상치원 제1회총회에서 중앙학림(中央學林) 설치문제를 논의하였는데 학림 학생의 모집은 각 본말사의 등급에 따라 모집하기로 하였는데 5등지(等地)인 천은사에 학생1인에 본년도 에비과의 경비로 44원50전씩 분배하였다. 1915년 10월 4일 총독부(總督府)에 사입중앙학림(私立中央學林) 인가원을 제출하여 동년 11월 5일 인가되었다. 이 학림의 설립자 즉 선교양종 30본산의 출자외 2사(화엄사,천은사)의 기부 출자로써 유지키로 하여 천은사는 매년 87원을 출자하였다.
1928년 총독부에서 조사한 선방(禪房)의 관례를 보면 선방(禪房)에 따라 일반적으로 행하는 청규절목 18항 이외에 특수한 관례가 있었다. 천은사에도 특수한 관례가 있었는데 다음과 같다.
1) 호적상 처자가 있는 이 그들 다 서신 왕래가 빈번하여 선가의 도심을 문란케 할 염려가 있는 이는 입참(入參)을 불허(不許)한다. 단 발심납자(發心衲子)는 허락한다.
2) 좌선할 때 연고없이 결석하거나 규칙을 문란케 하는 이는 세차례주의를 하고 이에 복종치 않으면 동거(同居)치 아니한다.
□ 건물의 조형성
① 극락보전 : 장대석 높은 기단위에 세워진 정면 3칸, 측면 3칸의 다포계 팔작집이다. 민흘림이 있는 두리기둥을 세우고 그 위로는 창방과 평방을 걸고 공포를 구성하였는데 포작은 외 3출목, 내 4출목의 다포양식으로 상부에는 계두와 연봉이 붙어 있고 중앙칸 기둥 위로는 봉두장식이 있는 등 전반적으로 화려하다. 주간포(柱間包)는 각 간 모두에 2구씩 배치하였다. 가구는 5양구조로서 종량 위로는 우물천장을 가설하였다. 창호는 정면 3간 모두 3분합문으로 중앙칸은 소슬빗꽃살, 양 협간은 정자살과 빗살(중앙부)양식으로 되어 있다. 이 건물은 조선 후기의 전형적인 다포양식을 취하고 있다.
② 팔상전 : 석가여래상을 모신 이 건물은 최근에 중건된 정면 3칸, 측면 2칸의 전각이다. 막돌로 석축겸 기단을 조성하고 그 위에 원통형 두리기둥을 세우고 포작을 올렸으며 공포형식은 내1W외 2출목의 다포양식으로 쇠서 단부를 날카롭게 처리하였다. 주간포(柱間包)는 각 간 모두에 1구씩 배치하였다. 가구는 양측면으로부터 충량을 걸은 5양형식이다. 지붕은 겹처마 팔작지붕이다.
③ 응진당 : 정면 3칸, 측면 2칸의 응진당은 막돌초석위에 원통형 두리기둥을 세우고 창방을 걸은 2익공양식으로 맞배집이다. 익공의 쇠서에는 연봉장식이 있고 보머리에는 계두(鷄頭)장식이 있는 등 익공부분이 매우 화려하다. 창호는 정면 3칸 모두에 2짝 띠살문을 설치하였다.
④ 명부전 : 정면 3칸, 측면 3칸의 겹처마 맞배집이다. 기단은 장대석 2벌대 쌓기로 되어 있고 그 위에 막돌초석을 놓고 원통형 두리기둥을 세웠다. 기둥위로는 창방을 걸고 주두 부근은 2익공식으로 처리하였으며 쇠서 사이에는 웅진당과 같이 연봉장식이 붙어 있다. 이러한 화려한 장식적인 익공식은 조선 후기부터 근래까지 이어지는 중단전각의 전형적인 조영기법이다. 정면 창호는 3칸 모두에 2짝 띠살문을 달았다.
⑤ 보제루 : 대중의 법요식(法要式) 집회소인 이 건물은 후면만 중 이층으로 구성한 정면 5칸, 측면 3칸의 맞배집이다. 강당형식으로 내부는 우물마루를 깐 대청형식으로 꾸몄다. 구조는 막돌초석위에 원통형(일부는 배흘림) 두리기둥을 세운 5량가이며, 공포는 행공첨차를 두어 외목도리를 받게한 2익공식이다. 공포 역시 연봉조각이 올려져 있는 등 화려하다.
⑥ 설선당1W회승당 : ㅁ자와 ㄷ자의 형태로 구성된 이 건물은 선방(禪房)과 회식장(會食場)으로 사용되는 곳이다. 두 건물 모두 주 출입구를 중정쪽에 두지 않고 그 반대편에 두어 본전공간의 성스러움을 배려했고 아울러 개개 건물의 기능성도 최대로 살렸다. 구조는 두 건물 모두 막돌초석윙 두리기둥을 세운 2익공양식이다. 각 건물 모두 부분적으로 편리하게 툇마루를 설치하였다.
* 편의시설 :슈퍼, 공중전화, 화장실, 벤치, 토속음식점, 천은사내 기념품 판매소
* 주 차 장 : 11,809평방미터 (대형 73대, 소형 362대 주차 가능)
* 주차요금 : 대형 6,000원, 중형 4,500형, 소형 3,000원
* 이용요금 개인 : 어른-2,600원, 학생/군인: 1,300원, 어린이-700원, 단체 : 어른-2,400원, 학생/군인: 1,100원, 어린이-550원
* 주변 관광지 : 구례 산수유마을, 지리산 온천랜드, 천은사, 피아골계곡, 화엄사계곡
도로 안내
1) 서울 → 대전 → 전주 → 남원 → 동림교 → 송치리(또는 승사교앞) 2km → 밤재터널18km → KBS 중계소에서 좌회전 → 861번 지방도, 7.7km → 천은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