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07월 04일 목요일
[녹] 연중 제13주간 목요일 또는
[백] 포르투갈의 성녀 엘리사벳
제1독서<가서 내 백성에게 예언하여라.>
▥ 아모스 예언서의 말씀입니다.7,10-17
그 무렵 10 베텔의 사제 아마츠야가 이스라엘 임금 예로보암에게
사람을 보내어 말하였다. “아모스가 이스라엘 집안 한가운데에서
임금님을 거슬러 음모를 꾸미고 있습니다.
이 나라는 그가 하는 모든 말을 더 이상 참아 낼 수가 없습니다.
11 아모스는 이런 말을 해 댑니다.
‘예로보암은 칼에 맞아 죽고 이스라엘은 제 고향을 떠나 유배를 갈 것이다.’”
12 그런 뒤에 아마츠야가 아모스에게 말하였다.
“선견자야, 어서 유다 땅으로 달아나,
거기에서나 예언하며 밥을 벌어먹어라.
13 다시는 베텔에서 예언을 하지 마라.
이곳은 임금님의 성소이며 왕국의 성전이다.”
14 그러자 아모스가 아마츠야에게 대답하였다.
“나는 예언자도 아니고 예언자의 제자도 아니다.
나는 그저 가축을 키우고 돌무화과나무를 가꾸는 사람이다.
15 그런데 주님께서 양 떼를 몰고 가는 나를 붙잡으셨다.
그러고 나서 나에게 ‘가서 내 백성 이스라엘에게 예언하여라.’ 하고 말씀하셨다.
16 그러니 이제 너는 주님의 말씀을 들어라.
너는 ‘이스라엘을 거슬러 예언하지 말고
이사악의 집안을 거슬러 설교하지 마라.’ 하고 말하였다.
17 그러므로 주님께서 이렇게 말씀하신다.
‘네 아내는 이 성읍에서 창녀가 되고 네 아들딸들은 칼에 맞아 쓰러지며
네 땅은 측량줄로 재어 나누어지고 너 자신은 부정한 땅에서 죽으리라.
그리고 이스라엘은 제 고향을 떠나 유배를 가리라.’”
주님의 말씀입니다.
◎ 하느님, 감사합니다.
화답송시편 19(18),8.9.10.11(◎ 10ㄷㄹ)
◎ 주님의 법규들 진실하니 모두 의롭네.
○ 주님의 법은 완전하여 생기 돋우고, 주님의 가르침은 참되어 어리석음 깨우치네. ◎
○ 주님의 규정 올바르니 마음을 기쁘게 하고, 주님의 계명 밝으니 눈을 맑게 하네. ◎
○ 주님을 경외함 순수하니 영원히 이어지고, 주님의 법규들 진실하니 모두 의롭네. ◎
○ 금보다 순금보다 더욱 값지며, 꿀보다 참꿀보다 더욱 달다네. ◎
복음 환호송2코린 5,19 참조
◎ 알렐루야.
○ 하느님이 그리스도 안에서 세상을 당신과 화해하게 하시고 우리에게 화해의 말씀을 맡기셨네.
◎ 알렐루야.
복음<군중은 사람들에게 그러한 권한을 주신 하느님을 찬양하였다.>
✠ 마태오가 전한 거룩한 복음입니다.9,1-8
그때에 1 예수님께서는 배에 오르시어 호수를 건너
당신께서 사시는 고을로 가셨다.
2 그런데 사람들이 어떤 중풍 병자를 평상에 뉘어 그분께 데려왔다.
예수님께서 그들의 믿음을 보시고 중풍 병자에게 말씀하셨다.
“얘야, 용기를 내어라. 너는 죄를 용서받았다.”
3 그러자 율법 학자 몇 사람이 속으로
‘이자가 하느님을 모독하는군.’ 하고 생각하였다.
4 예수님께서 그들의 생각을 아시고 말씀하셨다.
“너희는 어찌하여 마음속에 악한 생각을 품느냐?
5 ‘너는 죄를 용서받았다.’ 하고 말하는 것과
‘일어나 걸어가라.’ 하고 말하는 것 가운데에서 어느 쪽이 더 쉬우냐?
6 이제 사람의 아들이 땅에서 죄를 용서하는 권한을 가지고 있음을
너희가 알게 해 주겠다.”그런 다음 중풍 병자에게 말씀하셨다.
“일어나 네 평상을 가지고 집으로 돌아가거라.”
7 그러자 그는 일어나 집으로 갔다.
8 이 일을 보고 군중은 두려워하며,
사람들에게 그러한 권한을 주신 하느님을 찬양하였다.
주님의 말씀입니다.
◎ 그리스도님, 찬미합니다.
성 요한 크리소스토무스(345~407년)
안디오키아 사제, 그후 콘스탄티노플의 주교, 교회 박사
마태복음 설교, n°29 (trans. cb© evangelizo)
“너희는 왜 마음속으로 이렇게 생각하느냐? »
율법학자들은 이렇게 말했습니다. “신성 모독입니다! 하느님 한 분이 아니라면 누가 죄를 용서할 수 있겠습니까?” 구세주의 반응은 무엇입니까? 그분은 이런 말을 싫어했을까요? 그분이 하느님과 동등하지 않다면 "당신은 왜 이 주장을 나에게 돌리십니까? "라고 말했어야 했습니다. (...) 하지만 그분은 그런 말을 하지 않았습니다. 오히려 그분은 적들의 진술을 확인했습니다. 자신이 자신에 대해 증언하는 것은 의심스러운 일입니다. 진실은 친구뿐만 아니라 더 많은 적의 증언을 통해 더 잘 뒷받침됩니다. (...) 우리 주님께서는 나병환자에게 “나는 당신이 낫기를 원한다”(마르 1,41)라고 백부장에게 말씀하셨을 때 친구들을 통해 당신의 능력을 보여 주셨습니다. “이스라엘에는 이토록 큰 믿음을 가진 러ㅗㄱ그런 사람을 본 사람이 없습니다. 큰 믿음 »(마 8.10). 이제 그분은 적들에게 증언을 하게 하십니다. (...)
그러나 그리스도의 신성에 대한 또 다른 증거가 있습니다. 즉 그분은 하느님과 동등하시다는 사실입니다. 하느님께서는 죄를 용서하실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오직 하느님만이 마음의 은밀한 생각을 감찰하실 수 있습니다. “그들이 속으로 생각하는 것을 즉시 그의 영으로 아시고 그들에게 너희 마음 속에서 어찌하여 이같이 생각하느냐?”"라고 예언자는 이렇게 썼습니다. “오직 당신만이 사람의 마음을 아십니다"(2역대 6,30); “주님께서 생각과 마음을 시험하십니다”(시편 7,10). (...) "시람은 외모를 보지만 주님은 마음을 보십니다"(1사무 16,7). 동시에 예수님은 자신의 온유함에 대한 새로운 증거를 제시하십니다. “너희는 어찌하여 마음속에 악한 생각을 품느냐?"
"병든 몸을 고치는 것과 영혼의 죄를 용서하는 것 중 어느 것이 더 쉬우냐? 뎡혼은 더 귀하다. 영혼의 질병은 치료하기가 더 힘들다. 그러나 이 병의 치유는 눈에 보이지 않으므로 내가 눈에 보이는 병 치유를 너희 눈 앞에 보이리라." (...) 그러므로 예수께서는 중풍병자를 일으켜 집으로 돌려보내십니다. (...) 그분은 다음과 같이 말하는 것 같습니다. “당신에게 일어난 일을 통해서 나는 건강해 보이지만 실제로 영혼이 아픈 이 사람들을 치료하고 싶었습니다. 그들이 원하지 않으니 집으로 가십시오. 적어도 거기서는 당신의 치유가 열매를 맺을 것입니다."
번역/성찰: 엔아르케 번역팀
성찰
"'너는 죄를 용서받았다.’ 하고 말하는 것과 일어나 걸어가라.’ 하고 말하는 것 가운데에서 어느 쪽이 더 쉬우냐?"(마태 8,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