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병원인 및 위험인자
1. 발병원인
정상적인 경우 망막의 혈관은 태생기 4개월경에 시신경유두부위로부터 시작되어 주변부로 점차 형성되어 가며 시세포 분화의 성숙과 연관되어 진행됩니다. 비측(鼻側, 코쪽) 망막은 태생기 8개월이면 망막혈관의 형성이 완성되고, 이측(耳側, 귀쪽) 망막은 태생기 10개월, 즉 출생할 즈음에 완성이 됩니다. 따라서 10개월 이전에 출생한 경우에는 이측 망막의 주변부, 또는 이측 및 비측 망막의 주변부까지 아직 혈관이 형성되지 않은 상태로 모체 밖으로 나와 외부환경에 노출되는 것이 미숙아망막병증 발생의 발생학적 기본 구조입니다.
미숙아망막병증은 모든 미숙아에서 발생하는 것은 아니지만, 어떤 경우에 발생하는지 발생기전에 대하여 정확히 알려진 것은 없습니다. 현재로서는 독성 물질이 혈관내피세포에 손상을 주고 이것이 정상적인 모세혈관 형성을 방해하는 것이 주 원인이라고 생각합니다. 이것이 진행하여 망막 혈관이 형성된 부위와 미처 형성되지 못한 경계에서 동정맥 지름길을 만들고, 결과적으로 동정맥 지름길 내의 세포들이 망막표면 위로 또는 유리체강 내로 자라 들어가서 증식성 막들이 형성하고, 이것들이 서로 수축하여 견인망막박리를 일으키는 것으로 생각됩니다.
2. 위험인자
과거에는 미숙아망막병증과 산소투여가 관련이 있다고 생각했으나, 산소독성은 미성숙된 망막혈관들에만 영향을 미치며 완전히 성숙된 혈관에는 아무런 영향이 없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출생 후 고농도의 산소투여로 망막조직의 산소농도가 갑자기 높아지면 망막혈관들은 수축하게 되고 미성숙된 주변망막혈관의 폐쇄가 일어나는 비가역적인 변화를 보입니다. 미숙아가 다시 외기로 호흡하게 되면 혈관 내 산소압이 낮아지고 상대적으로 저산소 상태가 되어 망막병증이 유발됩니다. 미숙아망막병증과 동맥산소분압이 관계가 없다는 보고도 있지만, 현재까지는 과도한 산소투여를 피하는 것이 좋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그 외 비타민E 결핍, 광선치료, 반복되는 무호흡증, 패혈증, 수혈, 뇌실 내 출혈, 호흡곤란증후군, 동맥관개방 등 태아의 생후상태를 위협하는 요소들이 복합적으로 영향을 끼친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한편 유전적 요인이 영향을 주는 부분도 있습니다. 미숙아망막병증의 발생시기를 볼 때 출생 후 연령은 미숙아마다 다르지만, 수태 후 연령은 출생 시 체중이나 재태기간의 차이와는 상관없이 매우 일정한 시기, 즉 수태 후 32~34주에 발생하기 시작합니다. 그리고 치료가 필요한 문턱(threshold)단계는 수태 후 36~40주에 도달함을 알 수 있습니다. 따라서 태내에서 혈관형성을 조절하는 유전 프로그램이 내재하며, 이것에 변화가 생겼을 때 일정한 시기에 각 개체마다 같은 변화가 나타난다고 생각됩니다.
그리고 출생 후의 주위환경 요인들은 이 질환의 발생보다는 병의 심한 정도에 이차적으로 영향을 주는 것으로 생각됩니다. 이러한 관점에서 분자생물학적 접근을 시도하여 유전자 돌연변이에 대해 새로이 연구를 하고 있습니다.
산소투여 없이도 미숙아 또는 만삭아에서도 망막병증이 발생할 수 있어 청색심장질환, 무뇌증, 소뇌증 등에서도 망막병증이 발생하였다는 보고가 있습니다.
출생시 체중이 적을수록, 임신주수가 짧을수록 치료를 필요로 하는 단계인 문턱 미숙아망막 병증이 생길 위험이 높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