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가 철도에 관심은갖고있었지만... 전문지식이 많이 부족합니다.
다소 어이없고 황당하시더라도... 이해해주세요. ㅠ
용산-광명간 셔틀은... 아시다시피 이용객이 정말 적습니다.
솔직히. 제가볼때 용산-광명간 셔틀은 필요가 없다고 생각되요.
용산에서. 그리고 그 위 서울역에서 KTX가 발차하고 종착하는데
누가 용산에서부터 셔틀타고 광명가겠나요..
물론. 광명까지가 아니라 구로나 가산 디지털단지까지 이용하는 수요도 있긴 하지만
셔틀의 본목적은 말그대로 KTX 광명역까지 KTX 수요의 이용이 커야하는데 그건 아니니까요.
그래서 생각해봤습니다.
용산-광명간 셔틀은 유지하되,
광명에 도착하면 행선지가 용산이 아니라 동인천으로 바뀌고,
가산디지털단지까지 운행후 구로삼각선으로 선로를 변경합니다.
(* 제가 가산디지털단지-구로역간 선로배치를 잘 모릅니다. ㅠ 양해부탁드립니다. 그냥 생각일뿐..)
정차역은
가산디지털단지 -> 구로삼각선 -> 개봉(정차 혹은 다이아에 맞춰 무정차) -> 역곡 -> 그 후로는
현재 동인천급행과 같습니다.
하행만 직결운행이 가능한것 같아, 동인천 하행까지만 운행후
동인천에서 다시 용산급행으로 바뀌는 겁니다.
용산 -> 광명 -> 동인천 -> 용산
이렇게 크게보면 삼각형태의 운행이지만,,
구로 이후부터의 동인천급행 다이아를 늘릴 수 있는 방법이라고 생각합니다.
동인천에서 광명으로의 직결이 불가능한걸로 알고있습니다. (제가 잘못알고 있는건가요? ㅠ)
때문에, 안타깝게도 인천.부천쪽 수요를 광명으로 한번에 수송하기는 힘들겠지만
광명에서 내리는 KTX 인천.부천 승객을 인천.부천으로 수송할수는 있다고 봅니다.
광명셔틀이 조금이나마 활성화되기를 바라는 마음에서.
광명역의 수요가 조금이나마 늘어나기를 바라는 마음에서
끄적여봤습니다. ㅠ 그럼이만...
첫댓글 똥호똥호 님.. 조금 있으시면 이제 우리 임들 께서 알흠다운 의견(?)들을 달아주실 것 입니다. ^^ 각오하시고... 그럼 밑에분에게 패스~~
가능은 하리라고 봅니다. 그런데 구로삼각선 전철화되어 있었던가요? 문제점이라면 다이어 짜맞추기 꽤나 어려울 것 같군요.
제가 예전에 남긴 의견과 매우 비슷하군요^^.. 가능할껍니다 ,.. 불량사원 ..전철화되어있습니다.^^ 단선으로요..
구로삼각선 이용이 힘겹다고 예전에 어디선가 들었던 기억이...구로에서 방향을 바꿔서 운행하는 방안도 괜찮을 것 같습니다.
구로삼각선을 이용할 경우에 가리봉->구일은 아무런 평면교차없이 운행이 가능하지만 구일->가리봉은 평면교차가 이뤄지기 때문에 좀 힘들죠. 구로역에서 방향을 바꿔서 운행하는 것 밖에는...
구로에서 방향을 바꿔서 운전하는 방식은 일본의 케이큐 하네다공항선의 운용방식과 거의 같습니다. 하네다공항으로 입국하신분들은 아시겠지만 케이큐선의 경우 시나가와 방면 열차 외에도 케이큐구리하마 방면으로 가는 열차도 존재합니다. 구리하마 행의 경우 본선과 합류하는 카마다역에서 오리카에시 를 통해 다시 하행선으로 간다고 하더군요